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사에서의 허균과 김만중 문학의 가치와 평가 비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17세기 북한문학
2. 북한문학사에서 교산(蛟山) 허균(許筠)문학의 가치와 평가
3. 북한문학사에서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문학의 가치와 평가

III. 결론

본문내용

그가 아직도 당대 양반 사대부들 속에 뿌리 깊게 박혀 있던 도식 주의적이며 모방 주의적인 미학적 견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하였다. 또, 갈등해결의 불철저성, 작품의 전편을 관통하는 기본지향과 모순되는 사건처리는 작자 허균이 활동하던 당시의 봉건적인 사회·역사적 조건에서 아직 축첩제도나 봉건적 정치제도를 철폐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이 없었던 시대적 및 계급적 제한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지적한다. 서포 김만중 문학에 대해서는『사씨남정기』에 배어져 있는 봉건유교사상과 불교사상을 집중적으로 비판한다. 작가는 소설에서 봉건적인 유교 교리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는 인간들을 '착한 사람들'로 내세우고 그들에게 동정과 지지를 보냈으며 유교적인 '삼강오륜'에 어긋나게 행동하는 사람들을 '악한 사람'들로 간주하고 그들을 폭로·비판하였다고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그 당시의 사회·역사적 조건 그리고 작가의 사회 계급적 처지와 세계관적 제한성으로 인하여 사회의 본질적인 모순과 계급적 대립관계를 볼 수 없었던 작가는, 도덕적 부패의 원인을 사회제도 자체의 본질에서 찾지 못하고 사정옥과 교채란이라는 선과 악의 대립과 모순에서 찾고 있다는 한계성을 보인다. 또, 작품의 그 주인공들은 아직 숙명적인 '신의 의사', '하늘의 뜻'의 지배로부터 완전히는 해방되어 있지 못하며, 그 언어가 상당한 정도로 입말에 접근하였다고 하더라도 아직 인물들의 대화에서까지 그의 사회성분과 개성을 무시하는 어투들이 적지 않게 남아있다고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한다. 사정옥의 인물형상이 유교적 현모양처의 이상적인 여인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것은 주인공의 성격에서 근본적인 제한성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작가의 유교적 제한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북한학자들은 교산과 서포의 문학에 대해 종합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경향이다.『홍길동전』같은 작품은 소설의 주제가 사회적이며, 진보적인 주제 사상적 경향이 있으므로 그 이전 소설의 애정 윤리적 주제에 비하여 한 걸음 발전한 것으로 보았다. 또, 임진왜란 후 붕괴의 길에 들어선 이조 봉건사회의 새로운 시대상,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피압박 인민대중의 투쟁과 해방적 지향을 민감하게 생활적 화폭으로 진실하게 보여주었다는 점, 그리고 장편적 구성을 가진 국문소설의 선구를 이루었다는 점을 높이 사고 있다. 17세기 조선 봉건 사회의 첨예한 모순이 얽혀 있는 사회 정치적 문제를 주제 사상적 내용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그 주제 사상적 과제를 해명하는 데 복종시키면서 한 인간의 곡절 많은 생애를 생활과 성격 발전의 논리에 맞게 실감 있는 하나의 화폭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그것도 인민들이 쉽게 읽을 수 있게 국문으로 표기한 큰 형식의 소설을 창작한 그 예술적 성과에 있어서 그리고 창작자의 이름이 명확히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조선문학사상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세계 소설역사에서도 새로운 현상이라고 평가한다.
서포의 문학 역시 우리말의 능숙한 사용에 의한 비교적 생동한 인간성격과 생활화폭의 창조를 통하여 봉건사회의 악덕을 폭로·비판한 우수한 작품이며, 처음으로 다주인공적 일대기 구성형식을 취한 봉건시기 사실주의적 장편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우리 나라 중세 소설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커다란 문학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북한에서 발행된 교산과 서포문학의 작품들을 접하면서 17세기의 한민족 문화라는 같은 문학의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북한에서 교산과 서포의 문학을 분석하는 태도에는 북한의 이데올로기와 관련한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실감했다. 작품의 창작시대를 겪어보지 않았고, 더더군다나 북한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텍스트에만 의존해서 작성된 결과가 크게 빗나간 것이 아니기를 바란다.
※ 참고문헌
1. 조선고전문학선집 2. 김만중 작품집/림호권/문예/2000/1∼11쪽
2. 고전작가론 2/조선작가동맹출판사/한국문화사/1996/59∼61쪽, 151∼156쪽
3. 고전소설해제/조선문학창작사 고전연구실/한국문화사/1991/117∼130쪽
4. 북한의 고전문학/설성경,유영대/고려원/1990/221∼236쪽
5. 조선고전문학선집 11. 홍길동전/로은욱/문예/2000/1∼5쪽
6. 북한의 고전소설 연구/최웅권/지식산업사/57∼64쪽,71∼81쪽
7. 조선문학사/김하명/사회과학출판사/1992/256∼318쪽
8. 조선문학개관Ⅰ/정홍교,박종원/인동출판/1988/191∼201쪽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5.15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