목차
1. 배액관관리
2. MRSA
3. CTD
4. PTBD
5. 드레싱종류
6. MRSA
2. MRSA
3. CTD
4. PTBD
5. 드레싱종류
6. MRSA
본문내용
제에 노출되는 기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나. MRSA에 감염된 환자의 관리
균이 분리되는 신체의 부분에 대해서 접촉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호흡기 분비물에서 균이 검출되는 경우는 비말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① 손씻기
대부분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며 의료인의 손에서 3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므로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후에 소독제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가 요구된다.
② 객담관리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을 닦은 휴지 등은 뚜껑 달린 쓰레기통에 잘 모으도록 하고 흡인시 환자의 객담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흡인시에는 장갑과 일회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
③ 사용한 기구 및 환경관리
재사용 기구들은 병동에서 소독제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중앙부로 소독을 의뢰한다. Wheelchair나 메트리스 등 환자와 접촉한 가구나 기구들은 약한 소독제(Tego, sodium hypochlorite, Hibisol)로 닦는다.
다. 치료
① 항균제 치료
Glycopeptide계인 vancomycin이나 teicoplanin으로 치료한다.
② 국소적인 항균제 치료
비강내에 정착화한 경우- Bactroban 비강용인 mupirocin으로 치료한다.
피부 감염- Bactroban 연고를 도포한다. 습진이나 욕창과 같은 국소적인 감염에는 효과 있으나 화상이나 광범위한 피부 감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피부에 집락화- 소독비누(베타 스크럽이나 히비클렌)을 이용하여 샤워한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하) 손영희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2 김조자외 현문사
기본 간호 실습
나. MRSA에 감염된 환자의 관리
균이 분리되는 신체의 부분에 대해서 접촉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호흡기 분비물에서 균이 검출되는 경우는 비말경계를 추가로 실시한다.
① 손씻기
대부분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며 의료인의 손에서 3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므로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후에 소독제를 이용한 철저한 손씻기가 요구된다.
② 객담관리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환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을 닦은 휴지 등은 뚜껑 달린 쓰레기통에 잘 모으도록 하고 흡인시 환자의 객담이 환경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흡인시에는 장갑과 일회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
③ 사용한 기구 및 환경관리
재사용 기구들은 병동에서 소독제에 30분간 침전시킨 후 중앙부로 소독을 의뢰한다. Wheelchair나 메트리스 등 환자와 접촉한 가구나 기구들은 약한 소독제(Tego, sodium hypochlorite, Hibisol)로 닦는다.
다. 치료
① 항균제 치료
Glycopeptide계인 vancomycin이나 teicoplanin으로 치료한다.
② 국소적인 항균제 치료
비강내에 정착화한 경우- Bactroban 비강용인 mupirocin으로 치료한다.
피부 감염- Bactroban 연고를 도포한다. 습진이나 욕창과 같은 국소적인 감염에는 효과 있으나 화상이나 광범위한 피부 감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피부에 집락화- 소독비누(베타 스크럽이나 히비클렌)을 이용하여 샤워한다.
참고자료
기본간호학(하) 손영희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2 김조자외 현문사
기본 간호 실습
추천자료
수술실 마취과 약물(응급 약물) 정리
응급실 케이스 스터디 쇼크(shock)
내과지침서
소화기 내과 - 수술 및 검사
내외과 테스트정리내용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간호중재
GI_bleeding
<성인간호실습> 폐암 case study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죽음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유념해야할 점들 아동 발달 단계별 유아...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일지
중환자실 폐려, 폐부종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회복실 간호(수술 직후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