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그것이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외국의 교육정책을 차용하기보다는 우리의 사회적 환경과 가치관에 맞게 자주적인 교육정책을 세워 실시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상으로 우리 나라 교육의 대표적인 문제점과 그 문제점 해결을 위해 우리가 개선해야 할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은 거의가 표면적으로나 나타나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보이지 않는 내부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할 수만 있다면 한 번에 모든 것을 뒤집어 버리고 싶은 마음, 이는 12년∼16년의 제도권 교육을 받은 한국인이라면 누구에게나 간절한 바람일 것이다. 하지만 시급한 변화는 우리 교육에 더 큰 혼란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그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꼬집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그것을 알아낸다고 해도 몇 십 년 동안 굳어진 한국 교육은 그리 쉽게 변화되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정부와 학교, 학생과 교사 사이의 끈끈한 신뢰를 바탕으로 우리 스스로의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우리의 百年之大計는 다시 한번 일어설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우리 나라 교육의 대표적인 문제점과 그 문제점 해결을 위해 우리가 개선해야 할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은 거의가 표면적으로나 나타나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보이지 않는 내부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할 수만 있다면 한 번에 모든 것을 뒤집어 버리고 싶은 마음, 이는 12년∼16년의 제도권 교육을 받은 한국인이라면 누구에게나 간절한 바람일 것이다. 하지만 시급한 변화는 우리 교육에 더 큰 혼란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그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꼬집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그것을 알아낸다고 해도 몇 십 년 동안 굳어진 한국 교육은 그리 쉽게 변화되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정부와 학교, 학생과 교사 사이의 끈끈한 신뢰를 바탕으로 우리 스스로의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우리의 百年之大計는 다시 한번 일어설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