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응급 의료 체계
II 특수문제와 응급간호
III. 신체 영역별 응급상황과 간호
II 특수문제와 응급간호
III. 신체 영역별 응급상황과 간호
본문내용
경부강직, 수명등 나타남
② 시신경이 손상을 입는 경우 시력장애
③ 등에 동통을 호소
⑵ 응급간호
① 기도확보
② 재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환경을 조용히 하고 절대안정을 취하게 한다.
③ HOB 30도 유지
④ ECG monitor apply
⑤ 금연 시키고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은 피한다.
⑥ 의식이 없을 경우 Foley cath insert
⑦ 체온을 낮추고 항고혈압제 사용
⑧ 뇌혈관 조영술 실시
⑨ 진통제 투여
6) 뇌막염 (meningitis)
⑴ 원인
① 뇌막구군, 결핵균, 인플루엔자, 페렴균,포도상구균 등의 박테리아
⑵ 증상
① 두통, 오심과 구토, 식욕저하, 발열
② 경부강직
③ Kernig 징후 : 고관절을 굽힌상태에서 슬관절의 신전에 저항하는 증상
④ Brudzinski 징후 : 경부를 굴곡 시키려 할 때 고관절과 슬관절의 반사적 굴곡이 나타나는 증상
⑶ 응급간호
① 기도 유지
② 수액공급
③ 쇼크에 대한처치
④ 필요한 혈액학적 검사 실시
⑤ 요추천자 실시
⑥ 항생제 투여
⑦ 뇌막구균성 뇌막염이나 원인불명일때는 격리
6.근골격계 손상과 응급간호
1) 골절 - 뼈가 부러졌거나 금이 간 것
⑴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운동으로 인한 부상, 비틀림
⑵ 종류
① 단순골절 : 뼈가 부러졌거나 금이 간 상태
② 복잡골절(복합골절) : 뼈가 부러졌을 뿐만아니라 다른 신체조직의 손상을 겸하고 있는 상태
⑶ 증상
① 심한 통증이 있다.
② 붓고 멍이 든다.
③ 형태가 변한다. (기형으로 보인다)
④ 움직일 수가 없다. (사용불능)
⑤ 출혈이 있고 뼈가 튀어 나온다.
⑷ 처치
① 단순골절
복잡골절이 되지 않도록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② 복잡골절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골절부위를 고정시켜라.
⑸ 부목을 대주는 목적
① 골절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고정시키는 것
② 통증을 감소
③ 부드러운 조직에 대한 더 이상의 손상을 막는 것
④ 심한 출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⑤ 단순골절이 복잡골절로 되는 것을 예방하기위한 것이다.
⑹ 골절처치 시 주의사항
① 부목은 골절된 뼈보다 길어야 한다.
② 부목은 부드러운 천으로 싸서 사용한다
③ 부목은 가볍고 단단해야 하며 뼈를 움직이지 않게 해야 한다.
④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밀어 넣으려 하지 말 것.
⑤ 완전한 처치와 준비 후 운반해야 한다.
⑥ 늑골골절 시 선홍색 거품의 피가 입으로 흐를 때에는 골절처치를 하지말고 호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등뒤에 고임을 넣어주고 안정을 시킨다.
⑦ 골절처치 후 30분 간격으로 관찰하여 혈액순환이 안되거나 그 부분이 아프다면 약간 늦추어 준다.
2) 탈구
관절의 뼈가 제자리에서 물러난 것과 동시에 그것으로 인해 주위의 혈관, 건, 근육 및 신경에 손상을 입은 상태
⑴ 원인
타박, 추락, 심한 근육운동 등
⑵ 증상
① 심한 통증
② 관절의 모양이 변하고붓는다.
③ 관절을 움직일 수가 없다.
⑶ 처치
① 냉수찜질을 해준다. (통증과 부종을 막음)
② 충격처치를 하라.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탈구 부위를 움직이지 않게 한다.
3) 염 좌
발목 관절부근의 조직이 무리한 운동으로 손상을 입은 상태.
⑴ 증상
① 통증이 있다.
② 붓는다. (부종)
피부가 변색된다. (멍이 든다)
⑵ 처 치
① 환자를 눕히고 삐 인 부분을 높여준다.
② 환자를 안정시킨다.
③ 냉수찜질을 하고 움직이지 말아라.
④ 염좌처치를 한다.
4) 강 직
지나친 근육운동으로 인하여 근육이 갑자기 늘어나거나 줄어든 상태.
⑴ 증상
① 오랜 시간동안 잘 움직일 수가 없다.
② 아프다.
③ 허리나 등이 뻐근해서일어서거나 걸으려면 많은 고통을 느낀다.(쥐)
⑵ 처치
① 부상당한 곳의 근육의 안정이 필요하다. (사용하지 말 것)
② 온수찜질을 해준다. (보온해 준다)
③ 마사지 해준다. (긴장이 덜어지고 혈액순환이 잘 된다)
5) 타박상
외부의 어떤 자극에 의해서근육이나 모세혈관이 파괴된 상태
⑴ 증상
① 통증이 있고 붓는다.
② 멍이 든다. (파손된 혈관에서 나온피가 조직 속으로 스며들어 감으로서 상처가 붓고 변색한다)
⑵ 처치
① 냉수찜질을 해준다.(변색을 예방하고 부종을 억제하며 아픔을 덜어준다)
② 피부가 손상되었으면 드레싱해준다.
7. 대사성 응급상황과 간호
1) 저혈당증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 소량의 음식섭취, 과도한 신체활동, 식사시간이 지연되거나 간식을 먹지 않았을 때 발생
⑴ 증상
① 쇠약 또는 실신
② 땀을 흘림
③ 지나치게 배가 고픔
④ 신경과민 또는 손이 떨림
⑤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짐 - 두통
⑥ 의식혼돈
⑦ 성격이 변함
⑧ 의식소실
⑨ 때때로 발작을 일으킴
⑵ 응급간호
① 기도 유지
② 환자가 의식이 있으면사탕을 먹이거나 설탕물을 마시도록 하며 의식이 없을 때 정맥주사를 하고 채혈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③ 50% D/W 투여한다
④ 1~2시간 이내 혈당을 다시 측정한다.
⑤ 원인을 규명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하도록 한다.
2) 당뇨성 케톤산등(DKA)
인슐린이 현저하게 부족하거나 전혀 없을 때 생기며 탈수 ,전해질 손실. 산증이 주요 특징
⑴ 증상
① 다뇨, 다식, 두통, 쇠약감
②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
③ 과일 냄새 나는 호흡
④ 혼미, 나른함, 혼수
⑤ 체온 상승
⑥ 오심, 구토
⑦ 점막 건조, 안구 함몰
⑵ 치료
① 탈수
수액을 빠른 속도로 주입
수분 상태 점검을 위해 활력징후 자주 측정, 폐 사정, I/O 확인
저혈압 교정위해 혈장 보충액 투여
② 전해질 손실
수분공급이 혈장량을 증가시켜 혈장내 칼륨농도 저하
수분 공급이 소변을 통한 칼륨의 배설 증가 시킴
인슐린 주입으로 세포의 칼륨이 세포 내로 이동
칼륨 보충은 몇 시간에 걸쳐 정맥수액에 섞어 40Meq/cc 까지 공급
③ 산독증
인슐린은 정맥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주입
혈당이250~300mg/dl 정도일 때갑자기 혈당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dextro 첨가
산증이 교정되기 전에혈당 수치가 먼저 정상으로회복 혈청 bicarbonate 가 호전되고 먹을 수 있을 때 까지 12~24시간동안 정맥주입
② 시신경이 손상을 입는 경우 시력장애
③ 등에 동통을 호소
⑵ 응급간호
① 기도확보
② 재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환경을 조용히 하고 절대안정을 취하게 한다.
③ HOB 30도 유지
④ ECG monitor apply
⑤ 금연 시키고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은 피한다.
⑥ 의식이 없을 경우 Foley cath insert
⑦ 체온을 낮추고 항고혈압제 사용
⑧ 뇌혈관 조영술 실시
⑨ 진통제 투여
6) 뇌막염 (meningitis)
⑴ 원인
① 뇌막구군, 결핵균, 인플루엔자, 페렴균,포도상구균 등의 박테리아
⑵ 증상
① 두통, 오심과 구토, 식욕저하, 발열
② 경부강직
③ Kernig 징후 : 고관절을 굽힌상태에서 슬관절의 신전에 저항하는 증상
④ Brudzinski 징후 : 경부를 굴곡 시키려 할 때 고관절과 슬관절의 반사적 굴곡이 나타나는 증상
⑶ 응급간호
① 기도 유지
② 수액공급
③ 쇼크에 대한처치
④ 필요한 혈액학적 검사 실시
⑤ 요추천자 실시
⑥ 항생제 투여
⑦ 뇌막구균성 뇌막염이나 원인불명일때는 격리
6.근골격계 손상과 응급간호
1) 골절 - 뼈가 부러졌거나 금이 간 것
⑴ 원인
교통사고, 추락사고, 운동으로 인한 부상, 비틀림
⑵ 종류
① 단순골절 : 뼈가 부러졌거나 금이 간 상태
② 복잡골절(복합골절) : 뼈가 부러졌을 뿐만아니라 다른 신체조직의 손상을 겸하고 있는 상태
⑶ 증상
① 심한 통증이 있다.
② 붓고 멍이 든다.
③ 형태가 변한다. (기형으로 보인다)
④ 움직일 수가 없다. (사용불능)
⑤ 출혈이 있고 뼈가 튀어 나온다.
⑷ 처치
① 단순골절
복잡골절이 되지 않도록 골절부위를 고정시킨다.
② 복잡골절
출혈이 있으면 직접압박으로 지혈
골절부위를 고정시켜라.
⑸ 부목을 대주는 목적
① 골절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고정시키는 것
② 통증을 감소
③ 부드러운 조직에 대한 더 이상의 손상을 막는 것
④ 심한 출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⑤ 단순골절이 복잡골절로 되는 것을 예방하기위한 것이다.
⑹ 골절처치 시 주의사항
① 부목은 골절된 뼈보다 길어야 한다.
② 부목은 부드러운 천으로 싸서 사용한다
③ 부목은 가볍고 단단해야 하며 뼈를 움직이지 않게 해야 한다.
④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밀어 넣으려 하지 말 것.
⑤ 완전한 처치와 준비 후 운반해야 한다.
⑥ 늑골골절 시 선홍색 거품의 피가 입으로 흐를 때에는 골절처치를 하지말고 호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등뒤에 고임을 넣어주고 안정을 시킨다.
⑦ 골절처치 후 30분 간격으로 관찰하여 혈액순환이 안되거나 그 부분이 아프다면 약간 늦추어 준다.
2) 탈구
관절의 뼈가 제자리에서 물러난 것과 동시에 그것으로 인해 주위의 혈관, 건, 근육 및 신경에 손상을 입은 상태
⑴ 원인
타박, 추락, 심한 근육운동 등
⑵ 증상
① 심한 통증
② 관절의 모양이 변하고붓는다.
③ 관절을 움직일 수가 없다.
⑶ 처치
① 냉수찜질을 해준다. (통증과 부종을 막음)
② 충격처치를 하라.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탈구 부위를 움직이지 않게 한다.
3) 염 좌
발목 관절부근의 조직이 무리한 운동으로 손상을 입은 상태.
⑴ 증상
① 통증이 있다.
② 붓는다. (부종)
피부가 변색된다. (멍이 든다)
⑵ 처 치
① 환자를 눕히고 삐 인 부분을 높여준다.
② 환자를 안정시킨다.
③ 냉수찜질을 하고 움직이지 말아라.
④ 염좌처치를 한다.
4) 강 직
지나친 근육운동으로 인하여 근육이 갑자기 늘어나거나 줄어든 상태.
⑴ 증상
① 오랜 시간동안 잘 움직일 수가 없다.
② 아프다.
③ 허리나 등이 뻐근해서일어서거나 걸으려면 많은 고통을 느낀다.(쥐)
⑵ 처치
① 부상당한 곳의 근육의 안정이 필요하다. (사용하지 말 것)
② 온수찜질을 해준다. (보온해 준다)
③ 마사지 해준다. (긴장이 덜어지고 혈액순환이 잘 된다)
5) 타박상
외부의 어떤 자극에 의해서근육이나 모세혈관이 파괴된 상태
⑴ 증상
① 통증이 있고 붓는다.
② 멍이 든다. (파손된 혈관에서 나온피가 조직 속으로 스며들어 감으로서 상처가 붓고 변색한다)
⑵ 처치
① 냉수찜질을 해준다.(변색을 예방하고 부종을 억제하며 아픔을 덜어준다)
② 피부가 손상되었으면 드레싱해준다.
7. 대사성 응급상황과 간호
1) 저혈당증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 소량의 음식섭취, 과도한 신체활동, 식사시간이 지연되거나 간식을 먹지 않았을 때 발생
⑴ 증상
① 쇠약 또는 실신
② 땀을 흘림
③ 지나치게 배가 고픔
④ 신경과민 또는 손이 떨림
⑤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짐 - 두통
⑥ 의식혼돈
⑦ 성격이 변함
⑧ 의식소실
⑨ 때때로 발작을 일으킴
⑵ 응급간호
① 기도 유지
② 환자가 의식이 있으면사탕을 먹이거나 설탕물을 마시도록 하며 의식이 없을 때 정맥주사를 하고 채혈하여 검사실로 보낸다.
③ 50% D/W 투여한다
④ 1~2시간 이내 혈당을 다시 측정한다.
⑤ 원인을 규명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하도록 한다.
2) 당뇨성 케톤산등(DKA)
인슐린이 현저하게 부족하거나 전혀 없을 때 생기며 탈수 ,전해질 손실. 산증이 주요 특징
⑴ 증상
① 다뇨, 다식, 두통, 쇠약감
②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
③ 과일 냄새 나는 호흡
④ 혼미, 나른함, 혼수
⑤ 체온 상승
⑥ 오심, 구토
⑦ 점막 건조, 안구 함몰
⑵ 치료
① 탈수
수액을 빠른 속도로 주입
수분 상태 점검을 위해 활력징후 자주 측정, 폐 사정, I/O 확인
저혈압 교정위해 혈장 보충액 투여
② 전해질 손실
수분공급이 혈장량을 증가시켜 혈장내 칼륨농도 저하
수분 공급이 소변을 통한 칼륨의 배설 증가 시킴
인슐린 주입으로 세포의 칼륨이 세포 내로 이동
칼륨 보충은 몇 시간에 걸쳐 정맥수액에 섞어 40Meq/cc 까지 공급
③ 산독증
인슐린은 정맥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주입
혈당이250~300mg/dl 정도일 때갑자기 혈당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dextro 첨가
산증이 교정되기 전에혈당 수치가 먼저 정상으로회복 혈청 bicarbonate 가 호전되고 먹을 수 있을 때 까지 12~24시간동안 정맥주입
추천자료
응급처치(발목을 삐었을 때)에 대하여
응급처치 기도폐쇄 중독 자살 응급간호 화상 일사병 출혈
응급실케이스(협심증케이스)
응급환자 사정
[의약학] 응급실 실습보고서
응급처치 대구지하철 씨랜드 화재 아시아나 항공 추락 인명피해 피해현황 사고 대형 사건
응급실에서 필요한 자료
응급실 과제
최신응급약물 정리(사진有)
응급처치(응급치료)의 정의, 응급처치(응급치료)의 필요성, 응급처치(응급치료)의 원리, 응급...
응급처치(응급치료) 중요성, 응급처치(응급치료) 목적, 응급처치(응급치료) 단계, 응급처치(...
응급상황 시 교사나 가족들이 취할 수 있는 지식, 태도, 실천적 기술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
응급처치 목적과 활동 원칙에 대해 작성
응급실 실습 레포트(사례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