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디자인의 특징 _ 한국적 디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념

2. 한국적인 디자인

본문내용

의 독립된 단위 문양으로 배치하는 것 등이 있다.
2. 연속문양
정해진 면에 문양을 반복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이방연속, 사방연속 등이 있다. 이방연속의 경우 띠의 형태로 반복되는 것으로 한 단위가 좌우 혹은 상하로 연결되거나 사선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다. 반복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이 전체구성의 기본이다. 사방 연속문양은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반복되고 연속하여 전개되는 것이다. 사방연속의 배치에는 방형, 계단식, 능형, 산점상 연속등이 있다.
두 번째로는 전통 장신구들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장신구들을 많이 한 것 같다. 특히 여자들은 더 많이 한 것 같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안한 것이 없을 정도인 것 같다. 특히 노리개는 여자들의 필수품이었다. 한복을 입을 때 꼭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결혼한 여인이 머리에 꽂는 비녀.
하트노리개 길상문자노리개 옥노리개 봉황노리개
비녀 사각단추
조끼나 마고자에 보면 단추가 있다. 그 단추를 자세히 보면 이런 모양들이 있다.
화환 함보 골무
과거 실생활의 어디에서든지 이런 디자인들은 볼 수 있다. 하다못해 골무에서도 이런 디자인들을 넣어 놨다. 얼핏 스쳐지나가게 되는 곳에서도 이런 것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다.
혼서지에도 한국적인 디자인들을 볼 수 있다. 안 보이는 곳이 없을 정도인 것 같다.
세 번째로는 전통 의상이다.
한국적인 디자인을 알려고 한다면 전통 의상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전통 의상을 보면 한국적인 디자인을 쉽게 알 수가 있다. 화려하면서도 우아해 보이는 것이 있는가 하면 단아한 것도 있다. 전통의상의 종류는 많다. 그만큼 거기에 들어가는 디자인들도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복은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고 한국적인 요소들
을 가장 발산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통 의상에는 여러 가지 문양과 선의 아름다음을 볼 수 있는 것 같다. 소매의 둥근 부분은 한국적인 요소들을 잘 보여주는 것 같다.
네 번째로는 전통건축이다.
솔직히 건축에서는 뭐가 한국적이라고 자세히 말을 못하겠다. 하지만 옛 건물들을 보면 왠지 한국적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그 느낌이라는 것이 어디에서 오는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나라의 건물과는 다르게 우리나라의 것은 차분함과 우아함이 느껴진다. 그리고 특히 곡선적인 요소들을 많이 쓴 것 같다. 처마의 기둥이나 기왓장을 보면 알 수 있을 것 같다.
전주 월드컵 경기장
광주 월드컵 경기장
몇 개의 월드컵 경기장은 전통양식과 민족성을 디자인 했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축구가 4강에 들었던 것 같다. (^^;)
이걸 조사하면서 디자인에 관한 한 기사를 보게 되었다.
쌈지라는 브렌드에서 한국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이미지를 접목시켜서 해외 시장으로 진출한다는 것이었다. 이제 우리나라도 외국 디자인만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것을 접목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물론 지금 세계는 단일화된 공동체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전통성까지 버릴 필요는 없다. 그 나라의 고유한 것들은 지켜나가야만 한다. 그러므로 우리도 한국적인 것들은 지켜 나갈 줄 알아야 한다. 한국적인 것에 현대적인 것을 결합시켜 새로운 것을 만든다면 세계화에 맞춰 나가는 것이고 우리의 전통을 지켜나가는 것도 되는 것이다. 산업 경쟁력의 핵심은 전통 문화에 바탕 한 고유 디자인이라고 한다. 전통을 기초로 해서 새로운 디자인을 수립하는 것이야 말로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차별화된 조형특질의 구현은 고유한 정신에서 바탕이 되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나치게 복고적이거나 우리의 입장과 특성만을 고집하는 국수적인 자세를 취해서는 안돼 는 것이며 정보화 산업사회 속에서 복고적으로 머물 경우에는 오히려 우리의 고유한 한국적인 정체성의 폐쇄현상이 나타나 세계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워진다. 지금 현 시대의 한국적인 디자인은 고유의 전통문화를 토대로 국제화시대에 맞춰 적절히 선택해야 할 것이다.
http://imagedir.empas.com/59/9791/10483/13845/index.html
문양 모양
http://www.kimhonggab.com/newhome/main.htm
노리개와 문양모양
http://imagebingo.naver.com/album/icon_view.htm?uid=tabeke&bno=13099&page
=1
한복
http://chonhyang.com/html/korea/main_index2.htm
디자인의 현황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2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