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⑴시작에 앞서
⑵화성에 대하여
⑶일상 생활의 수치로 본 화성 여행
⑷보고서를 마치며
⑵화성에 대하여
⑶일상 생활의 수치로 본 화성 여행
⑷보고서를 마치며
본문내용
서는 이보다 좀 더 가격 인하가 있어야 할 것 같다.
③화성에서 따뜻하게 살려면 얼마가 필요할까?
화성은 지구보다 태양으로부터 약 1.5배 더 떨어져 있으므로 당연히 지구보다는 추울 것이다. 실제로 화성의 최고 기온은 영하 63도, 최저 기온은 영하 140도로 기록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화성의 평균 기온은 약 영하 100도 정도 되는 모양이다. 영하 100도 정도이면 우리가 휴가 가서 즐기기에는 좀 쌀쌀한 날씨인 것 같다. 오리털 잠바를 열 겹 정도 껴입어도 추위는 잘 가시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방법은 있다. 바로 난방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화성을 따뜻하게 데우는 데에 얼마의 돈이 들어갈지 계산해 보겠다. 일단 따뜻함을 느끼려면 영상 10도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총 110도를 올려야 하는 것이다. 난방의 연료는 도시 가스로 하겠다. 또 난방의 대상은 아까 화성에 깔았던 산소로 하겠다.
산소의 총량은 433917319581353.04㎥이고 이것을 110도 올려야 한다. 산소의 비열은 약 7㎈/㏖도 이다. 산소 1㏖은 16g이고 1㎥은 1.429㎏이다. 산소의 비열은 다시 쓰면 0.4375㎉/㎏도 이므로 아까 화성에 깐 전체 산소를 데우는 데에 필요한 열랑은
1.429X433917319581353.04X110X0.4375=29840765265934386.90645㎉
필요한 열량을 구했으니 필요한 도시 가스의 양을 구할 차례이다. 도시 가스의 대부분은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고 메탄의 발열량은 9500㎉/㎥이다. 따라서 필요한 메탄의 양은
29840765265934386.90645/9500=3141133185887.83㎥
난방용 도시가스의 가격은 1㎥에 376.31원이다. 따라서 화성을 영상 10도로 데우는데 필요한 비용은
3141133185887.83X376.31=1182039829181449.3073원이다.
1182조원 정도가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열의 손실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이고 실제로는 지속적인 비용을 투자해 주어야 하므로 비용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⑷보고서를 마치며
경영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으로서 화성에 관련된 수치들을 비용으로 환산해서 알아보았다. 내가 생각해도 약간은 얼토당토않고 말도 안 되는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보고서를 쓰면서 나는 내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고등학교 때 배웠던 여러 가지 과학 공식들을 되새길 수 있었다. 또 화성이라는 멀게만 느낄 수도 있는 존재에 대해서 일상 속에서도 생각할 수 있는 친근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내가 계산한 수치로 보아 화성 탐사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것도 아울러 느끼게 되었다.
내 보고서가 너무 장난스럽고 별로 얻을 것도 없다고 말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나름대로 많은 것을 조사하려 노력했고 다른 보고서에 비해서 분량도 적지만 별자리 책 같은 곳에서 방대한 내용을 베낀 여타의 보고서에 비해서는 나의 보고서가 더 우수하다고 자부한다. 지금까지 나의 보고서를 끝까지 읽어 주신 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③화성에서 따뜻하게 살려면 얼마가 필요할까?
화성은 지구보다 태양으로부터 약 1.5배 더 떨어져 있으므로 당연히 지구보다는 추울 것이다. 실제로 화성의 최고 기온은 영하 63도, 최저 기온은 영하 140도로 기록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화성의 평균 기온은 약 영하 100도 정도 되는 모양이다. 영하 100도 정도이면 우리가 휴가 가서 즐기기에는 좀 쌀쌀한 날씨인 것 같다. 오리털 잠바를 열 겹 정도 껴입어도 추위는 잘 가시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방법은 있다. 바로 난방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화성을 따뜻하게 데우는 데에 얼마의 돈이 들어갈지 계산해 보겠다. 일단 따뜻함을 느끼려면 영상 10도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총 110도를 올려야 하는 것이다. 난방의 연료는 도시 가스로 하겠다. 또 난방의 대상은 아까 화성에 깔았던 산소로 하겠다.
산소의 총량은 433917319581353.04㎥이고 이것을 110도 올려야 한다. 산소의 비열은 약 7㎈/㏖도 이다. 산소 1㏖은 16g이고 1㎥은 1.429㎏이다. 산소의 비열은 다시 쓰면 0.4375㎉/㎏도 이므로 아까 화성에 깐 전체 산소를 데우는 데에 필요한 열랑은
1.429X433917319581353.04X110X0.4375=29840765265934386.90645㎉
필요한 열량을 구했으니 필요한 도시 가스의 양을 구할 차례이다. 도시 가스의 대부분은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고 메탄의 발열량은 9500㎉/㎥이다. 따라서 필요한 메탄의 양은
29840765265934386.90645/9500=3141133185887.83㎥
난방용 도시가스의 가격은 1㎥에 376.31원이다. 따라서 화성을 영상 10도로 데우는데 필요한 비용은
3141133185887.83X376.31=1182039829181449.3073원이다.
1182조원 정도가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열의 손실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이고 실제로는 지속적인 비용을 투자해 주어야 하므로 비용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⑷보고서를 마치며
경영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으로서 화성에 관련된 수치들을 비용으로 환산해서 알아보았다. 내가 생각해도 약간은 얼토당토않고 말도 안 되는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보고서를 쓰면서 나는 내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고등학교 때 배웠던 여러 가지 과학 공식들을 되새길 수 있었다. 또 화성이라는 멀게만 느낄 수도 있는 존재에 대해서 일상 속에서도 생각할 수 있는 친근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내가 계산한 수치로 보아 화성 탐사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것도 아울러 느끼게 되었다.
내 보고서가 너무 장난스럽고 별로 얻을 것도 없다고 말할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나름대로 많은 것을 조사하려 노력했고 다른 보고서에 비해서 분량도 적지만 별자리 책 같은 곳에서 방대한 내용을 베낀 여타의 보고서에 비해서는 나의 보고서가 더 우수하다고 자부한다. 지금까지 나의 보고서를 끝까지 읽어 주신 분들에게 깊이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