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설 및 감상
2) 해모수 신화
3) 금와 신화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5) 요약 정리
2) 해모수 신화
3) 금와 신화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5) 요약 정리
본문내용
왕위를 이어 왕이 되고, 그 다음으로는 태자 대소(帶索)에게 왕위를 전했다. 지황(地皇)3년 임오에 이르러 고구려 왕 무휼(無휼-대무신왕)이 이를 쳐서 왕 대소를 죽이니 이로부터 나라가 없어졌다. (동부여)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 신화는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서사 무가(敍事巫歌)인 「당금애기」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유화가 해모수를 만나 주몽을 잉태한 과정과 그 다음의 고난을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 무가의 내용은 「제석 본풀이」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왕충(王充)의 『논형 (論衡)』에 전하는 북이 (北夷) 탁리국 출신의 동명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한편 서정주는 이 신화를 소재로 「북부여 풍류남아 해모수 가로되」「왕 금와의 사주팔자」,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주몽의 사주팔자」라는 시를 발표하였다.
5)요약 정리
* 형식 및 성격 : 건국 신화, 시조 신화
* 주제 :동명왕의 탄생 및 고구려의 건국 경위
* 표현 : 간결하고 소박함
* 의의 : ①우리 나라의 신화 중 높은 문학성을 가지고 있다.
②여러 가지 원초적인 신화소(神話素)를 가지고 있다.
③영웅의 일대기는 후대 서사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4)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 신화는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서사 무가(敍事巫歌)인 「당금애기」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유화가 해모수를 만나 주몽을 잉태한 과정과 그 다음의 고난을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 무가의 내용은 「제석 본풀이」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왕충(王充)의 『논형 (論衡)』에 전하는 북이 (北夷) 탁리국 출신의 동명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한편 서정주는 이 신화를 소재로 「북부여 풍류남아 해모수 가로되」「왕 금와의 사주팔자」,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주몽의 사주팔자」라는 시를 발표하였다.
5)요약 정리
* 형식 및 성격 : 건국 신화, 시조 신화
* 주제 :동명왕의 탄생 및 고구려의 건국 경위
* 표현 : 간결하고 소박함
* 의의 : ①우리 나라의 신화 중 높은 문학성을 가지고 있다.
②여러 가지 원초적인 신화소(神話素)를 가지고 있다.
③영웅의 일대기는 후대 서사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추천자료
카멜롯에 전설에 등장하는 아더왕의 존재와 기사도 정신에 대한 고찰
희곡 <오이디푸스 왕> 작품 분석
[신화][단군신화][신화 특징][신화 기원][단군신화 의미][단군신화 내용][단군신화 분석]신화...
준비된 왕 김춘추
건국신화(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중심으로)
오이디푸스 왕 갈등양상과 주동인물들 행위 요약
오이디푸스 왕 자료
백제(百濟)의 마지막 왕 의자왕 인물소개 및 생애분석, 가야지역 진출, 고구려와의 연합, 신...
[고구려건국신화][백제건국신화][고려건국신화][한국건국신화][대하건국신화][마한건국신화]...
[동아시아신화][동아시아][신화][한국][신라][만주족][대하]동아시아신화와 한국, 동아시아신...
단군신화(단군왕검이야기) 사상, 민족관, 단군신화(단군왕검이야기) 민속학적 고찰, 단군신화...
김시습 금오신화 개념,배경, 김시습 금오신화 사상, 김시습 금오신화 한계,작품분석, 김시습 ...
경문왕 설화의 현대적 변용
대중매체로서의 신화의 해석(단군신화해석, 신화의이해, 건국신화, 대중매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