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신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문양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신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여는 말

❀ 본 말
1. 문양의 기원
2. 한국 전통 문양의 특성
3. 문양의 분류
4. 대표적인 문양과 그 의미

❀ 끝 말

본문내용

의미가 있고, 모란문(牡丹紋)에는 부귀, 성실, 백화의 왕이라는 의미가 있고, 봉황문(鳳凰紋)은 상서로움, 사령(四靈), 부부애(夫婦愛), 신조(神鳥), 이상적인 서조(瑞鳥)의 의미가 있고, 석류문(石榴紋)에는 다남(多男), 자손수호(子孫守護)의 의미가 있고, 문(壽福紋)은 만복(万福)을 누리고 귀하게 살며, 다남(多男)하고 장수를 기원하며, 어문(魚紋)은 리어(鯉魚), 장수, 다남(多男), 신통력(神通力)의 의미가 있고, 운문(雲紋)은 위엄(威嚴), 신비성, 속세를 벗어난 풍류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칠보문은 길상(吉祥)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십장생문은 각각에 다른 의미가 있는데, 日(해)은 세상을 밝게 비추어 주며, 山(산)은 불변(不變)하며, 雲(구름)은 속세를 벗어나 풍류적이며, 水(물)는 깨끗하며, 松(소나무)은 굳은 절개, 竹(대나무)은 높은 기상, 鶴(학)은 높은 기상, 鹿(사슴)은 선(善)과 평화를 상징, 龜(거북)는 수호와 복을 상징, 不老草(불로초)는 長生不老를 의미한다.
끝말
우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그동안 그저 스쳐 지나갔던 문양 혹은 무늬 하나하나가 얼마나 큰 의미들을 담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는 것은 너무도 큰 성과이다. 앞서도 말했듯이 우리가 선조들이 남긴 흔적을 통해 그들의 삶을 알아내고 이해한다는 것은, 지금 우리가 가진 문화에 대해 자부와 긍지를 갖게 해주는 중요한 계기이며 이런 튼튼한 토대를 거쳐 또 다른 우리의 후손들에게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를 전해줄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한국의 전통 문양은 이 땅 위에서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정서와 전통적 생활양식에서 우러나 자연스럽고 소박한 표현미, 추상미와 해학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꾸밈없음 속에서 대상의 아름다움과 그린 이의 아름다움은 더욱 돋보이게 되는 것 같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 미술이 지닌 지나친 웅장함이나 기교에 치우친 꾸밈과는 좋은 대조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옛날 옛적, 우리 선조들 중 누군가가 집을 짓는다고 생각해 보자. 대문 손잡이 하나부터 사랑방의 문살 모양까지, 지붕 처마 문양부터 밥상 보자기까지 옷 집안 곳곳 가족의 안녕과 복을 비는 갖가지 문양들로 하나하나 채워 나갔을 것이다. 그 문양들이 정말 복을 가져다 준 다기 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며 하늘에 감사하고, 또 한 번 가족이나 누군가의 복을 빌고...... 참 소박하면서도, 얼마나 아름다운 삶이었을지 생각하면 나까지 마음이 푸근해 지는 것 같다. 지금의 우리가 집을 짓고 무언가를 만들 때 이런 선조들의 마음씨를 되새기며 같은 마음으로 문양 하나하나를 그려 넣는다면, 삭막한 요즘 세상도 살만한 곳이 되지 않을까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 보며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1. <한국의 전통 문양>, 임영주, 2004, 대원사
2. <빛깔 있는 책들-165. 전통 문양>, 허균, 1995, 대원사
3. <한국의 무늬>, 1998년 개정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4. http://myhome.nate.com/ekeeok/ [우리들의 전통문양 사랑방 ‘이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2.1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