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rologue?!
2. 4문자로 이루어진 DNA 언어?!
3. 사상 최대의 거대과학?!
4. 21세기에 열릴 천문학적 규모의 생물공학 시장?!
5. 유전자 지도는 언제 완성될까?!
6.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 복제의 인식론적 문제점?!
1) 인간 = 유전자?
2)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7. 누가 인간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가 - 복제의 사회, 윤리적 문제점!!!
1) 윤리적 문제; 편견의 강화
2) 사회적 문제; 유전정보의 유출
2. 4문자로 이루어진 DNA 언어?!
3. 사상 최대의 거대과학?!
4. 21세기에 열릴 천문학적 규모의 생물공학 시장?!
5. 유전자 지도는 언제 완성될까?!
6.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 복제의 인식론적 문제점?!
1) 인간 = 유전자?
2)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7. 누가 인간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가 - 복제의 사회, 윤리적 문제점!!!
1) 윤리적 문제; 편견의 강화
2) 사회적 문제; 유전정보의 유출
본문내용
인 상상물에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는 2차대전에서 벌어진 유대인 대학살이 단지 우연한 사건이 아니라 유럽의 역사에서 끊이지 않았던 단종(斷種) 전통의 확대재생산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따라서 역사는 인종, 남녀, 장애 등에 대한 불평등과 편견이 온존하는 한 과학기술의 발전만으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람의 유전자를 해석하려는 과학 프로젝트가 유대인 대량학살에 이용된 가스실처럼 기존의 사회적 편견들을 확대재생산해서 생물학적인 하층계급으로 고정시키는 도구가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별첨 #1]
iMBC [01.02.11] 인간게놈지도 완성
박광온 앵커:
인간 생명의 암호라고 할 수 있는 사람 유전자 정보의 모든 것, 인간 게놈지도가 99% 완성됐습니다. 당초 10만개로 예상됐던 사람의 유전자 수도 실제로는 곤충이나 식물의 수준과 별반 차이가 없는 3∼4만개 안팎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먼저 박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재훈 기자 :
국제 컨소시엄인 인간게놈 프로젝트와 미국의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 제노믹스는 11일 인간게놈 지도가 99% 완성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여자 3명과 남자 두 명의 DNA 샘플을 이용해 인간게놈 지도를 완성했으며 인간의 유전자 수는 모두 3∼4만개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인간의 유전자 수가 들풀의 일종인 애기장대 유전자 수 2만 5,000개나, 애벌레인 C엘레간스의 1만 9,000개와 별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당초 인간의 유전자 수가 애벌레보다 훨씬 많은 10만개는 넘을 거라 생각했던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향숙 박사 (인간유전체 연구사업단) :
원래 생각했던 10만개가 아니라 4만개라면 앞으로의 연구대상이 상당히 준다는 얘기죠.
박재훈 기자 :
이에 따라 인간의 생노병사와 유전질환 연구가 훨씬 앞당겨질 거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습니다.
에릭 랜더 (미국 화이트헤드 게놈연구소) :
이제 질병의 실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원인을 잘 몰랐던 심장병이나 당뇨, 고혈압에 대해서도…
박재훈 기자 :
연구팀은 또 남성이 여성보다 유전자 변이가 2배 이상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도 밝혔습니다. 남성에게 유독 색맹이 많다거나 평균적으로 여성이 더 오래 사는 것도 남성의 유전자가 더 자주 고장을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얘기입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 치료제 개발을 앞당기고 인간의 진화 과정과 흡연 등의 환경 요인이 질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밝혀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별첨 #2]
[과학동아] 2001년 2월호 '유전자조작원숭이 '앤디' 탄생'
- 인간유전자와 99% 동일한 영장류에서 성공
지난 1월 12일 원숭이 한마리가 전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영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처음 소개된 이 원숭이에 대해 영국의 BBC나 미국의 CNN, ABC 방송이 심층적으로 보도했다. 물론 국내 주요 신문의 1면에도 이 원숭이가 등장했다. 도대체 어떤 의미를 가졌기에 이처럼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일까.
원숭이에게 붙여진 이름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원숭이의 이름은 앤디(ANDI). DNA가 삽입됐다.(inserted DNA)란 머리글자 iDNA를 거꾸로 한 이름이다. DNA가 삽입됐다는 말은 인위적으로 다른 종류의 DNA를 집어넣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앤디는 흔히 듣는 유전자변형 콩처럼, 유전자조작기술에 의해 탄생했다는 말인데……..
유전자조작기술에 의해 동물이 태어난 경우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유전자조작된 쥐나 돼지, 양, 소 등이 태어난 적이 있다. 형광유전자를 동물에게 삽입하는 일도 그리 새롭지 않다. 앤디가 더욱 큰 의미를 갖는 이유는 따로 있다.
바로 유전자조작을 영장류인 원숭이를 대상으로 시행했기 때문이다.
원숭이는 겉 모습부터 인간과 가장 비슷한 동물 중 하나다. 실제 유전자를 비교해보면, 단지 1% 정도만 다르다. 따라서 몸 속의 생리과정도 인간과 거의 동일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유전자조작 쥐 등은 인간의 유전자와 상당 수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질병을 연구하는데 부적절 했다. 그러나 99%의 유전자가 동일한 원숭이의 경우, 상환은 전혀 다르다.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해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집어넣으면, 그 질병을 앓고 있는 원숭이를 만들 수 있다. 또 질병의 치료 약을 시험해보는 동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암이나 에이즈, 치매 등의 질병 치료에 유전자조작원숭이가 크게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실험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해 수정랑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 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복제는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다. 다시 말해 유전자조작원숭이가 복제돼 다수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앤디의 유전자조작이 완벽한 성공인지는 불확실하다. DNA 검사 결과 앤디는 형광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표피세포에서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유산된 원숭이 2마리는 발톱 등이 불을 비췄을 때 형광반응을 보였다. 앤디가 형광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는 사실은 형광유전자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유전자는 물리적으로 삽입됐어도, 몸 속에서 단백질을 만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몸 속에서 직접 일을 수행하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유전자는 실용적인 면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앤디의 생리작용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1. Prologue?!
2. 4문자로 이루어진 DNA 언어?!
3. 사상 최대의 거대과학?!
4. 21세기에 열릴 천문학적 규모의 생물공학 시장?!
5. 유전자 지도는 언제 완성될까?!
6.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 복제의 인식론적 문제점?!
1) 인간 = 유전자?
2)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7. 누가 인간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가 - 복제의 사회, 윤리적 문제점!!!
1) 윤리적 문제; 편견의 강화
2) 사회적 문제; 유전정보의 유출
[별첨 #1]
iMBC [01.02.11] 인간게놈지도 완성
박광온 앵커:
인간 생명의 암호라고 할 수 있는 사람 유전자 정보의 모든 것, 인간 게놈지도가 99% 완성됐습니다. 당초 10만개로 예상됐던 사람의 유전자 수도 실제로는 곤충이나 식물의 수준과 별반 차이가 없는 3∼4만개 안팎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먼저 박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재훈 기자 :
국제 컨소시엄인 인간게놈 프로젝트와 미국의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 제노믹스는 11일 인간게놈 지도가 99% 완성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여자 3명과 남자 두 명의 DNA 샘플을 이용해 인간게놈 지도를 완성했으며 인간의 유전자 수는 모두 3∼4만개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인간의 유전자 수가 들풀의 일종인 애기장대 유전자 수 2만 5,000개나, 애벌레인 C엘레간스의 1만 9,000개와 별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당초 인간의 유전자 수가 애벌레보다 훨씬 많은 10만개는 넘을 거라 생각했던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향숙 박사 (인간유전체 연구사업단) :
원래 생각했던 10만개가 아니라 4만개라면 앞으로의 연구대상이 상당히 준다는 얘기죠.
박재훈 기자 :
이에 따라 인간의 생노병사와 유전질환 연구가 훨씬 앞당겨질 거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습니다.
에릭 랜더 (미국 화이트헤드 게놈연구소) :
이제 질병의 실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원인을 잘 몰랐던 심장병이나 당뇨, 고혈압에 대해서도…
박재훈 기자 :
연구팀은 또 남성이 여성보다 유전자 변이가 2배 이상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도 밝혔습니다. 남성에게 유독 색맹이 많다거나 평균적으로 여성이 더 오래 사는 것도 남성의 유전자가 더 자주 고장을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얘기입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 치료제 개발을 앞당기고 인간의 진화 과정과 흡연 등의 환경 요인이 질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밝혀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별첨 #2]
[과학동아] 2001년 2월호 '유전자조작원숭이 '앤디' 탄생'
- 인간유전자와 99% 동일한 영장류에서 성공
지난 1월 12일 원숭이 한마리가 전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영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처음 소개된 이 원숭이에 대해 영국의 BBC나 미국의 CNN, ABC 방송이 심층적으로 보도했다. 물론 국내 주요 신문의 1면에도 이 원숭이가 등장했다. 도대체 어떤 의미를 가졌기에 이처럼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일까.
원숭이에게 붙여진 이름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원숭이의 이름은 앤디(ANDI). DNA가 삽입됐다.(inserted DNA)란 머리글자 iDNA를 거꾸로 한 이름이다. DNA가 삽입됐다는 말은 인위적으로 다른 종류의 DNA를 집어넣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앤디는 흔히 듣는 유전자변형 콩처럼, 유전자조작기술에 의해 탄생했다는 말인데……..
유전자조작기술에 의해 동물이 태어난 경우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유전자조작된 쥐나 돼지, 양, 소 등이 태어난 적이 있다. 형광유전자를 동물에게 삽입하는 일도 그리 새롭지 않다. 앤디가 더욱 큰 의미를 갖는 이유는 따로 있다.
바로 유전자조작을 영장류인 원숭이를 대상으로 시행했기 때문이다.
원숭이는 겉 모습부터 인간과 가장 비슷한 동물 중 하나다. 실제 유전자를 비교해보면, 단지 1% 정도만 다르다. 따라서 몸 속의 생리과정도 인간과 거의 동일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유전자조작 쥐 등은 인간의 유전자와 상당 수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질병을 연구하는데 부적절 했다. 그러나 99%의 유전자가 동일한 원숭이의 경우, 상환은 전혀 다르다.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해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집어넣으면, 그 질병을 앓고 있는 원숭이를 만들 수 있다. 또 질병의 치료 약을 시험해보는 동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암이나 에이즈, 치매 등의 질병 치료에 유전자조작원숭이가 크게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실험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해 수정랑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 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복제는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다. 다시 말해 유전자조작원숭이가 복제돼 다수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앤디의 유전자조작이 완벽한 성공인지는 불확실하다. DNA 검사 결과 앤디는 형광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표피세포에서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유산된 원숭이 2마리는 발톱 등이 불을 비췄을 때 형광반응을 보였다. 앤디가 형광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는 사실은 형광유전자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유전자는 물리적으로 삽입됐어도, 몸 속에서 단백질을 만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몸 속에서 직접 일을 수행하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유전자는 실용적인 면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앤디의 생리작용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1. Prologue?!
2. 4문자로 이루어진 DNA 언어?!
3. 사상 최대의 거대과학?!
4. 21세기에 열릴 천문학적 규모의 생물공학 시장?!
5. 유전자 지도는 언제 완성될까?!
6.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 복제의 인식론적 문제점?!
1) 인간 = 유전자?
2) 생명소외로서의 복제
7. 누가 인간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가 - 복제의 사회, 윤리적 문제점!!!
1) 윤리적 문제; 편견의 강화
2) 사회적 문제; 유전정보의 유출
추천자료
[현장교육연구]현장교육연구의 의의, 현장교육연구의 유형,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
21세기 과학 발전과 사회 변화상
프로젝트접근법(프로젝트교수학습방법)의 정의와 목적, 프로젝트접근법(프로젝트교수학습방법...
국어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영어과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학과의 ICT(정...
과학적 조사절차를 설명하고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프로젝트기반학습(PBL, 프로젝트중심수업) 개념과 배경, 프로젝트기반학습(PBL, 프로젝트중심...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의미, 성격, 도입배경,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장...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중심수업)의 정의와 특징,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중심수업)...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기반수업) 구성과 진행단계,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기반수업...
프로젝트수업(PBL,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의미와 발달배경, 프로젝트수업(PBL, 프로젝트기반학...
EBS 아기성장보고서2탄
식품과학과 산업 우리나라 식품산업
수원성의 문화재로서의 가치 - 수원화성 답사 보고서
2차 세계대전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