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1. 지적 능력
1) 지능의 개념
2) 지능의 측정
3) 지능지수 해석상의 유의점
2. 최근의 지능이론
1) 다중지능이론
2) 삼원지능이론
3. 창의력
1) 창의적인 사람의 지적 특징
2) 창의적인 사람의 정의적 특징
4. 지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1) 지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2) 창의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5. 지력의 발달
1) 지력의 양적 발달
2) 지능의 질적 발달 : 피아제의 이론
6. 지력 발달에 미치는 요인
1. 지적 능력
1) 지능의 개념
2) 지능의 측정
3) 지능지수 해석상의 유의점
2. 최근의 지능이론
1) 다중지능이론
2) 삼원지능이론
3. 창의력
1) 창의적인 사람의 지적 특징
2) 창의적인 사람의 정의적 특징
4. 지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1) 지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2) 창의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5. 지력의 발달
1) 지력의 양적 발달
2) 지능의 질적 발달 : 피아제의 이론
6. 지력 발달에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대해서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은 아직 상상할 수 없다.
(6)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
이 단계에 이르면 아동은 가장 성숙한 인지적 조작능력을 갖게 된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을 넘어서는 문제를 다를 수 있게 된다. 마음속에만 존재하는 추상적인 사물들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이론\'을 구성하고, 그것에 관한 직접적인 경험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결과에 대한 논리적인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탈중심화. 가역성, 추상적 사고가 충분히 발달되어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생각하며, 추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자료를 조직하여 과학적으로 추리하며 가설을 설정한다. 형식적 조작의 특징은 바로 유합적 사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아제가 설명하는 조합적 사고의 문제를 보자.
아동에게 무색의 액체가 들어있는 5개의 병을 보여준다. 이 중 세 개의 병의 액체를 섞으면 노란색의 액체가 된다. 아동에게 섞어서 만든 노란색 액체를 보여주고 5병의 액체들을 섞어서 노란색을 만들어 보게 한다 그러면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거의가 무작정 두 액체를 섞어 짝을 지우고는 탐색을 멈추어 버리지만,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들은 노란색이 얻어질 때까지 두 가지, 세 가지 액체를 계속해서 조합하고, 또 일단 노란색이 얻
어진 뒤에도 남은 조합들을 계속해서 다른 가능성을 찾아본다. 이러한 조합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몇 가지는 고정시키고 다른 요인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청소년기를 통해서 지적 발달은 형식적 조작을 다루는 데 있어서 더욱 복잡한데로 나아간다.
6. 지력 발달에 미치는 요인
인간의 지적 능력은 유전이라는 청사진에 의해서 완전히 정착된 것인가, 아니면 환경의 작용에 의해서 가변성이 있는 것인가? 즉 인지적 지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환경의 질의 향상, 또는 교육을 통하여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만일, 지능이 유전에 의하여 완전히 결정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에서 지능이 자동적으로 피어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지능의 개발이란 생각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우리는 지능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검토한 바 있다. 과연, 어떠한 환경조건에서 지능이 신장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많은 심리학자들이 환경이 지능에 크게 작용한다는 주장과 이 주장을 지지해 주는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헌트(J. McV Hunt, 1961, 1963)는 지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유전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그러나 지능이란 비교적 변화될 수 없는 것으로서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되었다는 관점에 대해서는 통렬히 반박하고 있다. 그는 지능의 \'가변성\'을 주장하면서 지능을 결정하는 데는 환경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다 그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훈련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같은 아동들에 대한 계속적 연구, 일란성 쌍아 연구 등을 인용하면서 풍요한 환경, 특히 아동의 초기의 환경이 IQ점수상의 차이를 결정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환경론자들의 주장을 지지해 주는 연구로서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히버(R. Hebe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되었다(1970, 1972). 히버는 미국 중북부 미네소타주의 밀워키시의 낙후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IQ 75이하의 혹인 여자들을 분류하고, 이들의 자녀들을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통제집단의 아동들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는 1주일에 5일간 7-8시간 집중적으로 언어자극, 지적 자극을 주었다. 이것을 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했다. 3개월부터 1세까지는 같은 환경에서 자란 비전문적인 교사 한 사람이 한 아이씩 맡았으며, 1세 이후에는 2-5명씩 집단으로 지도를 했다.
이러한 개별적 위치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 것이긴 하지만, 실험집단이 얻은 것도 엄청난 것이었다 (그림 4-3)에 보인 바와 같이 2세 때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IQ가 25점이나 높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5세반이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조금씩 커졌다.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자기 어머니보다도 IQ가 약 50정도 더 높아졌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두드러지게 높은 IQ점수를 나타내는 것은 환경주의자들의 주장을 상당히 지지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면의 방대한 문헌을 종합한 브룸(Bloon,1964)은 인간의 지력이 가정과 학교에서의 적당한 환경적 조건과 학습경험을 통하여 상당한 정도까지 개선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즉, 어떤 환경적 조건에서 인간의 지력이 신장될 수 있는지, 지력발달을 위한 풍요한 환경, \'메마른 환경\'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일반적인 지력발달을 위해서 풍요한 조건은 언어사용을 위한 훌륭한 시범(model)이 주어지며 언어적 발달을 고무하고 자극하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언어사용의 좋은 시범이 주어지지 않고 아동의 언어적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은 지능의 발달을 가로막거나 지체시킬 가능성이 많다.
둘째, 주위 환경 속의 여러 문화적 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적 접촉이나 독서 등에 의한 대리적인 교섭의 기회가 풍부할수록 지적 능력의 발달을 위해서는 유리하고 풍요한 환경적 조건이 될 것이다.
셋째, 일상생활이나 학교 생활에서 명석한 사고를 요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자발적으로 그리고 자력으로 해결해 나가도록 자극하는 분위기가 지력의 발달을 촉진할 것으로 믿어진다. 반대로 이러한 지적 활동의 기회를 제한하고 자력에 의한 문제해결을 억제하는 환경 속에서 지력의 발달이 저조하리라는 것은 상상하기가 어렵지 않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자녀 사이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의 성질이 지력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윌프(R. M. Wolf, 1963)의 연구에 의하면, 지능의 발달에 있어서는 단순한 사회경제적 지위나 부모의 교육 수준 및 직종과 같은 지위변인보다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교섭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취동기와 언어발달에 대한 압력 등 가정의 사회심리적 과정변인이 IQ와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6)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
이 단계에 이르면 아동은 가장 성숙한 인지적 조작능력을 갖게 된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을 넘어서는 문제를 다를 수 있게 된다. 마음속에만 존재하는 추상적인 사물들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이론\'을 구성하고, 그것에 관한 직접적인 경험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결과에 대한 논리적인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탈중심화. 가역성, 추상적 사고가 충분히 발달되어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생각하며, 추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자료를 조직하여 과학적으로 추리하며 가설을 설정한다. 형식적 조작의 특징은 바로 유합적 사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피아제가 설명하는 조합적 사고의 문제를 보자.
아동에게 무색의 액체가 들어있는 5개의 병을 보여준다. 이 중 세 개의 병의 액체를 섞으면 노란색의 액체가 된다. 아동에게 섞어서 만든 노란색 액체를 보여주고 5병의 액체들을 섞어서 노란색을 만들어 보게 한다 그러면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거의가 무작정 두 액체를 섞어 짝을 지우고는 탐색을 멈추어 버리지만,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들은 노란색이 얻어질 때까지 두 가지, 세 가지 액체를 계속해서 조합하고, 또 일단 노란색이 얻
어진 뒤에도 남은 조합들을 계속해서 다른 가능성을 찾아본다. 이러한 조합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몇 가지는 고정시키고 다른 요인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청소년기를 통해서 지적 발달은 형식적 조작을 다루는 데 있어서 더욱 복잡한데로 나아간다.
6. 지력 발달에 미치는 요인
인간의 지적 능력은 유전이라는 청사진에 의해서 완전히 정착된 것인가, 아니면 환경의 작용에 의해서 가변성이 있는 것인가? 즉 인지적 지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환경의 질의 향상, 또는 교육을 통하여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만일, 지능이 유전에 의하여 완전히 결정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에서 지능이 자동적으로 피어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지능의 개발이란 생각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우리는 지능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검토한 바 있다. 과연, 어떠한 환경조건에서 지능이 신장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많은 심리학자들이 환경이 지능에 크게 작용한다는 주장과 이 주장을 지지해 주는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헌트(J. McV Hunt, 1961, 1963)는 지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유전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그러나 지능이란 비교적 변화될 수 없는 것으로서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되었다는 관점에 대해서는 통렬히 반박하고 있다. 그는 지능의 \'가변성\'을 주장하면서 지능을 결정하는 데는 환경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다 그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훈련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같은 아동들에 대한 계속적 연구, 일란성 쌍아 연구 등을 인용하면서 풍요한 환경, 특히 아동의 초기의 환경이 IQ점수상의 차이를 결정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환경론자들의 주장을 지지해 주는 연구로서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히버(R. Hebe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되었다(1970, 1972). 히버는 미국 중북부 미네소타주의 밀워키시의 낙후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IQ 75이하의 혹인 여자들을 분류하고, 이들의 자녀들을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통제집단의 아동들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는 1주일에 5일간 7-8시간 집중적으로 언어자극, 지적 자극을 주었다. 이것을 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했다. 3개월부터 1세까지는 같은 환경에서 자란 비전문적인 교사 한 사람이 한 아이씩 맡았으며, 1세 이후에는 2-5명씩 집단으로 지도를 했다.
이러한 개별적 위치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 것이긴 하지만, 실험집단이 얻은 것도 엄청난 것이었다 (그림 4-3)에 보인 바와 같이 2세 때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IQ가 25점이나 높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5세반이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조금씩 커졌다.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자기 어머니보다도 IQ가 약 50정도 더 높아졌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두드러지게 높은 IQ점수를 나타내는 것은 환경주의자들의 주장을 상당히 지지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면의 방대한 문헌을 종합한 브룸(Bloon,1964)은 인간의 지력이 가정과 학교에서의 적당한 환경적 조건과 학습경험을 통하여 상당한 정도까지 개선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즉, 어떤 환경적 조건에서 인간의 지력이 신장될 수 있는지, 지력발달을 위한 풍요한 환경, \'메마른 환경\'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일반적인 지력발달을 위해서 풍요한 조건은 언어사용을 위한 훌륭한 시범(model)이 주어지며 언어적 발달을 고무하고 자극하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언어사용의 좋은 시범이 주어지지 않고 아동의 언어적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은 지능의 발달을 가로막거나 지체시킬 가능성이 많다.
둘째, 주위 환경 속의 여러 문화적 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적 접촉이나 독서 등에 의한 대리적인 교섭의 기회가 풍부할수록 지적 능력의 발달을 위해서는 유리하고 풍요한 환경적 조건이 될 것이다.
셋째, 일상생활이나 학교 생활에서 명석한 사고를 요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자발적으로 그리고 자력으로 해결해 나가도록 자극하는 분위기가 지력의 발달을 촉진할 것으로 믿어진다. 반대로 이러한 지적 활동의 기회를 제한하고 자력에 의한 문제해결을 억제하는 환경 속에서 지력의 발달이 저조하리라는 것은 상상하기가 어렵지 않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자녀 사이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의 성질이 지력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윌프(R. M. Wolf, 1963)의 연구에 의하면, 지능의 발달에 있어서는 단순한 사회경제적 지위나 부모의 교육 수준 및 직종과 같은 지위변인보다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교섭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취동기와 언어발달에 대한 압력 등 가정의 사회심리적 과정변인이 IQ와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 행동주의 학습이론
교육심리학의 개념 성격 관련자료
교육심리학의 성격 및 역할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역할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 심리학 학문적 성격 연구목적 태동기 성립기 발전기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학문적 성격 학문적 교육학 심리학
교육심리학 적응기제 적응기제의 필요성 합리적 행동 적응기제의 분류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의 정의 교육심리학의 목적...
교육심리학 -발달부터 지능까지의 중간고사 대비 요약본 (청/주/대)
교육심리학이란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교육적시사점 2 계속적강화 간헐적강화 유용성, 네가지 강화계...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2 계속적강화 유용성,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