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정의 교육정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미군정의 정책목표

2 미군정의 교육정책
1) 미국의 군사적지배를 합리화
2) 미국식교육을 확산
3) 반공이데올로기 확산

3 국대안과의 관련성

4 미군정이 행한 교육정책의 잘못된 점

본문내용

육적 노력은 철저하게 차단 당했다고 할 수 있지.
또, 미군정이 초등, 중등, 고등교육을 발전시켰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말이야. 공사립학교의 개학, 학교교육의 원상회복, 초등의무교육 실시계획 등을 통해서 미군정이 궁극적으로 의도한 것은 한국인들의 지지를 얻는 것에 불과했어. 현실적으로는 교실, 교사, 교재의 부족으로 인해서 그런 계획들의 정상적인 실시는 불가능했지. 질적, 물질적 교육여건 향상을 위한 조치는 거의 취하지 않고 선전만 한 거야.
기여는커녕 오히려 해를 끼친 예가 있지. 1945년 11월 당시 미군은 45,000명의 학생들이 1부재 수업을 할 수 있는 규모의 중등학교 건물들을 점령해 사용하고 있었거든. 그런데, 1946년 2월의 통계에 의하면 당시 중등학교에는 76,467명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었데. 그리고 당시 대부분의 학교는 폭증하는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 2부제로 운영되고 있었고. 미군정이 한국교육 재건에 있어서 기여자가 아니라 장애물 그 자체였다는 점을 말해주는 대목이지.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을 통한 미군정의 실질적인 의도가 교육독점과 진보적인 교수의 축출에 있었다는 것도 다 아는 사실이야.
해방과 함께 우리나라 교육은 민족의 당면과제인 봉건성과 식민성의 극복을 통한 자주적 민족국가의 수립에 기여해야 했어. 그리하여 최종적으로는 우리민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교육이 큰 역할을 맡아줘야 했지.
하지만, 미군정에 의해서 우리나라의 현대교육은 시작부터 크게 왜곡되어 버렸어.
그래서 나는 미군정이 우리나라에서 행한 교육정책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야!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