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희곡개론] 연극 Hamlet을 보고 - 보고 듣는 즐거움을 주는 Hamle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희곡개론] 연극 Hamlet을 보고 - 보고 듣는 즐거움을 주는 Hamle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이나 많은 다른 연출가나 배우들에 의해 무대에 올려졌던 연극 Hamlet들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같은 희곡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연극임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이 원작이나 다른 공연들과 다를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을 만드는 이들이 하나의 희곡 작품을 원작 그대로 공연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해석과 공연방식으로 원작을 새롭게 만들어 내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어느 문학작품이든 누가 읽느냐에 따라, 언제 읽느냐에 따라 그 해석이 다양하듯이 하나의 희곡작품에 대한 해석도 누가 연출하고 연기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해석이나 공연방식에 대한 고민 없이 원작에만 충실한 연극은 그 작품이 쓰여진 시대나 공간에 살고 있지 않은 관객들에게는 공감이나 재미,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극을 보게 될 관객들의 흥미와 성향을 잘 고려하여 그들에게 맞추기 위해 새로운 요소들을 가미하고, 그러면서도 원작에 비교적 충실했던 이 연극은 그런 의미에서 높이 살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을 우리사회와 우리시대에 잘 맞아떨어지는 완벽한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왜냐하면 어떤 공연이든 원작의 묘미를 완전히 살리기는 어렵듯이 이 공연도 셰익스피어 원작을 완전히 소화해서 그것이 지닌 장점들을 공연 속에 모두 담아내지는 못했고, 현대적 요소와 한국적 요소의 가미를 통해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자 했으나 그 요소들이 원작과 충분히 어우러지지 못함으로써 원작과 새로 가미된 것들이 따로따로 분리되어 오히려 작품의 통일성이 약해졌고, 관객들에게 자신의 얘기를 듣는 듯한 공감을 자아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공연을 다 보고 나서 남는 마지막 느낌은 이런 아쉬움 반, 그리고 눈으로만 읽었던 Hamlet을 눈으로 직접 보고 귀로 직접 들을 수 있었다는 것에서 오는 즐거움 반이었다. 그리고 그 즐거움은 공연의 큰 규모와 배우들의 호연, 충분한 볼거리와 들을거리를 통해 배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공연의 작품성이나 완성도에 대해 운운하는 것은 좀 어려울 것 같지만 두 시간 동안 지루하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Works Cited
이윤택. 『연극작업-햄릿 읽기』. 밀양: 우리극 연구소, 2001.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