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에서의 경음화 (1~2)
ㄱ, ㄷ, ㅂ, ㅅ, ㅈ
2. 한국어처럼 쓰이는 외국어의 경음화 현상(2~5)
ㄱ, ㄷ, ㅂ, ㅅ, ㅈ, ㅊ, ㅌ,
##### 어두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분석과 원인, 이유(5~7p)
4. 신조어(7~10)
신조어와 유행어의 구분와 신조어 이유(10~12)
ㄱ, ㄷ, ㅂ, ㅅ, ㅈ
2. 한국어처럼 쓰이는 외국어의 경음화 현상(2~5)
ㄱ, ㄷ, ㅂ, ㅅ, ㅈ, ㅊ, ㅌ,
##### 어두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분석과 원인, 이유(5~7p)
4. 신조어(7~10)
신조어와 유행어의 구분와 신조어 이유(10~12)
본문내용
◎ 한국어에서 경음화되는 현상
<ㄱ>
▷ 가시나무 → 까시나무
▷ 가죽 → 까죽
▷ 거꾸로 → 꺼꾸로
▷ 고소하다 → 꼬소하다
▷ 개구리 → 깨구리
▷ 곱추 → 꼽추
▷ 고추 → 꼬추
▷ 구정물 → 꾸정물
▷ 곶감 → 꽂감, 꽂깜
▷ 가지 → 까지
▷ 골목 → 꼴목
▷ 고추장 → 꼬추장
▷ 곰지락거리다 → 꼼지락거리다
▷ 갓난아이 → 깟난아이
▷ 건수 → 껀수
▷ 굽다 → 꿉다
▷ 가마득하다 → 까마득하다
▷ 가탈스럽다 → 까탈스럽다
<ㅈ>
▷ 족제비 → 쪽제비
▷ 자장면 → 짜장면
▷ 장아찌 → 짱아찌
▷ 족집게 → 쪽찝께
▷ 질기다 → 찔기다
▷ 좀도둑 → 쫌도둑, 쫌또둑
▷ 조금 → 쪼금, 쫌
▷ 졸이다 → 쫄이다
▷ 장대 → 짱때,
▷ 잔뜩 → 짠뜩
▷ 장어 → 짱어
▷ 작다 → 짝다
▷ 자작거리다 → 짜작거리다
▷ 줄이다 → 쭐이다
▷ 조그맣다 → 쪼그맣다
▷ 존득하다 → 쫀득하다
<ㄷ>
▷ 도르래 → 또르래
▷ 다음에 → 따음에, 땀에
<ㅂ>
▷ 볶음밥 →
<ㄱ>
▷ 가시나무 → 까시나무
▷ 가죽 → 까죽
▷ 거꾸로 → 꺼꾸로
▷ 고소하다 → 꼬소하다
▷ 개구리 → 깨구리
▷ 곱추 → 꼽추
▷ 고추 → 꼬추
▷ 구정물 → 꾸정물
▷ 곶감 → 꽂감, 꽂깜
▷ 가지 → 까지
▷ 골목 → 꼴목
▷ 고추장 → 꼬추장
▷ 곰지락거리다 → 꼼지락거리다
▷ 갓난아이 → 깟난아이
▷ 건수 → 껀수
▷ 굽다 → 꿉다
▷ 가마득하다 → 까마득하다
▷ 가탈스럽다 → 까탈스럽다
<ㅈ>
▷ 족제비 → 쪽제비
▷ 자장면 → 짜장면
▷ 장아찌 → 짱아찌
▷ 족집게 → 쪽찝께
▷ 질기다 → 찔기다
▷ 좀도둑 → 쫌도둑, 쫌또둑
▷ 조금 → 쪼금, 쫌
▷ 졸이다 → 쫄이다
▷ 장대 → 짱때,
▷ 잔뜩 → 짠뜩
▷ 장어 → 짱어
▷ 작다 → 짝다
▷ 자작거리다 → 짜작거리다
▷ 줄이다 → 쭐이다
▷ 조그맣다 → 쪼그맣다
▷ 존득하다 → 쫀득하다
<ㄷ>
▷ 도르래 → 또르래
▷ 다음에 → 따음에, 땀에
<ㅂ>
▷ 볶음밥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