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가정 붕괴의 원인과 결과 및 대책
3. 결론
2. 가정 붕괴의 원인과 결과 및 대책
3. 결론
본문내용
찾아주어야 할 것이다. (정진석, 가정성화, 가톨릭출판사 pp. 69∼78 )
앞에서 언급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2 )
1) 부모는 일관성 없는 훈계(잔소리)만 반복하지 말고, 왜 해야 하는지 즐겁게 일깨워 준다.
2) 자녀들이 착한 일이나 정당한 일을 했을 때 적절히 칭찬하고 인정해 준다.(이하 생략)
3. 결론
가. 어른과 젊은이의 조화를 이루며 살자
어느 가정이나 웃어른과 자녀들이 있게 마련이다. 노인과 장년층과 아이들로 이루어지는 가족 공동체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노인층에는 젊은이가 갖지 못한 인생의 깊은 안목(眼目)이 있다. 그리고, 노인의 존재는 아이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준다고 한다.
반면에 젊은이는 노인들에게 없는 용기와 창의력, 추진력, 발랄함과 활동력에 있어서는 노인들이 따라가지 못한다.
또한 아이들은 미숙하지만 천진하고 사물에 대한 궁금증과 새로운 세계를 알고자 하는 강렬한 의욕이 있다.
노인들은 젊은 세대가 위험해 보이지만 잘못을 차근차근 타일러 주고 다시 고치도록 기다려 주는 아량(雅量)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노인과 젊은이가 서로를 조절해주고 보완해 줄 수 있는 상대역이 될 수 있을 때 정서적 안정과 조화를 이루는 원만한 가정이 될 것이다.
나. 사랑의 가정공동체를 위한 노력
부부간의 사랑과 부모 자녀간의 사랑의 공동체(共同體)가 되도록 노력하자는 것이다. 부부간에 지켜야 할 모든 책임과 의무를 인내와 기쁜 마음으로 수행(遂行)해 나갈 때 서로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보완(補完)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도 능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부부는 서로 평등한 배우자로서 상대방을 존경하고, 대화를 통해 모든 일을 함께 결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부부간의 사랑은 풍부해져 결실을 맺게 될 것이고, 자녀들은 부모님의 희생(犧牲)에 대한 감사(感謝)와 사랑으로 부모에게 효도하고 순명하며 부모를 신뢰하게 되어 어떠한 고민이나 어려움이 있을 때 부모의 지도를 받아들일 것이다. 나아가서 부모가 병들었을 때나 노후에도 부모님을 돕기에 정성을 다할 것이며, 부모의 올바른 가치관(價値觀)과 언행(言行)을 본받아 건전(健全)하게 자라날 것이다.
끝으로, 이렇게 웃어른들은 자녀와 젊은이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신뢰와 사랑을 마음으로 배우고 피부로 느끼며,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살아가도록 해야 할 것이고, 부모는 웃어른, 친척들과 자녀들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고 살아갈 때 그 가정과 집안은 효도(孝道)와 신뢰(信賴)와 존경(尊敬)과 사랑의 웃음꽃이 활짝 피어날 것이라 확신한다.
참고 자료
1. 전국의 여러 종교단체와 시민단체에서는 좋은 부모되기 운동이나 건전한 가정 살리기 운동을 전개한다고 하니 퍽이나 다행스러운 일이다.(문화일보, 10.9일자 뉴스에 의하면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가건모)에서는 이혼률 급증, 해외 원정출산(遠征出産), 가계 파탄(家系破綻)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 병리현상(病理現狀)을 가정의 건강성회복(健康性 回復)을 통해 치유(治癒)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 자료 2.
앞에서 언급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부모는 일관성 없는 훈계(잔소리)만 반복하지 말고, 왜 해야 하는지 즐겁게 일깨워 준다.
2) 자녀들이 착한 일이나 정당한 일을 했을 때 적절히 칭찬하고 인정해 준다.
3) 충분한 대화를 자주 가진다.
4) 집안 일에 협동하도록 알맞는 일을 주고 자신감을 준다.
5) 부모가 외출할 때는 메모를 남기고 신의를 지킴으로써 모범 을 보인다.
6) 자녀가 조른다고 무턱대고 약속하지 말고 분별해서 들 어줄 것은 기쁘게 허락하고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
7) 어느 한 자녀만을 편애하거나 혹은 몰아 세워 열등감을 주지 않도록 조심한다.
8) 자녀들 앞에서 남을 비방하는 말을 하지 않는다.
9) 보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자녀 교육을 위해 아동 심리나 청 소년 심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 매체를 접하여 본능적인 부모 애가 아니라 유아기, 아동기, 사춘기, 청년기에 따르는 변화 과정에 맞게 대처한다.
10) 하루중 적어도 저녁 식사만은 함께하며 자녀들의 이야기를 들 어준다.(현대식 밥상머리 교육 차원)
11) 자녀들의 단점과 결함은 부모들의 단점과 결점임을 생각하고 부 모들부터 고쳐나가도록 한다.
12) 부모가 먼저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13) 등하교시에 따뜻하게 배웅하고 맞이해 준다.(skinship)
앞에서 언급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2 )
1) 부모는 일관성 없는 훈계(잔소리)만 반복하지 말고, 왜 해야 하는지 즐겁게 일깨워 준다.
2) 자녀들이 착한 일이나 정당한 일을 했을 때 적절히 칭찬하고 인정해 준다.(이하 생략)
3. 결론
가. 어른과 젊은이의 조화를 이루며 살자
어느 가정이나 웃어른과 자녀들이 있게 마련이다. 노인과 장년층과 아이들로 이루어지는 가족 공동체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노인층에는 젊은이가 갖지 못한 인생의 깊은 안목(眼目)이 있다. 그리고, 노인의 존재는 아이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준다고 한다.
반면에 젊은이는 노인들에게 없는 용기와 창의력, 추진력, 발랄함과 활동력에 있어서는 노인들이 따라가지 못한다.
또한 아이들은 미숙하지만 천진하고 사물에 대한 궁금증과 새로운 세계를 알고자 하는 강렬한 의욕이 있다.
노인들은 젊은 세대가 위험해 보이지만 잘못을 차근차근 타일러 주고 다시 고치도록 기다려 주는 아량(雅量)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노인과 젊은이가 서로를 조절해주고 보완해 줄 수 있는 상대역이 될 수 있을 때 정서적 안정과 조화를 이루는 원만한 가정이 될 것이다.
나. 사랑의 가정공동체를 위한 노력
부부간의 사랑과 부모 자녀간의 사랑의 공동체(共同體)가 되도록 노력하자는 것이다. 부부간에 지켜야 할 모든 책임과 의무를 인내와 기쁜 마음으로 수행(遂行)해 나갈 때 서로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보완(補完)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도 능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부부는 서로 평등한 배우자로서 상대방을 존경하고, 대화를 통해 모든 일을 함께 결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부부간의 사랑은 풍부해져 결실을 맺게 될 것이고, 자녀들은 부모님의 희생(犧牲)에 대한 감사(感謝)와 사랑으로 부모에게 효도하고 순명하며 부모를 신뢰하게 되어 어떠한 고민이나 어려움이 있을 때 부모의 지도를 받아들일 것이다. 나아가서 부모가 병들었을 때나 노후에도 부모님을 돕기에 정성을 다할 것이며, 부모의 올바른 가치관(價値觀)과 언행(言行)을 본받아 건전(健全)하게 자라날 것이다.
끝으로, 이렇게 웃어른들은 자녀와 젊은이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신뢰와 사랑을 마음으로 배우고 피부로 느끼며,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살아가도록 해야 할 것이고, 부모는 웃어른, 친척들과 자녀들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고 살아갈 때 그 가정과 집안은 효도(孝道)와 신뢰(信賴)와 존경(尊敬)과 사랑의 웃음꽃이 활짝 피어날 것이라 확신한다.
참고 자료
1. 전국의 여러 종교단체와 시민단체에서는 좋은 부모되기 운동이나 건전한 가정 살리기 운동을 전개한다고 하니 퍽이나 다행스러운 일이다.(문화일보, 10.9일자 뉴스에 의하면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가건모)에서는 이혼률 급증, 해외 원정출산(遠征出産), 가계 파탄(家系破綻)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 병리현상(病理現狀)을 가정의 건강성회복(健康性 回復)을 통해 치유(治癒)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 자료 2.
앞에서 언급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부모는 일관성 없는 훈계(잔소리)만 반복하지 말고, 왜 해야 하는지 즐겁게 일깨워 준다.
2) 자녀들이 착한 일이나 정당한 일을 했을 때 적절히 칭찬하고 인정해 준다.
3) 충분한 대화를 자주 가진다.
4) 집안 일에 협동하도록 알맞는 일을 주고 자신감을 준다.
5) 부모가 외출할 때는 메모를 남기고 신의를 지킴으로써 모범 을 보인다.
6) 자녀가 조른다고 무턱대고 약속하지 말고 분별해서 들 어줄 것은 기쁘게 허락하고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
7) 어느 한 자녀만을 편애하거나 혹은 몰아 세워 열등감을 주지 않도록 조심한다.
8) 자녀들 앞에서 남을 비방하는 말을 하지 않는다.
9) 보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자녀 교육을 위해 아동 심리나 청 소년 심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 매체를 접하여 본능적인 부모 애가 아니라 유아기, 아동기, 사춘기, 청년기에 따르는 변화 과정에 맞게 대처한다.
10) 하루중 적어도 저녁 식사만은 함께하며 자녀들의 이야기를 들 어준다.(현대식 밥상머리 교육 차원)
11) 자녀들의 단점과 결함은 부모들의 단점과 결점임을 생각하고 부 모들부터 고쳐나가도록 한다.
12) 부모가 먼저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13) 등하교시에 따뜻하게 배웅하고 맞이해 준다.(skinship)
추천자료
[프랑스][프랑스문화][프랑스의 문화]프랑스의 지리적 배경, 프랑스의 역사, 프랑스의 정부구...
[현대사회][한국][현대]현대사회 가족형태, 현대사회 가정교육, 현대사회 전통계승, 현대사회...
가정교육학과 아동발달 사회정서발달
가정교육학과 아동기 신체운동발달
가정교육학과 영아기 발달장애
가정교육학과 영아기 인지발달
가정교육학과 아동발달 출생과 신생아기
[가정교육학] 유아동복 소재소개와 시장과 백화점 현황 및 유아동복 구매실태 조사
기본생활습관지도의 개념과 중요성,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지도요점,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영역...
유아의 발달 특성과 가정교육의 역할
가정교육의 중요성
다문화가정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기획안 작성
현대사회와 가정교육 - 우리 부모님의 나의 입시에 대한 생각과 태도
부부갈등과 의사소통(가정생활교육, 남성여성차이, 채프먼, 가정생활교육, 사랑언어) PP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