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평의식의 성장
1.<파한집>
2.이규보의 문학론
3.<보한집>
4.최해의 시도
5.<역옹패설>
1.<파한집>
2.이규보의 문학론
3.<보한집>
4.최해의 시도
5.<역옹패설>
본문내용
고, 경전을 밝히고 행실을 다듬는 선비는 ‘경명행수지사’(經明行修之士)라 했다. 새로운 문학은 사대부가 신유학을 이념으로 삼으면서 이룩해야 한다면서 경명행수를 내세웠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를 일으켜 경전을 가르치는 데 힘써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현은 골 전기문학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을 전개하지 않았으며, 그때 이룬 수준을 새로운 문학으로 이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온건한 절충론을 택했다. 시를 다루는 데서도 고려문학은 중국의 수준과 전례를 따라야 하면서도 독자적인 세계를 이룩해야 한다는 이중의 생각이 엿보인다. 이것은 이인로가 내세운 용사론과 최자에 이르러서 거듭 확인된 신의론 가운데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 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제현은 둘을 아우르는 것이 마땅하다는 생각을 여기저기서 나타내면서 조화의 묘리를 얻고자 했다.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륙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다. 그 뒤를 이은 이색에 이르면 방향전환이 한층 더 뚜렷해지고, 마침내 정도전의 강경론이 나타났다.
이제현은 신유학 또는 성리학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을 이륙해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했으면서도 아직 분명한 논리를 갖추지 않았고, 스스로 비판한 표현 위주의 문학관과 적절한 절충점을 발견하려고 하는 데 머물렀다고 할 수 있다. 그 뒤를 이은 이색에 이르면 방향전환이 한층 더 뚜렷해지고, 마침내 정도전의 강경론이 나타났다.
추천자료
신비평에 입각한 Yeats의 The second coming 비평
기 타 비 평(수사학, 정경, 이야기비평)
독자반응비평의 중심 개념들에 대한 정의 (구조주의, 현상학, 주관 비평에 관하여..)
고전비평에서 재비평의 전개 양상과 교육적 함의
자료비평과 양식비평
문학비평가의 자세와 문학비평
문예비평론 (김동인과 역사ㆍ 전기비평)
전승사비평과 양식비평
프랑켄 슈타인에 대한 스토리 요약 및 비평하기(텍스트비평,장르비평,페미니즘,정신분석학,마...
영화 『세 얼간이(3 Idiots)』 비평 (내재적 비평, 인물, 전개방식과 표현방법 , 외재적 비평...
[복음비평사] ≪복음비평사(福音批評史)≫에서 배울 교훈 (복음비평사에 대한 이해와 간략한 흐...
[복음비평사] ≪양식 비평(Form Criticism)≫ 양식비평 이해와 문제점 및 비판
[복음비평사] ≪편집 비평(Redaction Criticism)≫ 편집비평 이해와 문제점 및 비판
[A+과제] 난장이가 쏘아올린 것 비평론(마르크스주의비평, 형식주의비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