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보이지 않는것`이란?
(1)`보이지 않는것`의 정의와 범위
(2) 접속이라는 코드로 접근한 ‘보이지 않는것’
①순수서비스
②접속권의 판매 혹은 대여.
③유형재화 판매에 수반된 보이지 않는 가치
④기타
3. 마케팅에서의 ‘보이지 않는 것’
①DHL VS 일반 배달 서비스(순수 서비스)
②CGV(새로운 문화로의 접속!!유형)
③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접속.(새로운 문화로의 접속!!유형)
④O.B.F.(유형재화속의 숨은 감동!!)
⑤풀무원(유형재화속의 숨은 감동!!사회 지향적 마케팅)
⑥명품 마케팅(유형재화속의 감동!!)
⑦유인책
4.‘보이지 않는것’을 왜 팔아야 하는가?
(1)우리 시장의 변화
(2)접속문화로의 흐름
(3)환경의 네트워킹
5.‘보이지 않는것’을 어떻게 팔아야 하는가?
(1)관계 마케팅으로의 접근
(2)사회 지향적 마케팅으로의 접근
6. 결론
2.`보이지 않는것`이란?
(1)`보이지 않는것`의 정의와 범위
(2) 접속이라는 코드로 접근한 ‘보이지 않는것’
①순수서비스
②접속권의 판매 혹은 대여.
③유형재화 판매에 수반된 보이지 않는 가치
④기타
3. 마케팅에서의 ‘보이지 않는 것’
①DHL VS 일반 배달 서비스(순수 서비스)
②CGV(새로운 문화로의 접속!!유형)
③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접속.(새로운 문화로의 접속!!유형)
④O.B.F.(유형재화속의 숨은 감동!!)
⑤풀무원(유형재화속의 숨은 감동!!사회 지향적 마케팅)
⑥명품 마케팅(유형재화속의 감동!!)
⑦유인책
4.‘보이지 않는것’을 왜 팔아야 하는가?
(1)우리 시장의 변화
(2)접속문화로의 흐름
(3)환경의 네트워킹
5.‘보이지 않는것’을 어떻게 팔아야 하는가?
(1)관계 마케팅으로의 접근
(2)사회 지향적 마케팅으로의 접근
6. 결론
본문내용
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이슈는 기업의 이해와 이해관계자 집단 또는 사회일반의 이해가 상충 (오늘날 마케팅 개념이 환경오염, 자원 고갈, 폭발적인 인구 증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빈곤과 기아 그리고 경시되는 사회적 봉사 등이 만연하는 사회의 모습)하기에 발생한다.
)김영재,조창욱 공저,<기업과 사회>,삼영사,2003,pp.98~99.에서 재인용.
따라서 마케팅 활동의 결과로 고객 만족과 함께 기업의 목표가 달성되었다 하더라도 사회 전체적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은 마케팅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고객의 만족, 기업의 목표와 함께 사회 전체의 목표나 이익, 사회적 책임가지도 고려된 결정을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사회적 공헌까지를 고려한 기업 마케팅을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오늘날의 중요한 이슈와 목표로 두고 기업들이 실천하고자 하는 문제가 되었다. 몇몇 사례를 예를 들면 교과서에 나오는 타이레놀의 경우와 윗글의 풀무원이 실천하는 사회 지향적 마케팅(그린마케팅의 일종...), P&G, 유한 킴벌리등의 대기업의 환경사랑 실천과 없는 자들과 사회적 빈곤을 겪는 사람에게 봉사하는, 체험의 기회를 주는 사회에의 봉사 또한 많은 기업들이 행하고 있다.(CGV의 경우 지역 주민들중 고아나 생활이 어려운 소년소녀가장을 초청 무료 영화상영을하고 자기 극장내부의 시설을 무료로 이용할수있게 해주기도 한다.)이렇게 기업의 이윤추구만을 가지고는 계속기업의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고 사회에의 공헌에 참여-실천해야한다.
네트워크사회의 부족한 장기적 관계에서의 복지문제의 갈등으로 이렇게 탄생한 사회지향적 마케팅은 기업의 이익, 소비자의 욕구충족, 사회의 복지라는 세가지 요소를 관심있게 잘 고려할수있게 하였다. 이렇게 기업,가계,사회라는 각 주체의 관심사와 접속시대로의 연결은 이들 주체를 네트워크화 하였고 이런 흐름속에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바람직한 모습으로 목표가 되기도 하였다.
'보이지 않는 것'을 파는 주체인 기업은 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인 '월등한 가치를 약속함으로써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고 만족을 전달함으로써 현재 고객을 유지하는 것' 이란 목적에 부합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네트워크 사회에서는...)소비자와 기업 간의 쌍방적 거래만으로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회의 복지와 사회의 이익까지 고려하지 않으면 영구히 존재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업은(marketer들은...)네트워크 사회의 이러한 특성에 귀를 기울이고 항상 경계하며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지향적 마케팅 컨셉으로의 접근은 기업뿐만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회와 소비자, 기업 모두를 발전시켜 나간다는것임을 명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또한 '보이지 않는 것'을 팔기위한 자세로써는 근본적인 '보이지 않는것'이라는 핵심역량에 대해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객들은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보이지 않는 것을 스스로 끄집어 내지 못한다. 직접 체험 후에 느끼는 것이 대부분이고 전혀 접근해보지 못한 사람은 끝까지 알아내지 못한다. 이렇게 소비자들의 보이지 않는 감동을 끌어내 기위해 기업들(marketer들)은 핵심역량에 가치와 만족을 투여할수 있어야한다.
6.결론.
이렇게 '보이지 않는것'을 팔기위한 연구목적을위한 과제에의 접근으로의 출발로 시작해서 우리들 나름대로 추상적인 개념을 정의내릴수 있었고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 시장의 변화와 시장의 구성객체들의 변화 또한 연구하여 네트워크 사회 혹은 접속 사회에 어떻게 마케팅활동을 해야 하는지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관계 마케팅으로의 지향이라는 과제를 풀어내었다.
'보이지 않는것'이라는 개념에만 치중했더라면 이와 같이 시장의 변화와 흐름을 읽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전체를 통찰하여 그 흐름을 알고 구성요소들을 관리하는 것이 우리가 가져야할 첫 번째 자세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앞으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어떤 현상이나 이론적인 것에 대해 딱 떨어지는 정답을 찾아내는 것보다는 그에 대한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단 것을 알게되었다. 항상 수업을 들으면서 "contents의 전문가보다는 process의 전문가가되야한다!""보이지 않는 것으로 define하라!""부분보다는 전체를 바라보자""framing을 어떻게 하는가! 거시적 사고로...!"라는 매번 들으면서 별 감흥이 없던 말들을 이제는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할수있게 되었다.이말들은 또한 네트워크사회에있어서 우리가 유능한 marketer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철학이나 자세, 핵심사고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가슴에 담아야함을 알았다.
둘째로 이상한 표현이지만 네트워크 사회에선 좋은 네트워크의 관리가 중요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앞으로 더욱 본격화될 접속의 시대에는 '어떠한 수단에 어떠한 것을 투자하여 성과를 얻을 것인가'라는 것보다는 어떠한 네트워크를 누구와 함께 할 것인지 (김기찬 교수님의 강의 중에 '8ㄲ' 라는 개념이 있다. 그중에서 '끈'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나게 했던 부분이었다...)라는 물음에 우리가 보이지 않는 것을 팔기위한 Marketer로써의 역량이 달려있다고 생각한다.(교수님이 자주 말씀하시는 "성공하기 위해선 좋은 파트너를 만나 결혼하라!"는것부터 시작한 이 질문은성공하기 위해선 좋은 끈을 많이 만드는 것, 좋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 좋은 네트워크를 관리-운영해야 한다는 것 까지 정리할수 있었다.)
많은 학자들이 표현한 네트워크사회는(접속사회,제 4의 물결, 디지털 사회....) 지칭하는 용어가 달라도 중요한 개념과 가치는 관계 혹은 네트워크라는 개념이다. 이런 변화속에 기업들이 계속기업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잘알고 네트워크 사회에 부합되게 중요한 개념과 목표의 본질을 끄집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본조원들 이번과제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사회속의 관계 마케팅과 사회지향적 마케팅으로의 접근으로 우리가 마케터가 되기위한 조건, 철학, 자세등을 설정하고 확인할수있었다.
)김영재,조창욱 공저,<기업과 사회>,삼영사,2003,pp.98~99.에서 재인용.
따라서 마케팅 활동의 결과로 고객 만족과 함께 기업의 목표가 달성되었다 하더라도 사회 전체적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은 마케팅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고객의 만족, 기업의 목표와 함께 사회 전체의 목표나 이익, 사회적 책임가지도 고려된 결정을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사회적 공헌까지를 고려한 기업 마케팅을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오늘날의 중요한 이슈와 목표로 두고 기업들이 실천하고자 하는 문제가 되었다. 몇몇 사례를 예를 들면 교과서에 나오는 타이레놀의 경우와 윗글의 풀무원이 실천하는 사회 지향적 마케팅(그린마케팅의 일종...), P&G, 유한 킴벌리등의 대기업의 환경사랑 실천과 없는 자들과 사회적 빈곤을 겪는 사람에게 봉사하는, 체험의 기회를 주는 사회에의 봉사 또한 많은 기업들이 행하고 있다.(CGV의 경우 지역 주민들중 고아나 생활이 어려운 소년소녀가장을 초청 무료 영화상영을하고 자기 극장내부의 시설을 무료로 이용할수있게 해주기도 한다.)이렇게 기업의 이윤추구만을 가지고는 계속기업의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고 사회에의 공헌에 참여-실천해야한다.
네트워크사회의 부족한 장기적 관계에서의 복지문제의 갈등으로 이렇게 탄생한 사회지향적 마케팅은 기업의 이익, 소비자의 욕구충족, 사회의 복지라는 세가지 요소를 관심있게 잘 고려할수있게 하였다. 이렇게 기업,가계,사회라는 각 주체의 관심사와 접속시대로의 연결은 이들 주체를 네트워크화 하였고 이런 흐름속에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바람직한 모습으로 목표가 되기도 하였다.
'보이지 않는 것'을 파는 주체인 기업은 마케팅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인 '월등한 가치를 약속함으로써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고 만족을 전달함으로써 현재 고객을 유지하는 것' 이란 목적에 부합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네트워크 사회에서는...)소비자와 기업 간의 쌍방적 거래만으로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회의 복지와 사회의 이익까지 고려하지 않으면 영구히 존재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업은(marketer들은...)네트워크 사회의 이러한 특성에 귀를 기울이고 항상 경계하며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지향적 마케팅 컨셉으로의 접근은 기업뿐만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회와 소비자, 기업 모두를 발전시켜 나간다는것임을 명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또한 '보이지 않는 것'을 팔기위한 자세로써는 근본적인 '보이지 않는것'이라는 핵심역량에 대해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객들은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보이지 않는 것을 스스로 끄집어 내지 못한다. 직접 체험 후에 느끼는 것이 대부분이고 전혀 접근해보지 못한 사람은 끝까지 알아내지 못한다. 이렇게 소비자들의 보이지 않는 감동을 끌어내 기위해 기업들(marketer들)은 핵심역량에 가치와 만족을 투여할수 있어야한다.
6.결론.
이렇게 '보이지 않는것'을 팔기위한 연구목적을위한 과제에의 접근으로의 출발로 시작해서 우리들 나름대로 추상적인 개념을 정의내릴수 있었고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 시장의 변화와 시장의 구성객체들의 변화 또한 연구하여 네트워크 사회 혹은 접속 사회에 어떻게 마케팅활동을 해야 하는지를 알아내는 과정에서 관계 마케팅으로의 지향이라는 과제를 풀어내었다.
'보이지 않는것'이라는 개념에만 치중했더라면 이와 같이 시장의 변화와 흐름을 읽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전체를 통찰하여 그 흐름을 알고 구성요소들을 관리하는 것이 우리가 가져야할 첫 번째 자세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앞으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어떤 현상이나 이론적인 것에 대해 딱 떨어지는 정답을 찾아내는 것보다는 그에 대한 과정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단 것을 알게되었다. 항상 수업을 들으면서 "contents의 전문가보다는 process의 전문가가되야한다!""보이지 않는 것으로 define하라!""부분보다는 전체를 바라보자""framing을 어떻게 하는가! 거시적 사고로...!"라는 매번 들으면서 별 감흥이 없던 말들을 이제는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할수있게 되었다.이말들은 또한 네트워크사회에있어서 우리가 유능한 marketer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철학이나 자세, 핵심사고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가슴에 담아야함을 알았다.
둘째로 이상한 표현이지만 네트워크 사회에선 좋은 네트워크의 관리가 중요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앞으로 더욱 본격화될 접속의 시대에는 '어떠한 수단에 어떠한 것을 투자하여 성과를 얻을 것인가'라는 것보다는 어떠한 네트워크를 누구와 함께 할 것인지 (김기찬 교수님의 강의 중에 '8ㄲ' 라는 개념이 있다. 그중에서 '끈'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나게 했던 부분이었다...)라는 물음에 우리가 보이지 않는 것을 팔기위한 Marketer로써의 역량이 달려있다고 생각한다.(교수님이 자주 말씀하시는 "성공하기 위해선 좋은 파트너를 만나 결혼하라!"는것부터 시작한 이 질문은성공하기 위해선 좋은 끈을 많이 만드는 것, 좋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 좋은 네트워크를 관리-운영해야 한다는 것 까지 정리할수 있었다.)
많은 학자들이 표현한 네트워크사회는(접속사회,제 4의 물결, 디지털 사회....) 지칭하는 용어가 달라도 중요한 개념과 가치는 관계 혹은 네트워크라는 개념이다. 이런 변화속에 기업들이 계속기업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잘알고 네트워크 사회에 부합되게 중요한 개념과 목표의 본질을 끄집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면에서 본조원들 이번과제를 수행하며 네트워크 사회속의 관계 마케팅과 사회지향적 마케팅으로의 접근으로 우리가 마케터가 되기위한 조건, 철학, 자세등을 설정하고 확인할수있었다.
추천자료
마케팅(Marketing)[자별적 마키팅,구매자 의사결정,사회적 마케팅,소비자 행동]
사회복지기관의 목표, 사회복지기관의 발전과정, 사회복지기관의 기금원, 사회복지기관의 종...
사회복지 마케팅
사회적 마케팅의 실현, 포스코(POSCO), 더바디샵(The Body Shop)
사회적 마케팅의 실현 - 포스코(POSCO), 더바디샵(The Body Shop)
[사회복지행정론]마케팅과 홍보 - 마케팅의 개념과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및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행정론]프로그램개발과 평가 - 프로그램의 개념과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요소 및 프...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전략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마케팅, 사회복지조직에서 활용 가능한 마...
사회복지기관의 리더로서 가져야 할 자격요건과 사회복지기관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마케팅원론] 마케팅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마케팅)
[서비스기업 마케팅][서비스기업 마케팅 의미][서비스기업 마케팅 의의][서비스기업 마케팅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1- 사회복지마케팅 필요성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기관의 마케팅 과정에서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 선정에 대해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