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 언론경영주측이 주장할 수 있는 권리
2.2.언론인의 자유로운 언론 활동을 위한 조건:편집권 독립
3.결론
2.본론
2.1. 언론경영주측이 주장할 수 있는 권리
2.2.언론인의 자유로운 언론 활동을 위한 조건:편집권 독립
3.결론
본문내용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청문회를 개최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일부 언론사에서는 예산 결정에의 소극적 참가권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대개의 언론사는 기업의 경제적 상황에 대해 소속 언론인에게 연1회의 설명을 해 주도록 정하고 편집 예산 삭감시 편집협의회의 협의권을 인정하는 데 그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 언론노동조합들은 이와 같은 논거를 충분히 우회하여 언론노동의 내적 자유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이유로 우리 나라 언론노동조합은 기자만이 아니라 제작기술진, 인쇄 노동자들을 포함하여 각 직종을 망라함으로써 각 부문의 언론노동자를 대표할 수 있고, 독일의 경영조직법처럼 언론기업의 성향보호 조항이 아직 법제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언론노동의 특수성에 의거하여 편집권 독립을 추진할 수 있고, 이것이 또한 노동 과정에서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언론노동조합이 독일의 예를 부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는 것이다.
3.결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사회로부터 분리된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객관적 대상이나 조건과 현실적 주동체로서의 사람을 혼동한 관념적 이해의 산물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방송 내용을 제작하는 진영의 사람들과 그것을 수용 또는 소비하는 진영의 사람들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여 그 특수성을 밝히려는 노력은,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가 인간의 본질이라고 일찌감치 추단해 버림으로써 인간의 본성에 대한 해명의 요구를 외면해 버렸다. 이와 같은 사고의 연장 선상에서 방송이라는 대상을 장악한 사람들이 다수의 대중들이 어떤 비인간적인 기만이나 수탈을 당하든지 상관하지 않고 개인적 소집단적 이기주의로 자기들의 안전만을 보존하려고 애쓴 결과, 인간과 사회의 자기보존과 자기발전을 거부하는 사태를 빚었다. 우리는 방송을 통해 `참여'와 `나눔' 을 행하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방송이 한층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변혁시켜 갈 수 있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새롭게 해야 한다.
*참고문헌
유일상, 사람과 방송, 청년사, 1996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 박영사, 1992
유일상, 공정보도의 사회윤리학, 일월서각, 1987
유일상, 언론윤리법제론, 아침, 1992
김경근, 언론 현상과 언론 정책, 법문사
최영욱, 방송 공익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그러나 우리 나라 언론노동조합들은 이와 같은 논거를 충분히 우회하여 언론노동의 내적 자유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이유로 우리 나라 언론노동조합은 기자만이 아니라 제작기술진, 인쇄 노동자들을 포함하여 각 직종을 망라함으로써 각 부문의 언론노동자를 대표할 수 있고, 독일의 경영조직법처럼 언론기업의 성향보호 조항이 아직 법제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언론노동의 특수성에 의거하여 편집권 독립을 추진할 수 있고, 이것이 또한 노동 과정에서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언론노동조합이 독일의 예를 부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는 것이다.
3.결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사회로부터 분리된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객관적 대상이나 조건과 현실적 주동체로서의 사람을 혼동한 관념적 이해의 산물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방송 내용을 제작하는 진영의 사람들과 그것을 수용 또는 소비하는 진영의 사람들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여 그 특수성을 밝히려는 노력은,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가 인간의 본질이라고 일찌감치 추단해 버림으로써 인간의 본성에 대한 해명의 요구를 외면해 버렸다. 이와 같은 사고의 연장 선상에서 방송이라는 대상을 장악한 사람들이 다수의 대중들이 어떤 비인간적인 기만이나 수탈을 당하든지 상관하지 않고 개인적 소집단적 이기주의로 자기들의 안전만을 보존하려고 애쓴 결과, 인간과 사회의 자기보존과 자기발전을 거부하는 사태를 빚었다. 우리는 방송을 통해 `참여'와 `나눔' 을 행하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방송이 한층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변혁시켜 갈 수 있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새롭게 해야 한다.
*참고문헌
유일상, 사람과 방송, 청년사, 1996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 박영사, 1992
유일상, 공정보도의 사회윤리학, 일월서각, 1987
유일상, 언론윤리법제론, 아침, 1992
김경근, 언론 현상과 언론 정책, 법문사
최영욱, 방송 공익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추천자료
광고 효과 분석
현진건의 현실인식
장애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TV드라마 바로보기, 바로쓰기
[대중문화의이해]리플문화에 대한 연구 (A+리포트)
성상품화에 대하여
[N세대][엔세대]N세대(엔세대)의 개념, N세대(엔세대)의 특성, N세대(엔세대)의 문화적 특징,...
[인터넷유해정보][내용규제]인터넷청소년유해정보의 개념, 인터넷청소년유해정보의 실태와 인...
인터넷강의)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기말정리자료
(인강)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시험대비완벽정리
여성스스로의성차별, 여성이 당당하기 위헤 필요한과제,과잉된여성의피해의식,여성의이중적태도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대중문화
[부모교육] 자녀의 성교육을 위한 부모역할 - 성교육의 필요성, 자녀의 성교육시 유의할 점 ...
우리나라 가족가치관의 변화 중에서 개인주의적 사고, 평등의식, 독립의식, 등이 확산되면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