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불교미술의 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시대 불교미술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불교 미술
1. 불교미술이란 무엇인가
2. 불교미술의 기원과 성격
3. 불교회화 (佛敎繪 )
■ 불교 조각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 불교 건축
1. 불교건축의 이해
2. 불교 건축의 성립
3. 불교 건축의 상징 체계와 공간구조
4. 한국 불교 건축의 역사와 불교 건축물
■ 불교 공예
1. 불교공예의 의미
2. 불교공예의 종류
■ 삼국의 금속공예

본문내용

천도(遷都)에 따라서 또는 초기, 중기, 후기로 이어지면서 발전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백제는 천혜적(天惠的)인 자연환경 즉 넓고 비옥한 평야지대를 확보하였으므로 생활의 여유가 있었고 항구의 보유로 행상 교통을 발전시켜 선진의 동진(東晋), 남조(南朝), 양(梁), 북위(北魏) 등 제국과의 교역으로 문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한편 북으로는 전투가 곧 생산이라고 생각하는 막강한 고구려와, 동으로는 경주분지를 중심으로 좁고 험준한 산야만을 차지한 강력한 신라가 수시로 괴롭히고 있어서 백제는 고구려, 신라와 이중 외교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양국과의 투쟁의 연속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백제의 공예는 고구려의 호전적(好戰的)이고 웅장하며 진취적인 면과 신라의 화려하고 섬세하며 강직한 맛을 조금씩 받아 들여 내성적(內性的)이고 온화하며 건실한 공예품을 제작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예 기술 내지 예술적 감각은 이웃인 일본에 전파되어 그들의 공예의 기초를 닦게 되었다.
신라의 공예는 예술적 정신을 금속을 통한 물리 화학적 기술로써 구현시킬 수 있었고 그들의 기술은 이론보다는 공장적(工匠的) 기술이었고, 원리적인 연구보다는 경험적 숙련 속에서 발전하였다.
ⅰ. 불교의 성립과 전파
불교라는 말은 석가모니가 설한 교법이라는 뜻과 부처가 되기 위한 교법이라는 뜻이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佛이란 각성한 사람, 즉 覺者라는 산스크리트어의 보통 명사로, 고대 인도에서 널리 쓰이던 말인데 이후 특히 석가모니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습니다.
불교는 석가모니 생전에 이미 교단이 조직되어 포교가 시작되었으나 이것이 발전하게 된 것은 그가 죽은 후이며, 기원 전후에 인도, 스리랑카 등지로 전파되었고, 다시 동남아시아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왔고, 한국에서 일본으로 교권이 확대되어 세계적 종교로서 자리를 굳혔습니다. 그러나 14세기 이후로는 이슬람교에 밀려 점차 교권을 잠식당하고 오늘날에는 발상지인 인도에서는 세력이 약화되었으나, 아직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캄보디아, 티벳에서 몽골에 걸친 지역,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역에 많은 신자가 있으며,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의 하나로 자리매김되고 있습니다.
ⅱ. 불교의 신앙관
첫째, 神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석가모니는 후에 이상화, 절대화되어 각성과 구제의 상징으로 드러나고는 있으나, 창조자 내지는 정복자와 같은 자세는 취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둘째, 지혜와 자비로 대표됩니다.
셋째, 자비심에 입각하여 증오나 원한을 전혀 갖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狂信을 배척하고 관용인 동시에 일체의 평등을 추구합니다.
넷째, 縱의 시간적 원리인 ‘無常’과 橫의 공간적 원리인 ‘緣起’가 개념 구조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것이 후에 ‘空’으로 표현됩니다.
다섯째, 현실을 직시하고 실천적인 경향이 강합니다.
여섯째, 시간이 흘러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는 가운데 복잡한 논의를 거쳐 다신교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습니다.
ⅲ. 우리나라 불교의 전래와 발달
1)개관
불교가 한국에 들어온 공식 연대는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년)입니다. 백제는 그 후 384년에 불교를 받아들였고, 신라는 527년에 국가의 공인을 받았습니다. 삼국에서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한 것은 왕실이었습니다. 삼국에 불교가 정착하는 과정에서 백제의 승려들은 이후 일본에 건너가 일본의 고대 문화를 꽃피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고, 신라에서는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자기 종파적인 사상의 이해에서 탈피하여 불교 사상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 체계가 세워짐과 아울러, 대중 불교의 성격이 나타나면서 그 기반이 확대되었습니다. 예컨대, 화엄 사상은 신라 정치 이념의 바탕을 제공하였으며, 화엄을 비롯한 다양한 철학이 원광이나 자장, 원효 등에 의해 보급됨으로써 찬란한 개화를 하였습니다.
우리 민족이 지니고 있는 세계적 문화 유산들은 대개가 이때의 사상과 신심의 뒷받침 아래 이룩된 것들입니다. 석불사 석불좌상(석굴암)과 불국사 건축, 상원사 동종과 성덕왕 신종, 미륵보살반가사유상 등이 모두 신라 불교 문화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도 국가의 보호 아래 불교는 번영을 누렸습니다. 고려초 각종 국가적 행사(연등회, 팔관회 등)와 승과제도의 도입 등 그 권위가 높아졌으나,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도참사상을 강조하기에 이르렀으며, 교리 연구를 통한 실천을 강조하는 본질을 버리고 모두가 안이한 밀교적 주술만을 강조하는 儀式主義로 일관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창시하고, 보조국사 지눌도 당시 불교의 타락을 비판하면서 각종 실천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원나라의 간섭기에 접어들면서 불교계의 혁신운동은 단절되고, 당시 불교 사찰이 권문세족의 후원 아래 막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는 등 부패와 타락은 결국 조선 왕조의 출현과 더불어 불교를 배척하는 정책을 수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른바 조선시대의 抑佛정책으로 度牒制를 실시하고 또 여러 종파를 선, 교 양종으로 통합, 사찰의 건립도 억제하였습니다. 그러나 불교가 국가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지위는 잃었지만, 민간에서는 여전히 신봉되어 그 사회적 기반을 유지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하에서도 임진왜란 때에는 결현히 궐기하여 국가와 민족의 생존을 위해 왜군과 대적하고 난국을 극복한 것은 護國, 護民, 護法의 강인한 전통을 이어받은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강력한 동화정책으로 말미암아 일본 불교에 예속되었습니다. 이에 만해 한용운 등과 같은 인사들은 ‘조선불교유신론’을 내세워 불교의 자주성 회복과 쇄신을 주장하였습니다. 모든 발전과 개혁의 자유 활동을 폐쇄당해 인습화된 한국 불교를 유신하고자 한 그들의 이상은 이에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해방 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현재 한국 불교 주요 종단으로 조계종과 태고종이 있고, 그 밖에 법화종, 총화종, 천태종, 진각종, 일승종, 불입종, 정토종, 화엄종, 보문종, 법상종, 용화종, 원효종, 진언종, 미륵종 등 23개의 종파가 있습니다

키워드

삼국시대,   삼국,   불교,   미술,   특징,   불교미술,   신라,   고구려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5.03.21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