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국어”의 형성
2. 중세국어
(1) 훈민정음에 나타난 표기상 음운상의 특징
- 자음
- 모음
(2)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2. 중세국어
(1) 훈민정음에 나타난 표기상 음운상의 특징
- 자음
- 모음
(2)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본문내용
s 발음이었다고 추측된다. 언어학 용어로 말하자면 \"비구개음화음\"인데, 이 소리는 평안도 방언에 남아 있으며 서울 방언에서도 여성의 발음에서 가끔 들을 수 있다. 또 \"시\", \"샤\"도 구개음화되지 않고 영어 see처럼 발음되었다고 추측된다.
마찰음 \"ㅖㄶ\", \"壙\"은 어중에만 나타나는 소리다. \"ㅖㄶ\"은 양순 마찰음 [B]로 생각된다.
현대어 맞춤법으로는 초성에서 자음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자모와 받침 소리 \"ng\"을 나타내는 자모는 다같이 \"ㅇ\"이지만 중세어에서 \"ㅇ\"은 오직 자음이 없는 것만을 나타내고 \"ng\"는 \"胱\"으로 나타낸다.
중세어에 복합자음이 있었던 것은 현대어와 큰 차이가 있다. 경음은 같은 자모를 나란히 적지만 그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자모를 나란히 적어서 복합자음을 표기했다. 예를 들면 \"
마찰음 \"ㅖㄶ\", \"壙\"은 어중에만 나타나는 소리다. \"ㅖㄶ\"은 양순 마찰음 [B]로 생각된다.
현대어 맞춤법으로는 초성에서 자음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자모와 받침 소리 \"ng\"을 나타내는 자모는 다같이 \"ㅇ\"이지만 중세어에서 \"ㅇ\"은 오직 자음이 없는 것만을 나타내고 \"ng\"는 \"胱\"으로 나타낸다.
중세어에 복합자음이 있었던 것은 현대어와 큰 차이가 있다. 경음은 같은 자모를 나란히 적지만 그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자모를 나란히 적어서 복합자음을 표기했다. 예를 들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