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회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교회사회사업의 개념
1. 서론
2. 교회사회사업의 정의
1) 교회사회사업의 정체성 확립의 문제성
2) 교회사회사업의 정의

Ⅱ 교회사회사업가의 기능적 정체성
1. 공통적 입장과 상이한 입장(The Common and Separate Ground)
2. 사회사업과 기독교 신념(Social Work and Christian Belief)
3. 인간과 사회의 본성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4. 자신의 신앙에서 얻는 사회사업가의 통찰
5. 사회사업과 성경(Social Work and the Bible)
6. 사회사업과 죄(Social Work and Sin)
7. 기독교인의 고통에 관한 관점(A Christian View of Suffering)
8. 사회사업과 전도(증거)(Social Work and Witnessing)
9. 영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The Spiritual and the Material)
10. 세속 사회사업 기관에서 근무(Working in a Secular Agency).

Ⅲ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
1. 교회사회사업 유사관련 개념체계
1) 사회봉사신학
2) 기독교 사회복지
3) 교회사회사업
4) 교회사회봉사

2.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과 "가장 큰 계명"
1) 신앙고백과 실천으로서의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
2)'이웃사랑' 실천으로서의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

본문내용

임성 있는 청지기가 되어야 하며 계명을 준수하고 실천하는 책임 있는 역군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하나님 백성의 계명실천은 교회의 선교로 나타나며, 근대 선교신학에서는 교회의 통전적 신학을 정립하였다. 이 통전적 신학은 전도와 봉사를 똑같이 중요시하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통전적 신학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표시되는데 : M = E + N + S(SS + SA) + F (서정운, 1992)로 되어 있다. M은 선교(mission), E는 전도(evangelism), S는 봉사(service), SS는 사회봉사(social service), SA는 사회행동(봉사)(social action) 그리고 F는 친교(Fellowship)이다. 이러한 통전적 선교는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을 분명히 밝혀준다. 교인들의 복음실천(봉사)을 하나님나라의 청지기답게 능률성을 지니고 효율적으로 실천하려고 한다면 전문교회사회사업가 제도의 도입은 필수적인 것이 된다.
특별히 5만 여 한국교회에서 사회봉사를 하면서 전문사회복지영역과 연계되는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려고 할 때, 정부, 사회(민간), 전문사회복지계와의 기능적 관계정립은 불가피하게 된다. 여기에 교회사회사업 내지 기독교사회복지를 대변하는 전문사회사업가의 채용은 필요하게 된다. 교회가 사회복지 재단을 설립하고 전문사회사업을 펼쳐나가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오늘날 교회를 향해 도움을 요청하는 사회복지문제의 성격을 보더라도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구제, 자선, 봉사의 모델로는 교회의 사회봉사적 책임을 감당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회사회사업가는 철저한 기독교 정신으로 무장한 청지기로 신학적 지식을 겸비한 사람이 사회사업(사회복지)을 전공한 일꾼이 되어야 하며, 사회선교의 직, 간접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 '이웃사랑' 실천으로서의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
가장 큰 계명 중에서 '이웃 사랑'은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을 실천적 신학의 기반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백성과 교회가 함께 해야함을 강조하고, 교회가 사회를 향해 그리고 지역사회를 향해 찾아 가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속에 있는 하나님이 생명들이 어떤 고통을 겪고 있으며, 어떤 하나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 교회는 분명히 알아야 한다. 아마도 하나님 나라의 책임성은 이러한 측면에서 고찰되어져야 한다.
한국교회가 21세기에 발전시켜야 할 신학은 인간을 발견하는 과제이며, 이는 하나님이 인간을 향해 오신 그리스도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한 기독론의 재조명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는 교회가 지역주민을 발견하는 신학과제이며,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생명을 발견하는 일일 것이다. 생명이 발견되지 못한 상태에서 사랑가 섬김의 신학은 기독론을 완성시킬 수 없다. 한국교회가 사람을 발견하고 그들이 사는 지역사회를 발견하여 '생명·사랑·섬김의 신학'을 펼쳐나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봉사신학의 정립은 단순한 신학자들로 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기독교 사회복지학자 등 여러 관련 학문의 학자들이 함께 모색해 나가야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은 신학적,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동시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한국교회에서 교회사회사업의 필요성은 현재 한국사회의 사회복지 수요체계와 공급체계를 고찰하면 분명히 알 수 있다. 하나님의 생명을 지켜주는 사회복지의 이념, 체계(정책, 행정), 서비스 프로그램을 보면, 현재의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복지나 민간복지로는 복지욕구를 충당할 수 가 없다. 특히, 신자유주의 이념에 입각한 우리 나라의 복지정책은 국가의 복지책임을 축소하고, 민간의 복지책임분담을 확장시킴으로서 국민의 복지수요를 충당시키려고 한다. 민간단체나 기구로 교회는 단연 정부나 사회가 주목하는 복지공급 체계이다. 이로써 교회는 이제 정부와 사회로부터 복지적 책임을 수행하도록 강력한 요청을 받고 있다.
교회가 하나님의 큰 계명에 순종하여 사회봉사를 선교적 차원에서 펼쳐나가려고 할 때, 정부와 사회가 교회의 사회복지 기능을 요청하고 환영하는 현실에서 교회는 그만큼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건설하는 사회선교권의 확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교회의 사회봉사적, 사회선교적 기능수행과 사회의 민간사회복지적 기능요청에 대한 교회의 복음적 응답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 교회사회사업 제도가 필요하게 된다. 교회 제도 안에 설교목사, 심방목사, 교육목사, 음악목사 제도가 이미 도입되었거나 도입되는 과정에 있다면, 사회봉사 목사(사회복지 목사, 교회사회사업 목사, 교회사회사역 목사 등 다양한 명칭의 가능성) 제도는 시급히 도입되도록 총회 차원에서 조속히 거론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교회의 선교적 기능을 수행하라는 하나님의 최대의 계명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국내자료
김기원(1998), 기독교 사회복지론, 서울: 대학출판사.
다이애너 R. 갈랜드(이준우 역, 2001), 교회사회사업, 서울: 인간과 복지.
박영호(2001), 기독교사회복지, 기독교문서선교회.
박종삼(2000), 교회사회봉사 이해와 실천. 서울: 인간과 복지.
박종삼 편(2002), 사회복지학 개론, 서울: 학지사.
서정운(1992), "선교신학에서 본 사회봉사",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이삼열 편), 한울.
유장춘(1999), "미국교회의 교회사회사업 양상과 그 한국적 적용", 기독교 사회복지 제 8 호, 서울: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 연구소.
이삼열 편(1992),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한울.
존 스토트(박영호 역, 1997), 현대사회문제와 기독교적 답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한·독 교회 디아코니아 심포지엄(2002) 자료집,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사회부.
외국자료
Keith-Lucas Alan(1985), So you want to be a social worker : A Primer for the christian student.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 in Social Work.
NASW(1995), Encyclopedia of Social Work, 사회복지대백과 사전(한글번역판, 1999), 나눔의 집.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5.0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