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작품분석]David Henry Hwang의 M. Butterfly에서 나비는 어디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미작품분석]David Henry Hwang의 M. Butterfly에서 나비는 어디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주변화된 것들의 재평가

Ⅱ. 본론
가부장제의 이분법적 사고 같은 전형성에서의 탈피

Ⅲ. 결론
편견이라는 그물망에서 벗어나기

본문내용

없을 정도로 가까운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0이 되는 것은 아무 것도 아닌 존재, 별 볼 일없는 존재로 여기는데 비해 1, 즉 넘버원이 된다는 것은 승자, 여러 명 중 최고, 정상이 되는 것으로 여기는 데서 알 수 있다. - Laurie Anderson HOME OF THE BRAVE : ZERO AND ONE OF THE MODERN COMPUTER AGE
또한 가부장제의 이분법적 분류처럼 정말로 이성과 감정이 분리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만약 한 연인이 있다고 하자. 두 사람의 데이트를 하는데 남자가 시종일관 시무룩한 표정으로 있어서 여자는 화를 내고 집으로 돌아가 버렸다고 치자. 그러나 그 다음날 그녀가 어제 그가 몸이 아팠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만나기 위해 그가 그 자리에 나왔고, 그녀가 걱정할까봐 그 사실을 숨겼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면, 그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더욱 깊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런 상황에서 감성과 이성이 분리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처럼 이성과 감성 또한 0과 1처럼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관념이라는 틀 속에 갇혀서 지내는 것은 우리의 사고의 폭을 좁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과의 어울림에 있어서도 큰 걸림돌이 된다. 사회는 남성, 또는 여성 어느 한 편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톱니바퀴가 한 쪽은 이가 나오고 다른 쪽은 들어가 맞물려 돌아가듯이 사회 또한 상호교류에 의해서만 돌아갈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판단을 내리거나 행동하는데 있어서 다른 이의 입장에 먼저 서 보는 것이며, 자신과 다른 이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한 자세가 갖추어진다면,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위치에서 한 쪽이 상대편을 억압하는 일은 사라질 것이다. 우리는 이제껏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나비처럼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환상과 현실이라는 가부장제의 이분법적 틀 안에서 이리저이 치이며 혼란을 경험해왔다. 그러나 나비가 애벌레에서 번데기 과정을 거쳐 다시 태어나듯이 우리도 우리를 억압했던 무거운 편견이라는 고치를 벗고 자유로이 비상하는 진정한 의미의 나비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Hwang, David Henry, M. Butterfly, ed 이희원, M. 나비, 도서출판 동인(1998)
사브리나 P. 라멧, Gender Reversals & Gender Cultures, ed 노최영숙, 여자 남자 그리고 제3의 성, 도서출판 당대(2001)
Toril Moi, Sexual/ Textual Politics, ed 임옥희 이명호 정경심,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한신문화사(1994)
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살림(1992), 311∼312p
Thomas Bulfinch, 그리스 로마신화, 이윤기 편역, 도서출판 창해(2000), 511p

『한겨례』 1994.04.15. M.버터플라이(M.Butterfly), 1993
David Ansen, 84 Newsweek October 18,1993
『한겨레』1994.02.18.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1994
<기타>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CD-ROM), 문장 대백과(CD-ROM),
세계문화상징사전(까치), 한국문화상징사전(동아출판사) A Dictionary of
Symbols(Barnes & Noble Books), The Dictionary of Symbols(Penguin Books)
www.uos.ac.kr/~ykryu/feminism/articles/dhhwang.htm
박태영의 오페라 리뷰 www. beowulf. pe. kr
www.av-news.com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1.18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