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혈액순환은
▶ 맥관계의 기능
1. 혈관벽의 구조
2. 맥관의 분류
3. 조직의 순환요구
4. 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5. 맥관계 혈류의 조절
6. 신경성 조절
7. 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8.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9. 혈관 운동 반사
▶ 맥관계의 기능
1. 혈관벽의 구조
2. 맥관의 분류
3. 조직의 순환요구
4. 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5. 맥관계 혈류의 조절
6. 신경성 조절
7. 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8.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9. 혈관 운동 반사
본문내용
조직 : 산소량,CO2량, 칼륨 및 젖산의 양이 동맥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을 준다.
9. 혈관 운동 반사
혈관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는 체온조절과 관계
혈관 확장의 정도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피부 온도를 기록함으로서 가능
10. 참고문헌
- 인체 구조와 기능, 2003, 최명애 외, 계축 문화사
- 성인 간호학 하, 2004, 서문자 외, 수문사
- 인체 생리학, 2002, 김광진 외, 정문각
- http://www.empas.com
- http://www.naver.com
▷문제◁
1.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에 대해 쓰시오.
⑴ 히스타민 : 큰 동맥은 수축시키나 소혈관은 확장
⑵ 브라디키닌 : 강력한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표피 혈관에 강하게 작용
⑶ 근육대사 산물 : 혈관의 확장 효과
⑷ 아세틸콜린 : 혈관 확장 효과
⑸ 세로토닌 : 모세혈관을 확장
⑹ 조직의 산소량, 이산화탄소량, 칼륨 및 젖산의 양이 동맥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
2. 부종 발생기전을 서술하시오.
모세관벽의 손상으로 투과력의 증가, 림프관의 막힘, 정맥압의 상승, 혈장 교질삼투압의 감소→ 여과된 수분의 양이 많아 재흡수 하지 못하고 상당량을 림프관으로 보냄→ 이 과정에서 수분이 축적 →부종
3. 정맥의 판막이 하는 역할은?
정맥압이 감소되면 혈액이 역류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판막이 닫히게 되어 다음 근육 수축으로 혈액을 전진시킬 때까지 역류하지 못하게 막는다.
4. 혈관벽의 구조를 써라.
①바깥막(tunica adventitia) :교원섬유로 구성
신경섬유와 림프관 분포
혈관허탈(vascular col-lapse)이 되지 않도록 옆조직에 부착
②중간막(tunica media) : 환상으로 배열된 평활근세포와 탄력섬유로 구성
동맥에서 가장 두터운 층으로 혈압과 혈액순환 유지에 중요
③속막(tunica intima) : 단순 편평상피로 된 내피 포함
모든 혈관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층
성긴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진 내피하빔에 의해 지지
5.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 3가지를 쓰시오.
- epinephrine : 표피 혈관에 대한 수축작용이 있으나 소량일 때는 심장, 뇌, 골격근의 혈 관을 확장시킨다.
- norepinephrine :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간한 수축작용을 한 다.
- angiotensinⅡ : 레닌과 글로불린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형성,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
9. 혈관 운동 반사
혈관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는 체온조절과 관계
혈관 확장의 정도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피부 온도를 기록함으로서 가능
10. 참고문헌
- 인체 구조와 기능, 2003, 최명애 외, 계축 문화사
- 성인 간호학 하, 2004, 서문자 외, 수문사
- 인체 생리학, 2002, 김광진 외, 정문각
- http://www.empas.com
- http://www.naver.com
▷문제◁
1.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에 대해 쓰시오.
⑴ 히스타민 : 큰 동맥은 수축시키나 소혈관은 확장
⑵ 브라디키닌 : 강력한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표피 혈관에 강하게 작용
⑶ 근육대사 산물 : 혈관의 확장 효과
⑷ 아세틸콜린 : 혈관 확장 효과
⑸ 세로토닌 : 모세혈관을 확장
⑹ 조직의 산소량, 이산화탄소량, 칼륨 및 젖산의 양이 동맥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
2. 부종 발생기전을 서술하시오.
모세관벽의 손상으로 투과력의 증가, 림프관의 막힘, 정맥압의 상승, 혈장 교질삼투압의 감소→ 여과된 수분의 양이 많아 재흡수 하지 못하고 상당량을 림프관으로 보냄→ 이 과정에서 수분이 축적 →부종
3. 정맥의 판막이 하는 역할은?
정맥압이 감소되면 혈액이 역류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판막이 닫히게 되어 다음 근육 수축으로 혈액을 전진시킬 때까지 역류하지 못하게 막는다.
4. 혈관벽의 구조를 써라.
①바깥막(tunica adventitia) :교원섬유로 구성
신경섬유와 림프관 분포
혈관허탈(vascular col-lapse)이 되지 않도록 옆조직에 부착
②중간막(tunica media) : 환상으로 배열된 평활근세포와 탄력섬유로 구성
동맥에서 가장 두터운 층으로 혈압과 혈액순환 유지에 중요
③속막(tunica intima) : 단순 편평상피로 된 내피 포함
모든 혈관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층
성긴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진 내피하빔에 의해 지지
5.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는 물질 3가지를 쓰시오.
- epinephrine : 표피 혈관에 대한 수축작용이 있으나 소량일 때는 심장, 뇌, 골격근의 혈 관을 확장시킨다.
- norepinephrine : 모든 혈관을 수축시키며 특히 말초혈관에 대하여 간한 수축작용을 한 다.
- angiotensinⅡ : 레닌과 글로불린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형성, 혈관을 수축시키는 물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