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혁명의 저항문화의 양상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68혁명의 저항문화의 양상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본 문
1. 1960년대, 광기의 시절
2. 히피족의 문화
3. 사회의식
4. 비합리주의와 혁명
◎맺음말

본문내용

또 하나는 그들의 문화주의 자체의 문제이다. 마르쿠제도 말했듯이 예술이 예술인 한 결코 이상을 현실로 바꾸거나 일시적인 만족감을 영원한 것으로 만들 수 없다. 그들의 쾌락 지향적 태도는 복종을 낳고 현실에 적응하기 마련이었다. 언제나 자극과 방향전환이 있지만 싸이키델릭한 순간이 지나가면 덧없음만 남는다. '해방'은 여전히 개인의 일로 된다. 이성의 포기는 이상화된 유아기, 인류의 유년기로의 퇴행을 부추겼다. 60년대의 아르카디아 풍은 일종의 낭만적 도피였다. 다니엘 벨이 비판했듯이, 60년대의 정치성, 즉 맹목적인 행동주의조차도 도피의 한 형태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많은 청년들이 거리를 떠도는 방랑자, 혹은 최후의 히피족 행세를 하면서 마약밀매, 정신질환, 자살시도 등으로 비참한 종말을 맞았다. 60년대의 진보적 록음악도 70년대에 와선 문화산업에 의해 공인되고 합병되어갔다. 사이먼 프리스에 의하면 록 비즈니스는 1950년대의 노동계급 청소년 시장과 1960년대의 젊은 중산층 시장의 발견에 기초한다. 레코드 회사들은 표현을 통제해야 했고 열정을 포장하고 정서를 팔았다. 특히 상업화된 록음악은 전형적으로 자본주의적 음악이 된다. 그것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로부터 의미를 끌어내고, 여가활동 속에서 이러한 관계를 재생산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록음악의 가장 진보적인 대표자들은 당대의 뜨거운 열기 속에서 왕성한 예술적 실험과 탐구를 보여주었는데, 그 이후 60년대의 진보적 개혁자들이 일구어 놓은 것은 그 열정은 이해되지 못한 채 표면적인 스타일만 본뜬 모방자들에 의해 희석되었다. 그 누구도 60년대의 신화가 없는 록을 전혀 상상해 볼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80년대 이후 M-TV의 등장으로 록 공동체는 익명적인 미디어 공동체로 대체 되었고, 오늘날의 록 시장은 60년대의 신화를 울궈먹고 있다. 마치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의 전설로 연명하는 순수예술과도 같이. 생활 속에서 자유를 확대하려는 청년 하위문화는 그것이 생산이 아니라, 소비로만 가시화 되었을 때, 추상적 저항으로 공허한 자아와 자유를 얻었을 때, 그 자유에 지쳐 쓰러졌다. 그 자유의식은 뿌리뽑힌 존재라는 의식과 소외감이었다. 그저 아무 것도 잃을 것이라곤 없다는 식의 무책임하고 단순한 자유와 이완된 문화적 감수성에 매몰되지 않은, 예술적 창조적 긴장을 개발한 소수만이 60년대를 더욱 빛내고 그 이후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
맺음말
이상으로 60년대를 총괄적으로 되돌아 볼 때 후기 자본주의의 청년들은 합리적, 낭만적 차원 양면에서 그들 자신을 산출한 체제에 저항했다고 볼 수 있다. 60년대의 다종 다양한 운동들을 싸안을 근본적인 개념이 있다면, 그것은 서구적 진보의 신화에 문제를 제기하고, 타자들로 간주되었던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들이 문화적으로 분출되었다는 점이다.
그것은 아마도 다시금 문화가 사회의 주요 범주로 부상하게된 역사적 발생기의 활력이었고, 전통적으로 비합리주의적 이라고 간주된 것들이 새로운 진보적 문화운동의 대열에 당당하게 참여하게 됨을 의미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과거로부터 억압되어 오던 많은 것들이 해방되는 극적인 시대를 맞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권위에 대한 도전이자 문화의 활력기는 아이러니컬하게도 후기 자본주의의 병폐와 연합되어 오늘날에는 더욱 강력한 물질 문명의 저질 대중문화를 만들어 내기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68혁명으로 촉발된 이런 문화 현상을 과연 성공한 혁명으로 불릴 수 있을지는 시간이 좀더 흐른 뒤에나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문헌>
타리크 알리수잔 왓킨스 지음; 1968(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 삼인; 2002
한국의 미술 사이버 강의 참고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1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