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한국 자동차 공업의 특성
II. 한국 자동차 공업의 현재
III. 한국 자동차 공업의 전망
II. 한국 자동차 공업의 현재
III. 한국 자동차 공업의 전망
본문내용
. 자동차는 이후 황실용 2대와 총독부 1대가 도입되어 1911년에는 우리나라 보유대수는 3대가 되었다. 이후 부유층의 자가용과 운수사업용으로 들여오기 시작하고 판매와 서비스회사까지 생겨나 1945년에는 7,386대로 보유대수가 늘어나면서 광복을 맞았다.
2)자동차 공업의 태동
시발자동차와 새나라승용차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미 군용차를 재생하는 공장으로 1954년 하동환공업사와 신진공업사가 생겨났고, 1955년 국제차량공업사를 운영하던 최무성 삼형제가 전형적인 수공업형태로 지프형 승용차 '시발'을 만들어 1955년 8월 광복 10주년 기념으로 열린 산업박람회에 출품, 대통령상을 받으며 등장,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의 태동을 알렸다.
3)자동차 공업육성의 기틀마련
1960년대 들어 5.16 군사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에 힘입어 1962년 4월 자동차공업 5개년계획이 발표되고 자동차보호법이 제정되면서 국내 최초로 대규모 자동차 조립공장(생산능력 6,000대/년)인 새나라자동차가 설립, 같은 해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승용차의 부품을 SKD방식으로 수입하여 조립·생산한 최초의 국산승용차가 탄생하였다. 다시 1965년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사는 1966년 신진자동차로 상호를 바꾸고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기술제휴로 국산화율 20% 수준의 코로나를 생산하였다. 제2차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된 1967년 중화확공업정책이 본격화되면서 1967년 12월 현대자동차가 설립되어 자동차산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는 1968년 포드사와 기술제휴로 '코티나', 이듬해에는 '포드 20M'의 생산에 들어갔고, 1965년 설립된 아시아자동차도 피아트와 기술제휴로 1970년 초부터 '피아트 124'를 생산하였고, 1962년 기아산업은 3륜트럭 'K-360', 'T-1500'를 시작으로 1969년 4륜트럭 '타이탄'을 생산하여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은 4원화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4)고유국산차 개발-현대 포니
1972년 도요타자동차가 중국 진출을 위해 신진자동차에서 철수하고 대신 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가 세워졌고, 현대는 포드와 자본 협력에 실패하고 독자적인 자체모델 개발과 종합자동차공장 건설에 착수하는 가운데 기아도 마쯔다의 '브리사'를 1974년부터 국산화 생산을 개시하였다. 한편 고유모델 개발에 나선 현대자동차는 1975년 최초의 국산 고유모델 '포니'를 개발하여 대량생산과 처녀수출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을 한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해냈다. GM코리아는 1972년 '시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었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오늘날의 대우자동차가 출발하게 된다.
5)양산체제와 수출기반 확립
1980년 제2차 석유파동의 후유증으로 자동차공업은 한때 위기를 맞았으나 1981년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로 승용차 생산은 현대와 대우가, 중소형트럭은 기아가 독점 생산하게 됨에 따라 각사의 경영이 정상화되었다. 1986년 합리화조치가 해제되자 기아는 '프라이드'로, 현대는 '포니'에 이은 '엑셀'과 '프레스토'로, 대우는 '르망'을 앞세워 수출전략기지인 미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만들었다.
6)국제경쟁체제와 구조개편
세계시장에 본격적인 대량 수출 이후 기술의 자립화와 산업 구조의 고도화가 이루어졌고 1996년에는 280만대 생산체제로 세계 5위의 생산대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997년 IMF 쇼크로 내수시장이 붕괴되었고 자동차업계의 대대적인 구조 조정이 일어나 바야흐로 자동차업계는 1999년 현대자동차와 대우자동차의 양사 체제로 재편되어 21세기를 맞게 되었다.
2)자동차 공업의 태동
시발자동차와 새나라승용차 광복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미 군용차를 재생하는 공장으로 1954년 하동환공업사와 신진공업사가 생겨났고, 1955년 국제차량공업사를 운영하던 최무성 삼형제가 전형적인 수공업형태로 지프형 승용차 '시발'을 만들어 1955년 8월 광복 10주년 기념으로 열린 산업박람회에 출품, 대통령상을 받으며 등장,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의 태동을 알렸다.
3)자동차 공업육성의 기틀마련
1960년대 들어 5.16 군사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에 힘입어 1962년 4월 자동차공업 5개년계획이 발표되고 자동차보호법이 제정되면서 국내 최초로 대규모 자동차 조립공장(생산능력 6,000대/년)인 새나라자동차가 설립, 같은 해 일본 닛산의 블루버드 승용차의 부품을 SKD방식으로 수입하여 조립·생산한 최초의 국산승용차가 탄생하였다. 다시 1965년 새나라자동차를 인수한 신진공업사는 1966년 신진자동차로 상호를 바꾸고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기술제휴로 국산화율 20% 수준의 코로나를 생산하였다. 제2차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된 1967년 중화확공업정책이 본격화되면서 1967년 12월 현대자동차가 설립되어 자동차산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는 1968년 포드사와 기술제휴로 '코티나', 이듬해에는 '포드 20M'의 생산에 들어갔고, 1965년 설립된 아시아자동차도 피아트와 기술제휴로 1970년 초부터 '피아트 124'를 생산하였고, 1962년 기아산업은 3륜트럭 'K-360', 'T-1500'를 시작으로 1969년 4륜트럭 '타이탄'을 생산하여 우리나라 자동차공업은 4원화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4)고유국산차 개발-현대 포니
1972년 도요타자동차가 중국 진출을 위해 신진자동차에서 철수하고 대신 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가 세워졌고, 현대는 포드와 자본 협력에 실패하고 독자적인 자체모델 개발과 종합자동차공장 건설에 착수하는 가운데 기아도 마쯔다의 '브리사'를 1974년부터 국산화 생산을 개시하였다. 한편 고유모델 개발에 나선 현대자동차는 1975년 최초의 국산 고유모델 '포니'를 개발하여 대량생산과 처녀수출로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을 한단계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해냈다. GM코리아는 1972년 '시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었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오늘날의 대우자동차가 출발하게 된다.
5)양산체제와 수출기반 확립
1980년 제2차 석유파동의 후유증으로 자동차공업은 한때 위기를 맞았으나 1981년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로 승용차 생산은 현대와 대우가, 중소형트럭은 기아가 독점 생산하게 됨에 따라 각사의 경영이 정상화되었다. 1986년 합리화조치가 해제되자 기아는 '프라이드'로, 현대는 '포니'에 이은 '엑셀'과 '프레스토'로, 대우는 '르망'을 앞세워 수출전략기지인 미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만들었다.
6)국제경쟁체제와 구조개편
세계시장에 본격적인 대량 수출 이후 기술의 자립화와 산업 구조의 고도화가 이루어졌고 1996년에는 280만대 생산체제로 세계 5위의 생산대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997년 IMF 쇼크로 내수시장이 붕괴되었고 자동차업계의 대대적인 구조 조정이 일어나 바야흐로 자동차업계는 1999년 현대자동차와 대우자동차의 양사 체제로 재편되어 21세기를 맞게 되었다.
추천자료
울산 현대중공업의 입지와 특성
공업단지의 입지와 지역발전에 관한 연구 (진량공단을 중심으로)
[중화학공업화]중화학공업화의 의의, 중화학공업화의 효율성, 중화학공업화의 전개, 중화학공...
현대중공업과 두산중공업의 경영분석 비교연구
자동차산업의 발전요인, 자동차산업의 문제점, 자동차산업의 발전 방안, 자동차산업 하도급관...
[공업, 공업화, 가내공업, 제철공업, 계면활성제공업, 공학적 능력]공업과 주요공업, 공업과 ...
[공업][금속기계공업][대공업][후발공업화][말레이시아 공업화][북한공업][기계]공업과 금속...
[삼성][삼성아파트][삼성자동차][삼성노트북][삼성카드][삼성냉장고]삼성아파트(삼성래미안),...
쉐보레(대우자동차, GM대우)의 연혁, 목적, 쉐보레(대우자동차, GM대우) 평가, 부도영향, 쉐...
[산업 비교][미국자동차산업과 일본자동차산업 비교]국내게임산업과 동남아게임산업의 비교, ...
현대중공업 18년 무파업 경영에 대한 고찰 (사측입장정리, 노측입장정리, 노조, 공익적 입장 ...
현대사회와 경영윤리-쌍용자동차 윤리경영,쌍용자동차의 노사분규,쌍용자동차의 파업
[★★평가우수자료★★][한미寒微자동차 분쟁] 한미 자동차 분쟁 배경, 한미 자동차 분쟁 원인, ...
현대자동차 글로벌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분석및 현대자동차 SWOT분석과 북미진출전략 분석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