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고대의 빵
2. 중세의 빵
3. 근대의 빵
III. 결 론
II. 본 론
1. 고대의 빵
2. 중세의 빵
3. 근대의 빵
III. 결 론
본문내용
단에 지겨워할 때, 남부의 군인들은 자신의 셔츠를 물어뜯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전쟁 초반 영국이나 프랑스는 남부에 호의적이었지만 곧 북부 쪽으로 돌아서고 말았다. 그 이유는 간단했다. 영국이나 프랑스 역시 남부의 면화가 없어도 살 수는 있지만 북부의 밀이 들어오지 않으면 살 수가 없기 때문이었다.
심지어 히틀러는 빵이라는 무기를 이용하여 인종말살을 계획하기도 하였는데, 나치는 기근을 살상무기로 이용했으며 그 효과를 미사일 탄도처럼 정확하게 계산해냈다. 히틀러는 유럽의 기근을 만들어내는 최고의 기술자였다. 놀라운 나치기계들은 거의 소리도 없이 이 일을 해치워나갔다. 인공적인 기근으로 유럽의 인구를 말살하는 일을 말이다. 이 과학적 약탈 시스템은 전쟁을 위한 목적 이상의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는 독일의 기호에 맞게 유럽 인구수를 조정하려는 계획적인 시도였다. 히틀러는 "인종말살은 과학이다."라고 말했다.
III. 결 론
빵은 6000년이라는 긴 세월을 사람과 함께 걸어왔다. 이만하면 빵은 사람과 함께 신의 피조물임에 이견을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빵에는 농경 생활의 근면성과 이에 연유한 윤리의 문제가 망라된다.
죽음을 앞둔 예수는 "먹어라.내가 곧 빵이니라"라고 말함으로써 빵의 신 데메테르로부터 빵을 빼앗아 인간에게 돌려주었다.예수는 허기진 사람들을 위해 빵의 기적을 일으켰다.
예수는 인간의 영육을 먹여살리는 '빵의 신'이기도 했다.예수의 시대,사람들은 빵에 내려진 저주,즉 '네 얼굴에 흐르는 땀으로' 노동을 해야 빵을 먹을 수 있다는 저주가 풀리기를 바랐다. 마침내 예수는 죽음을 앞두고 그 저주를 풀었던 것이다. 역사는 이렇듯 예수의 '말씀'을 통해 신의 소유였던 빵이 인간에게 귀속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영혼을 구하는 양식으로서의 빵이 오늘날에는 '식량의 무기화'라는 폭력으로 둔갑하고 있으니 이것이야말로 인류의 가장 큰 죄악이므로 빵은 다시 신에게 귀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IV. 참고문헌
『그림으로 읽는 세계사 이야기2』, 김희보, 가람기획, 1999.
『서양문명의 역사Ⅱ』, E.M 번즈·R. 러너·S. 미첨, 소나무, 1995.
『빵의 역사』, E. 야곱, 우물이 있는길, 2002.
『유럽의 음식문화』, M. 몬타나리, 새물결, 2001
『서양사강의』, 배영수, 한울아카데미, 2000
『거울에 비친 유럽』, J. 폰타나, 새물결, 2000
동아대백과 사전
동아새국어 사전
심지어 히틀러는 빵이라는 무기를 이용하여 인종말살을 계획하기도 하였는데, 나치는 기근을 살상무기로 이용했으며 그 효과를 미사일 탄도처럼 정확하게 계산해냈다. 히틀러는 유럽의 기근을 만들어내는 최고의 기술자였다. 놀라운 나치기계들은 거의 소리도 없이 이 일을 해치워나갔다. 인공적인 기근으로 유럽의 인구를 말살하는 일을 말이다. 이 과학적 약탈 시스템은 전쟁을 위한 목적 이상의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는 독일의 기호에 맞게 유럽 인구수를 조정하려는 계획적인 시도였다. 히틀러는 "인종말살은 과학이다."라고 말했다.
III. 결 론
빵은 6000년이라는 긴 세월을 사람과 함께 걸어왔다. 이만하면 빵은 사람과 함께 신의 피조물임에 이견을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빵에는 농경 생활의 근면성과 이에 연유한 윤리의 문제가 망라된다.
죽음을 앞둔 예수는 "먹어라.내가 곧 빵이니라"라고 말함으로써 빵의 신 데메테르로부터 빵을 빼앗아 인간에게 돌려주었다.예수는 허기진 사람들을 위해 빵의 기적을 일으켰다.
예수는 인간의 영육을 먹여살리는 '빵의 신'이기도 했다.예수의 시대,사람들은 빵에 내려진 저주,즉 '네 얼굴에 흐르는 땀으로' 노동을 해야 빵을 먹을 수 있다는 저주가 풀리기를 바랐다. 마침내 예수는 죽음을 앞두고 그 저주를 풀었던 것이다. 역사는 이렇듯 예수의 '말씀'을 통해 신의 소유였던 빵이 인간에게 귀속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영혼을 구하는 양식으로서의 빵이 오늘날에는 '식량의 무기화'라는 폭력으로 둔갑하고 있으니 이것이야말로 인류의 가장 큰 죄악이므로 빵은 다시 신에게 귀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IV. 참고문헌
『그림으로 읽는 세계사 이야기2』, 김희보, 가람기획, 1999.
『서양문명의 역사Ⅱ』, E.M 번즈·R. 러너·S. 미첨, 소나무, 1995.
『빵의 역사』, E. 야곱, 우물이 있는길, 2002.
『유럽의 음식문화』, M. 몬타나리, 새물결, 2001
『서양사강의』, 배영수, 한울아카데미, 2000
『거울에 비친 유럽』, J. 폰타나, 새물결, 2000
동아대백과 사전
동아새국어 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