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다산 정약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다산 정약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
2. 시대배경
3. 문학사상
(1) 재도론
<1> 재도론의 의미
<2> 정약용이 주장한 재도론
<3> 정약용이 재도론을 주장한 배경
(2) 극단적 소설해도론
<1> 소설해도론의 의미
<2> 소설해도론 주장의 배경
(3) 주체적 문학정신
<1> 정약용이 주체적 문학정신을 갖게 된 배경
<2> 조선시 선언(朝鮮詩宣言)
1> 조선시 선언을 하게 된 배경
2> 다산이 말한 조선시의 구체적인 모습
<3> 용사론(用事論)
4. 다산 문학의 특징
(1) 우화적 기법
<1> 교훈적 우화시
<2> 풍자적 우화시
<3> 다산의 우화시의 특징
(2) 대립적 구조
<1> 농민과 봉건 지배층과의 대립
<2> 그 밖의 대립
5. 정약용과 박지원 비교
6. 한계와 의의

본문내용


봄철에 좀먹은 쌀 한 말 받고서
가을엔 온전한 쌀 두 말을 바치고
게다가 좀먹은 쌀값으로 돈으로 내라 하니
온전한 쌀을 팔아 바칠 수밖에
남는 이익 간활한 자 살을 찌우니
한번 벼슬길에 천 경 논이 생기고
쓰라린 고초는 가난한 자에 돌아가니
휘두르는 채찍질에 살점이 떨어진다.
큰가마, 작은 솥 다 내간 건 말도 말게
자식은 팔려가고 송아지마저 끌려가네
환곡의 문란함을 노래한 시이다. 환곡이란 원래 사창제도에서 나온 것으로 풍년에 국가가 곡식을 사들였다가 흉년에 싼 이자로 빌려주어 빈민을 구제하고 물가조절의 기능도 함께 가지는 제도였다. 이 제도가 이조 후기로 오면서 그 폐해가 너무나 지나쳐 흉년이 들어도 곡식을 대여해가는 사람이 아무도 없게 되었다. 이렇게 농민들이 곡식을 빌리려 하지 않는 것은 이 제도가 자기들에게 이익이 되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 아님을 아 지가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송재소, 다산시 연구, 창작사, 1986, p69-70)
###
(2) 극단적 소설해도론
<1> 정약용의 소설해도론
다산은 문학의 위기를 두 가지 각도에서 파악했다. 하나는 문학이 고전적 규범에서 이탈했 때문에 생긴 것이며, 다른 하나는 문학이 객관적 타당성을 상실했기 때문에 생긴 이다. 이러한 문학의 위기가 소설에서 집약적으로 나타났고, 문체가 날로 쇠퇴하는 것이 우리동방만큼 심한 나라가 없다고 생각했다. 소설은 문학이 갖추어야 할 도를 실현하는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며, 문장을 어지럽히고, 나아가 경세를 이루는데 커다란 방해가 된다고 파악했기 때문에 다산은 소설이 문체를 비속하게 한다고 보았다. 사회적 효용을 중시한 그의 문학관은 정조의 문체반정과 맞물리면서 형성이 된다. 당시에 널리 읽혀지던 글 등을 음탕한 말과 추한 이야기 간사한 감정과 도깨비 같은 자취 허황되고 괴궤한 이야기 미만하고 파쇄한 글 이라고 정의 하였다.
『패관잡설은 인재중에서도 가장 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의 음탕하고 추한 어조가 사람이 심령을 허랑방탕하게 하고 사특하고 요사스런 내용은 사람의 지혜를 미혹에 빠뜨리게 합니다. 황당하고 괴이한 이야기는 사람의 교만한 기질을 고취시키고, 위미하고 조잡한 글은 사람의 장기를 녹여냅니다 』
( 김승찬 외, 한국의 문학사상, 세종출판사, 1998, p287 )
<2> 소설해도론 주장의 배경
다산은 농촌 출신으로 농민의 가지고 농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핵심적인 과제로 삼았다. 농민의 사고방식을 가지면 문학이니 예술이니 하는 것들을 건실한 생활 태도를 해치는 부화한 풍조를 낳으므로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일이였다. 그리고 그의 일관된 문학관인 도의 실현과 경세라는 자신의 이상 속에서 소설을 반대한 것이다.
(3) 주체적 문학정신
<1> 정약용이 주체적 문학정신을 갖게 된 배경
정약용이 주체적인 문학관을 갖게된 가장 배경은 그가 실학의 민족지향적 성격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아버지는 남인으로 아버지가 관직에서 물러난뒤에 호조좌랑으로 다시 기용되자 아버지를 따라 한양으로 올라갔는데 이때부터 남인의 명사들과 가까이 지내게 된다. 그리하여 이가환, 이승훈 등을 통하여 이익의 유고를 얻어읽고 실학에 심취한다. 그리고 이익의 제자인 체제공 권철신 등을 만나고 박지원 등과도 접촉하여 그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또, 23세때 그는 이얼에게서 그리스도교의 교리와 서양에 관한 사정을 들었고 그리스도교 서적과 서양근대의 천문학, 수학, 지도, 시계, 망원경, 서양풍속기 등 이밖에 서적과 기물을 보았다. 이러한 경험은 그로 하여금 부패, 타락한 유학의 유해성을 깨닫게 하고, 중국중심의 협소한 세계관을 수정하게 하였다.
<2> 조선시 선언(朝鮮詩宣言)
###
다산은 조선인이기에 조선의 것에서 용사를 하고, 조선의 현실을 실사하여 조선시를 쓴다고 선언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문단이 나가야 할 새로운 길이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중략...
나는 조선사람이기에
즐거이 조선시를 쓴다
그대는 마땅히 그대의 법을 쓰면 되지
시작법에 맞지 않는다고 하는 자 누구인고
중국시의 구구한 격과 멋을
먼 곳의 사람이 어이 안단말인가
...중략...
(김상홍, 다산정약용 문학연구, 단대출판부, 1985, p.55-57)
###
###
다산은 그의 시에 강한 민족주체의식을 담고 있었다.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쓰면서 민족주체의식을 담는다는 말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지만 다산은 그 나름대로 중화주의의 절대적 권력에서 벗어나려 노력했다. 그리하여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그의 조선시 선언으로 이어진다.
(송재소, 다산시 연구-부 다산연보-, 창작사, 1986, p33)
###
1> 조선시 선언을 하게 된 배경
① 우리나라 사람의 입장에서 한자도 일종의 외국어 였는데 아무리 어려서부터 한문을 공부하고 실제 생활에서 큰 불편 없이 한문을 구사했다 하더라도 중국인과 생활습관이 다르고 중국어와 음운체계가 꼭 같지는 않았던 만큼 여러 가지 문제가 따랐을 것이다. 즉, 우리나라 사람이 한자를 빌어 시를 쓰는데서 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사실대로 인정한 결과이다.
( 송재소,<다산시 연구-부 다산연보->,창작사,1986,p34 )
② 다산은 비록 한자를 빌어 쓰긴 했지만 그는 자기의 시를 중국 문학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중국적인 기준에서 평가되기를 바라지도 않았다. 그의 이런 생각은 중국을 정신적인 고향으로 생각하고 우리 문학을 중국문학의 주변문학으로 착각하고 있었던 당시의 상황에 미뤄 볼 때 매우 값진 것이었다. 즉, 다산은 조선 시 선언을 통해 주체성, 즉 모화사상에서 탈피하려고 했다.
( 송재소, <다산시 연구-부 다산연보->, 창작사, 1986, p34,39 )
###
2> 다산이 말한 조선시의 구체적인 모습
1) 도습과 모방을 배격한 그의 문학관은 이른바 조선시로 구체화되며 그는 허문가식은 문학이 아니라 생명력 있는 문학을 꽃피우기 위해서는 조선인의 삶을 진실하게 표현하며 조선인의 기호와 성정에 합치되는 조선시를 써야한다고 하였다.
#####
2) 순수한 우리말 또는 토속적인 방언을 한자화
ⓛ 원래 중국어 어휘에 있는 말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1.2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