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플라톤의 이데아와 그 현대적 효용
2. 데카르트- 생각하는 자아의 존재의 확실성은 더 이상 의심할 여지가 없는가
3.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다이모니아(행복)은 인생의 목적으로 추구되는가
4. 흄- 원인과 결과사이에 필연적 결합이 없다는 흄의 결론은 타당한가
5. 로크- 자연법은 인간이라면 누구든지 반성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신이 부여한 법인가
2. 데카르트- 생각하는 자아의 존재의 확실성은 더 이상 의심할 여지가 없는가
3.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다이모니아(행복)은 인생의 목적으로 추구되는가
4. 흄- 원인과 결과사이에 필연적 결합이 없다는 흄의 결론은 타당한가
5. 로크- 자연법은 인간이라면 누구든지 반성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신이 부여한 법인가
본문내용
수 있는가의 의문을 가지게 된다. 로크는 자연법의 출처를 신에게 의존한다. 그러나 본유원리를 부정하는 그에게 자연 상태에서도 구체적으로 발현되는 자연법의 원리를 도출할 근거가 없다. 또한 신이 부여한 법이라면 과연 사회를 다시 조직해야 할 정도로 불완전한 것 일수 있는가의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
나는 자연법에 대한 설명은 홉스의 것이 오히려 더 설득력 있다고 본다. 적어도 홉스는 이성을 중시하는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이성에 근거한 자연법, 그로 인한 사회 계약의 논리는 타당성이 더욱 커 보인다.
나는 사회조직의 이전에 법은 신이 부여한 것이 아닌 이기적인 선악구분을 토대로 한 경험적 법이라고 생각한다. 즉, 이익추구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에게 좋음과 나쁨을 구별하고 경험적으로 좋음을 취하고 나쁨을 배제하는 과정에서 더 큰 좋음을 위해 작은 나쁨을 택하기도 하는 융통성이 발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가 공통적으로 따르게 되는 법체계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 법은 어느 정도 공동의 이익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법체계는 매우 불완전하여 사람들은 여전히 공포와 불안을 느낄 것이다. 왜냐하면 철저히 이기적인 사고에 의해서 선택된 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서로의 약속에 의하여 자신의 안전을 보장할 힘을 만들고 싶어 할 것이고, 이로 인해 사회 계약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로크의 자연법은 그의 경험주의적 견해와 위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없고, 때문에 그 자연법이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누구든지 반성적 사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그런 것이라는 확신에 순순히 동의하기는 어렵다.
나는 자연법에 대한 설명은 홉스의 것이 오히려 더 설득력 있다고 본다. 적어도 홉스는 이성을 중시하는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이성에 근거한 자연법, 그로 인한 사회 계약의 논리는 타당성이 더욱 커 보인다.
나는 사회조직의 이전에 법은 신이 부여한 것이 아닌 이기적인 선악구분을 토대로 한 경험적 법이라고 생각한다. 즉, 이익추구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에게 좋음과 나쁨을 구별하고 경험적으로 좋음을 취하고 나쁨을 배제하는 과정에서 더 큰 좋음을 위해 작은 나쁨을 택하기도 하는 융통성이 발휘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다수가 공통적으로 따르게 되는 법체계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 법은 어느 정도 공동의 이익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법체계는 매우 불완전하여 사람들은 여전히 공포와 불안을 느낄 것이다. 왜냐하면 철저히 이기적인 사고에 의해서 선택된 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서로의 약속에 의하여 자신의 안전을 보장할 힘을 만들고 싶어 할 것이고, 이로 인해 사회 계약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로크의 자연법은 그의 경험주의적 견해와 위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없고, 때문에 그 자연법이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누구든지 반성적 사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그런 것이라는 확신에 순순히 동의하기는 어렵다.
추천자료
서양의 철학사
서양의사상(아리스토텔레스).
서양 근현대 윤리사상
서양 교육 철학
교육철학 그리스, 로마, 공자, 맹자, 동 서양 , 체벌
서양 근대(근세) 철학
[서양윤리학사(로버트 애링턴)]에서 나타나는 `니체`의 철학
중세철학이 근대철학으로 변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서양의 중세유럽의 대표적인 교육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중 한명의 철학자의 아동관...
고대 그리스, 로마 철학가들에 대해서 [서양교육사] - 크세노폰, 이소크라테스, 키케로, 퀸틸...
중세시대 교육에 대해서 [서양교육사] - 중세교육의 개관, 중세 시대의 특징, 중세 기독교 사...
서양교육사 - 임용고시 대비{스파르타 교육,아테네교육,소피스트,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의 철학과 윤리]서양에서의 인권 발달사3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서양의 유아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