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교육․․․․․․․․․․․․․․․․․․․․․․․․․․1
(2) 심리학․․․․․․․․․․․․․․․․․․․․․․․․․1
Ⅱ본론
(1) 교육심리학의 정의 ․․․․․․․․․․․․․․․․․․․1
(2) 교육심리학의 성격 ․․․․․․․․․․․․․․․․․․․2
(3) 교육심리학의 발달 ․․․․․․․․․․․․․․․․․․․3
1) 태동기
2) 성립기
3) 발전기
(4) 교육심리학의 연구목적 ․․․․․․․․․․․․․․․․․․4
1) 이해(Understanding)
2) 예측(Prediction)
3) 통제(Control)
Ⅲ결론
(1)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5
(1) 교육․․․․․․․․․․․․․․․․․․․․․․․․․․1
(2) 심리학․․․․․․․․․․․․․․․․․․․․․․․․․1
Ⅱ본론
(1) 교육심리학의 정의 ․․․․․․․․․․․․․․․․․․․1
(2) 교육심리학의 성격 ․․․․․․․․․․․․․․․․․․․2
(3) 교육심리학의 발달 ․․․․․․․․․․․․․․․․․․․3
1) 태동기
2) 성립기
3) 발전기
(4) 교육심리학의 연구목적 ․․․․․․․․․․․․․․․․․․4
1) 이해(Understanding)
2) 예측(Prediction)
3) 통제(Control)
Ⅲ결론
(1)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5
본문내용
를 설명할 수 있어야 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변인의 값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다른 변인의 값을 미리 알 수 있어야 하며, 통제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어떤 변인의 값(목표로 하는 결과)을 얻기 위해 그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1) 이해(Understanding)
이해는 어떤 논리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농구공은 테니스공보다 크고 테니스공은 탁구공보다 크다면, 농구공은 탁구공보다 클것이다. 또 A가 B를 결정하고 B가 C를 결정한다면, A는 C를 결정할 것이다. 이와 같은 예에서 세 변인들 사이의 어떤 논리성을 발견한다면 이는 곧 이해를 한 것이다.
Bidwell과 Kasarda(1975)의 연구에서 보면, 학교재정은 교사 1인당 학생수와 관련되고 교사 1인당 학생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관련된다. 따라서 학교재정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는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 이들 세 변인을 관련지음으로써 어떤 논리성을 발견할 수 있고, 논리적 관계성을 발견함으로써 이들 변인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2) 예측(Prediction)
우리는 학업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학업적성검사를 이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능지수 120인 김군이 지능지수 115인 이군보다 성적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어느 개인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예외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능이 높을수록 성적도 좋은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어서 예외인 경우도 적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때의 학업적성검사 점수(A)가 높은 사람일수록 대학 1학년
1) 이해(Understanding)
이해는 어떤 논리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농구공은 테니스공보다 크고 테니스공은 탁구공보다 크다면, 농구공은 탁구공보다 클것이다. 또 A가 B를 결정하고 B가 C를 결정한다면, A는 C를 결정할 것이다. 이와 같은 예에서 세 변인들 사이의 어떤 논리성을 발견한다면 이는 곧 이해를 한 것이다.
Bidwell과 Kasarda(1975)의 연구에서 보면, 학교재정은 교사 1인당 학생수와 관련되고 교사 1인당 학생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관련된다. 따라서 학교재정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는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 이들 세 변인을 관련지음으로써 어떤 논리성을 발견할 수 있고, 논리적 관계성을 발견함으로써 이들 변인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2) 예측(Prediction)
우리는 학업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학업적성검사를 이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능지수 120인 김군이 지능지수 115인 이군보다 성적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어느 개인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예외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능이 높을수록 성적도 좋은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어서 예외인 경우도 적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때의 학업적성검사 점수(A)가 높은 사람일수록 대학 1학년
추천자료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발달심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동기유발이론, 교육심리(교육...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도식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욕구감소이론과 ...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대표적 경향, 교육심리학(교육심리)의 인지발달이론과 창의력발달이...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분류와 배경,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인지적 특성, 교육심리(교육심...
교육심리학(교육심리) 준비도와 전이이론, 교육심리학(교육심리) 발달과업이론,지능발달이론,...
[교육education심리학] 교육 심리학의 적용(교사의 역할) - 교육현장에서의 교육 심리학의 적...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과 자신의 앞으로의 계획...
교육심리학 2016년) 1.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교육심리학_각 교육현장에서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하여 교육심리학 이론을 잘 이해하여야 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