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vs던킨 도너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타벅스vs던킨 도너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계기

2. 회사소개

3. S.W.O.T분석

4. STP전략

5. 4P전략

6. 광고전략

7. 결 론

본문내용

아라비카산 원두만을 구입해 최고의 맛과 향을 자랑한다. high quality coffee를 차별화 요소로 내세우며 성공을 거둔 기업이다. 세계 최고 품질의 원두를 구매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게 완벽하게 로스팅 한다. 또한 3번 정수 된 물 이용 등 최고급의 커피를 제공한다. 전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스타벅스 커피의 맛은 균일하다.
⑥ 사원교육 System
- 스타벅스 교육이란?
스타벅스 교육은 세계 어디서나 스타벅스의 공통된 교육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스타벅스는 성공여부를 상품의 품질은 물론 파트너의 질에 달려 있다고 판단하여 파트너 교육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 바리스타 란?
칵테일을 만드는 바텐더가 바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는 말처럼 바리스타란 커피를 만드는 사람을 주로 일컫습니다. 바리스타는 커피를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일 외에도 점포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제반합니다.
- 바리스타 의 자질/적성은?
현재 스타벅스에서는 고졸이상의 남녀는 모든 바리스타 자격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봅니다. 바리스타는 직접적으로 고객을 접하는 서비스 직종이기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것을 즐겁게 생각하고 열정적으로 커피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이면 됩니다.
- 바리스타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전문교육기관(SCAA) 통하여 자격을 받아 바리스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바리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정규과정을 이수하거나 바리스타 전문교육기관을 통하여 수료하는 방법이 있고 스타벅스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육과 테스트를 거쳐 기술력을 평가해주는 인증서를 수여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사람들의 그러한 열정은 휴워드 슐츠가 미국 기업으로서는 드물게 파트타이머들에게까지 제공한 의료보험 혜택과 고위 경영자는 물론 모든 직원 들에게까지 제공한스톡옵션을 제공하는 빈스톡(Bean Stock)제도를 통해 스타벅스의 엔진을 힘차게 돌리는 원동력으로 변했다. 그래서 스타벅스에서 종업원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는다. 미국 기업으로서는 예를 찾아 볼 수 없는 이러한 파격적인 제도가 스타 벅스에서 시행된 배경에는 무엇보다 최고경영자 휴워드 슐츠가 어린 시절 아버지가 병석에서 회사로부터 받지 못했던 인간적 대우에 대한 노여움을 터트리는 것을 보며 가슴 속에 간직했던 결심에 가능했다.
⑦ 본사의 든든한 지원
2) 약점
① 일회 용품 사용
일용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대책 필요
② 과도한 미국 풍
지나친 미국풍에 따른 거부감이 있다
반미 감정등이 약점으로 작용
한국풍에 맞지 않는 미국풍의 문화가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③스토어수의 급격한 증가
급격한 스토어 수의 증가로 인한 기업사명 상실의 가능성이 잠재한다
④ 비싼 가격
다른 일반 커피 전문점에 비해 고가격- 소비자에게 부담이 됨
⑤ 비싼 관리비용
3) 기회
① 고급커피 시장의 확대
소비자들의 생활패턴변화와 고수익으로 고급커피 소비 증가
② 경제성장
경제 성장으로 소비자들의 커피 소비 증가
③ 소비자들의 의식 전환
커피한잔 가격으로는 비싼 가격임에도 불구 하고 커피외적인 요소를 즐기며 문화공간으로 인식,
\"스타벅스는 커피를 팔지 않는다\"
스타벅스의 초록 로고를 보는 순간, 소비자들은 쾌적한 인테리어와 분위기를 상상한다. 스타벅스가 파는 것은 커피가 아니다. 스타벅스의 마케팅 플래너들은 커피, 서비스 등의 총합인 \'쾌적한 경험\'을 판다.
④해외 경험자의 증가
유학생과 해외 여행 경험자들을 통해 일찍부터 입소문을 타고 있었던 인기를 끔, 해외 경험을 통해 스타벅스라는 브랜드가 더욱 친밀하게 다가옴
⑤ 커피 Quality에 대한 욕구 증가
일명 다방커피로 불리는 달짝 찌근한 커피에서 벗어나서 보다 차별화되고 고급스러운 커피를 마심으로해서 나의 욕구 충족이됨
4) 위협
① 경쟁 심화
다른 커피 전문점들이 본격적인 진출로 경쟁이 불가피
② 불안정한 원두가격
브라질의 기후환경 때문에 커피가격과 원두 가격이 인상된 경험이 있다. 이러한 기후등의 요인으로 인해 원두가격이 항상 불안정하다.
③커피 문화에 대한 차이
각 나라간의문화차이 극복이 관건
④외국 문화에 대한 거부감
특히 반미감정이 위협요인으로 작용
또는 국산품 애용운동이라던지 하는 것으로인해 거부감 우려
(2)던킨도너츠
1) 강점
①제과업계 내에서의 Know-how
제과업계에서 단연 선두를 유지한 만큼 마케팅에 대한 자신감
②충성고객 확보
던킨도너츠에 대한 충성고객이 선점을 한만큼 충분히 확보되어있다.
③동종 업계에서의 독점적 위치
제과업계내 독특한 상품으로 던킨하면 도너츠라는 이미지로 독점적위치선점
④높은 브랜드 파워
도너츠라는 상품을 브랜드자체의 이미지로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다.
⑤마케팅 능력
세계적인 브랜드인 만큼 마케팅 능력또한 세계적인 수준이다.
⑥신선한 제품
2) 약점
① 던킨 커피에 대한 인식 부족
도너츠에 대한 인식으로 굳어져 있다.
② 음료의 가격 정책
지나친 저가 정책으로 인하여 저급커피라는 이미지
도너츠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인식
③커피를 제외한 대체 음료 부족
커피와 쿨라타를 제외한 음료의 부족현상
④ 직접 경쟁 업체의 부재로 위기감 결여
3) 기회
① 생활 패턴의 서구화
소비자들의 생활패턴변화로 밥과 된장국 보다는 빵과 커피로 변화
② 잠재적 도넛 시장
도넛시장에서의 경쟁자가 극소하므로 갖는 도넛시장의 잠재고객 확보
③ 원두커피 시장의 발전
경쟁자가 많은반면 잠재적 시장의 가능성 또한 많아서 이점을 가짐
④Take-out 문화 성장 추세
간단히 먹는 도넛과 커피라는 주제로 Take-out문화와 결부성을 가짐
4) 위협
① 잠재적 경쟁 업체
다른 커피 전문점과 선점을 하고 있는 커피 전문점으로 인해 새로운 메뉴인 커피시장에 대한 불안
② Fast Food 에 대한 좋지 않은 시각
최근 다큐멘터리 영화 “슈퍼사이즈 미”등 많은 연구결과로 인하여 Fast Food의 문제성 대두
③베이커리 업체의 변화
베이커리 업계의 탈획일화로 인한 도넛 시장 위협
④경기 침체
꾸준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4. STP전략
(1)스타벅스
1) Segmentation
-10~19세 :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중, 고등학생들이 잠을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1.22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