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장애인 가족의 개념 및 현황
2. 장애 유형별 특성의 이해
3.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
4. 장애인 가족에 대한 개입
Ⅲ. 결 론
Ⅱ. 본 론
1. 장애인 가족의 개념 및 현황
2. 장애 유형별 특성의 이해
3.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
4. 장애인 가족에 대한 개입
Ⅲ. 결 론
본문내용
담당함.
나) 부모교육
-소집단 교육 : 20명 미만, 주1~2회 정도로 1~3개월 과정으로 하게 됨. 부모에게 집중적인 교육을 통하여 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대규모 공개강의 : 1회성 행사의 성격, 외부강사를 초빙하는 형식으로, 한 번에 많은 인원이 참석할 수 있으나 교육의 내용에 대한 질적인 확보가 어렵다는 단 점이 있음.
다) 가족 사정 및 상담
-장애인에 대한 사정과 더불어 가족의 잠재력, 강점 등을 사정하여, 장애인의 서 비스 제공 시에 가족자원을 발견하고, 부족한 자원을 지원, 원조할 수 있도록 함.
-가족상담은 가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수시로 제공되는데, 부모의 장애수용, 가족관계의 불화, 스트레스 등 정서적 욕구 부분과 장애인 등록과 같은 재활정보 를 전달하는 역할도 담당함.
라) 가족캠프
-가족을 하나의 기능단위로 보고, 가족전체가 참석하여 가족의 응집력과 하나됨 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데, 아버지의 불참이 많아 모자캠프가 되는 경 우가 많음.
-비장애형제자매를 위한 형제자매캠프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장애형제로 인한 다양한 어려움과 감정을 같이 나누고 감정이입함으로써 비장애형제자매 들이 장애형제자매들에 의한 어려움을 같이 나누고자 하는 프로그램임.
마) 부모집단상담
-스트레스 대처훈련, 현실치료적용 등 하나의 심도 깊은 주제를 놓고 주1~2회, 총 8~10회 정도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으로, 집단사회사업을 적용하여 실시하 며 주로 유사한 장애형태와 장애정도, 연령 등 클라이언트군이 동종 집단일때 더 효과가 큼.
-동료 장애인 부모로부터 직접적인 수용경험, 어려움 극복 등을 듣게 되므로 동 료상담을 통한 교육적, 지지적 효과가 부가적으로 나타남.
바) 부모 여가활용프로그램
-장애아동이나 성인으로 인한 만성적 긴장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구조적으로 제공하고자, 종이접기나 서예, 노래교실 등 다양한 여가활용 프로그램 을 실시함.
Ⅲ. 결 론
앞에서 우리는 각 영역별 장애의 특성과 장애인 가족의 문제점과 대책, 그리고 이런 대책을 위한 이론적 관점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개개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장애인 가족 전체의 문제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그 대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공통된 장애인 가족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애 고유성을 인정한 개별적인 장애별 가족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대응해서 현장에서 적절히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인도 독립된 인격체로서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술적, 재정적으로 뒷받침해 줄 책임을 지니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Ⅳ. 참 고 문 헌
1.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2002, 김영화외, 양서원
2. 가족복지학, 2003, 조흥식외, 학지사
3. 현대가족복지론, 1998, 이소희외, 양서원
4. 장애우복지개론, 2002,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나눔의 집
5. 장애인가족원조론, 1999, 서화자, 홍익제
6. 특수교육학, 1991, 구본권외, 교육과학사
7. www. kihasa. re. kr
8. www. cowalk. co. kr
9. www. kpat. or. kr
1. [우울증] 아들 자폐증 비관, 모자 투신자살 (1996.10.15)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자폐증을 앓아 이를 비관해오던 30대 주부가 아들과 함께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목숨을 끊었다.
14일 오후 4시15분께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우성아파트 1동앞 화단 에 정호정씨(34.서울 용답동)와 정씨 아들 최형곤군(7)이 숨져 있 는 것을 이 아파트 경비원 허모씨(53)가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허씨에 따르면 경비근무를 하던중 밖에서 `쿵'하는 소리가 들려 나 가보니 정씨모자가 머리에 피를 흘린채 숨져 있었다는 것이다.
경찰은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자폐증을 앓아 이를 고민하던 정씨가 심한 증세를 보여 지난해 12월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다는 가족 들의 말에 따라 정씨가 아들의 병세를 비관, 15층 언니(38) 집 베란다에 서 투신자살한 것으로 보고 조사중이다.
조선일보 1996년 10월 15일 기사
2. [부산] 뇌성마비 주부 출산 딸 유전비관 자살 (1996.09.14)
뇌성마비를 앓아오던 30대 주부가 딸을 출산한뒤 자신의 병이 아이 에게 유전된 것으로 판단, 고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14일 밤 0시 40분께 부산시 북구 만덕3동 그린코아아파트 603동 1401 호에서 이아파트에 사는 이명진씨(32.여)가 투신 숨졌다.
이씨는 어릴 때부터 뇌성마비를 앓아오다 지난 8일 첫 아이를 출산 한뒤 아이에게 우유를 먹였으나 계속 설사를 하자 자신의 병이 아이에게 유전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잠을 설치는 등 괴로워 했다는 것이다.
이씨는 13일 저녁에도 온 가족이 모여 아이가 건강하다며 이씨를 위 로 했으나 가족이 돌아간 뒤 14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 84년 농과대학에 입학한 이씨는 문학동아리인 '한울'에 서 지금의 남편인 신구형씨(31.회사원)를 만나 8년동안 사귀어오다 가 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결혼했다.
조선일보 1996년 9월 14일 기사
3, 지체부자유자 자살 기도 중화상 (1996.09.03) 조선일보
3일 오전 8시 20분께 전남 나주시 대호동 현대아파트 102동 1703호 이 계찬씨(77) 집 거실에서 이씨의 아들 경범씨(32)가 불구인 자신의 처지 를 비관, 자살하기 위해 가스폭발사고를 일으켜 중화상을 입고 나주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사고로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가스 폭발 당시 방안 가재도구와 유리창등이 모두 부서졌으며 이웃집 주민들이 놀라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 졌다.
경찰은 경범씨가 교통사고 이후 하반신을 쓰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 식구들이 밖에 나가고 없는 사이 가스레인지에 연결된 가스 호스를 가위로 자른 뒤 누출된 가스에 라이터로 불을 붙여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중이다
나) 부모교육
-소집단 교육 : 20명 미만, 주1~2회 정도로 1~3개월 과정으로 하게 됨. 부모에게 집중적인 교육을 통하여 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대규모 공개강의 : 1회성 행사의 성격, 외부강사를 초빙하는 형식으로, 한 번에 많은 인원이 참석할 수 있으나 교육의 내용에 대한 질적인 확보가 어렵다는 단 점이 있음.
다) 가족 사정 및 상담
-장애인에 대한 사정과 더불어 가족의 잠재력, 강점 등을 사정하여, 장애인의 서 비스 제공 시에 가족자원을 발견하고, 부족한 자원을 지원, 원조할 수 있도록 함.
-가족상담은 가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수시로 제공되는데, 부모의 장애수용, 가족관계의 불화, 스트레스 등 정서적 욕구 부분과 장애인 등록과 같은 재활정보 를 전달하는 역할도 담당함.
라) 가족캠프
-가족을 하나의 기능단위로 보고, 가족전체가 참석하여 가족의 응집력과 하나됨 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데, 아버지의 불참이 많아 모자캠프가 되는 경 우가 많음.
-비장애형제자매를 위한 형제자매캠프가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장애형제로 인한 다양한 어려움과 감정을 같이 나누고 감정이입함으로써 비장애형제자매 들이 장애형제자매들에 의한 어려움을 같이 나누고자 하는 프로그램임.
마) 부모집단상담
-스트레스 대처훈련, 현실치료적용 등 하나의 심도 깊은 주제를 놓고 주1~2회, 총 8~10회 정도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으로, 집단사회사업을 적용하여 실시하 며 주로 유사한 장애형태와 장애정도, 연령 등 클라이언트군이 동종 집단일때 더 효과가 큼.
-동료 장애인 부모로부터 직접적인 수용경험, 어려움 극복 등을 듣게 되므로 동 료상담을 통한 교육적, 지지적 효과가 부가적으로 나타남.
바) 부모 여가활용프로그램
-장애아동이나 성인으로 인한 만성적 긴장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구조적으로 제공하고자, 종이접기나 서예, 노래교실 등 다양한 여가활용 프로그램 을 실시함.
Ⅲ. 결 론
앞에서 우리는 각 영역별 장애의 특성과 장애인 가족의 문제점과 대책, 그리고 이런 대책을 위한 이론적 관점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개개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장애인 가족 전체의 문제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그 대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공통된 장애인 가족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애 고유성을 인정한 개별적인 장애별 가족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대응해서 현장에서 적절히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인도 독립된 인격체로서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술적, 재정적으로 뒷받침해 줄 책임을 지니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Ⅳ. 참 고 문 헌
1.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2002, 김영화외, 양서원
2. 가족복지학, 2003, 조흥식외, 학지사
3. 현대가족복지론, 1998, 이소희외, 양서원
4. 장애우복지개론, 2002,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나눔의 집
5. 장애인가족원조론, 1999, 서화자, 홍익제
6. 특수교육학, 1991, 구본권외, 교육과학사
7. www. kihasa. re. kr
8. www. cowalk. co. kr
9. www. kpat. or. kr
1. [우울증] 아들 자폐증 비관, 모자 투신자살 (1996.10.15)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자폐증을 앓아 이를 비관해오던 30대 주부가 아들과 함께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목숨을 끊었다.
14일 오후 4시15분께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우성아파트 1동앞 화단 에 정호정씨(34.서울 용답동)와 정씨 아들 최형곤군(7)이 숨져 있 는 것을 이 아파트 경비원 허모씨(53)가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허씨에 따르면 경비근무를 하던중 밖에서 `쿵'하는 소리가 들려 나 가보니 정씨모자가 머리에 피를 흘린채 숨져 있었다는 것이다.
경찰은 아들이 태어날 때부터 자폐증을 앓아 이를 고민하던 정씨가 심한 증세를 보여 지난해 12월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다는 가족 들의 말에 따라 정씨가 아들의 병세를 비관, 15층 언니(38) 집 베란다에 서 투신자살한 것으로 보고 조사중이다.
조선일보 1996년 10월 15일 기사
2. [부산] 뇌성마비 주부 출산 딸 유전비관 자살 (1996.09.14)
뇌성마비를 앓아오던 30대 주부가 딸을 출산한뒤 자신의 병이 아이 에게 유전된 것으로 판단, 고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14일 밤 0시 40분께 부산시 북구 만덕3동 그린코아아파트 603동 1401 호에서 이아파트에 사는 이명진씨(32.여)가 투신 숨졌다.
이씨는 어릴 때부터 뇌성마비를 앓아오다 지난 8일 첫 아이를 출산 한뒤 아이에게 우유를 먹였으나 계속 설사를 하자 자신의 병이 아이에게 유전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잠을 설치는 등 괴로워 했다는 것이다.
이씨는 13일 저녁에도 온 가족이 모여 아이가 건강하다며 이씨를 위 로 했으나 가족이 돌아간 뒤 14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 84년 농과대학에 입학한 이씨는 문학동아리인 '한울'에 서 지금의 남편인 신구형씨(31.회사원)를 만나 8년동안 사귀어오다 가 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결혼했다.
조선일보 1996년 9월 14일 기사
3, 지체부자유자 자살 기도 중화상 (1996.09.03) 조선일보
3일 오전 8시 20분께 전남 나주시 대호동 현대아파트 102동 1703호 이 계찬씨(77) 집 거실에서 이씨의 아들 경범씨(32)가 불구인 자신의 처지 를 비관, 자살하기 위해 가스폭발사고를 일으켜 중화상을 입고 나주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사고로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가스 폭발 당시 방안 가재도구와 유리창등이 모두 부서졌으며 이웃집 주민들이 놀라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 졌다.
경찰은 경범씨가 교통사고 이후 하반신을 쓰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 식구들이 밖에 나가고 없는 사이 가스레인지에 연결된 가스 호스를 가위로 자른 뒤 누출된 가스에 라이터로 불을 붙여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