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의 교육과 교육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하의 교육과 교육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제하 교육의 전개
1. 제 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10.8 - 1922.2)
2. 제 2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22.2 - 1938.3)
3. 제 3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38.3 - 1943.3)
4. 제 4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43.3 - 1945.8)
5. 일제하 교육의 폐해

Ⅲ. 일제하 민족교육운동
1.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2. 수업연한의 단축
3. 복선제의 도입
4. 직업과 교과의 도입
5. 교육여건악화 및 수업료 징수
6. 외국어학교와 성균관의 폐지
7. 실업기능교육의 실시
8. 국민학교령(1941)
9. 간이학교제의 도입

Ⅲ. 일제하 민족교육운동
1.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2. 문자보급 운동과 문맹퇴치 운동
3. 야학을 통한 민족교육운동
4. 서당의 민족교육운동
5. 신간회의 민족교육운동

본문내용

과 농업, 양잠, 노동독본 등 실용적인 과목을 가르쳤다. 시사, 토론, 조선역사, 지리, 창가 등의 과목을 통해 민족 자주의식과 반일의식을 고취. 노농야학은 1930년 이후 일제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어 대부분 폐쇄되고 교사들도 체포됨으로써 지하로 숨어들게 되었다.
4. 서당의 민족교육운동
서당교육의 주체세력은 민족주의자들과 개화기의 의병투쟁에 참가했던 양반, 유생들이었다. 단순한 지식교육을 넘어서 민중을 교화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문맹퇴치운동 또한 실시.
5. 신간회의 민족교육운동
신간회는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주체적으로 연합하여 절대독립을 위한 투쟁을 전개한 민족적 결사운동 단체였다.
1) 일제식민지교육에 대한 저항
비정규적 교육형태인 사회교육적 활동을 전개한 신간회는 식민지 교육의 철폐를 위해 조선인 위주의 교육, 관공립, 사립학교에 대한 경찰 간섭의 배제, 조선인 아동의 의무교육제 실시, 야학허가, 간이문고의 설치 등을 요구했다.
2) 민족해방을 위한 의식화 교육
신간회는 지방강연회, 노동자, 농민, 학생들의 비밀결사조직, 사회과학 연구의 보급, 야학의 설치 등을 통해 민중들이 처한 상황을 인식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직접 식민지 투쟁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3) 문자보급운동
신간회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으로 인한 문화적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어학회와 함께 문자보급운동을 전개하였다.
6. 국외의 민족교육운동
1) 간도 지역의 민족교육운동
① 서전서숙(1906) : 고종의 밀사였던 이상설이 설립한 학교로 신학문을 통한 철저한 반일 민족교육을 지향했다.
② 명동서숙(1908) : 명동서숙은 1909년 명동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10년 중학교를 병설하여 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민족교육기관으로 성장하였다.
③ 신흥무관학교(1910) : 비밀결사인 ‘신민회’의 이동녕, 이시영 등이 설립한 신흥강습소가 발전한 것으로 무관양성교육을 했다.
④ 명동학교 이후 많은 학교가 설립되어 1916년 일제의 조사에 따르면 161개 학교에, 학생 수는 4,094명에 이르렀다.
2) 연해주 지역의 민족교육운동
① 계동학교(1907) : 블라디보스톡의 신한촌에 설립된 학교로 7-8세에서 12-13세 사이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문, 한글, 습자, 산술, 수신, 체조, 한국지리 등을 가르쳤다.
② 1925년 연해주 교육부의 조사에 의하면, 학교 수 180여 개에 학생 수는 8,000명에 이르렀다.
관련서적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1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