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나님은 누구신가?
2. 나는(인간은) 누구인가?
3. 예수님은 누구신가?
4. 성령님은 누구신가?
5. 성경이란?
2. 나는(인간은) 누구인가?
3. 예수님은 누구신가?
4. 성령님은 누구신가?
5. 성경이란?
본문내용
, 비로소 인간다운 인간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능력을 어느 정도 믿고 살아가야 함에도 이 책에선 그런 것 까지 오만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책의 저자에게 되묻고 싶은 것이 있다. 기독교, 즉, 하나님을 믿는 것도 하나의 자신의 의지에 의해 믿는 것이고, 어떤 사람들을 보면 자신의 능력을 키워달라고 주님께 부탁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이것도 주님의 힘을 빌려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거라 할 수 있겠지만 결국은 자기 자신이 더 강한 능력을 갖게 되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이것도 오만한 것인가? 나는 이에 대한 답을 잘 모르겠다. 나는 기독교신자도 아니고 기독교에 대해 아직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금 이글을 기독교신자가 본다면 크게 비웃을 지도 모르겠다. 당연한 것을 어리석게 묻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교도 하나의 문화라 할 수 있고 문화란 대중이 함께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대중의 어느 정도의 동의는 얻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종교에 신자가 아니라 해서 그 교리를 전혀 공감할 수 없다면 그것은 진정한 문화의 의미에서의 종교가 아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또 하나 궁금했던 것이 있다. 기독교는 유일신 사상을 기본으로 두고 있는데 유일신 사상이란 것은 다른 종교를 아예 배격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적립하지 못 하면 지옥에 간다고 하고 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기독교를 생각하면 선한사람들의 집단,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원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아이러닉하게도 기독교는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외치면서 믿지 않는 자는 지옥에 간다는 말로 사람들을 겁주고 있다. 다른 종교들을 보면 어느 정도 타종교에 관해 관용적이다. 하지만 기독교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이에 대한 해답은 무엇일까? 나 나름대로 이 책을 읽으면서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물론 유일신신앙은 기독교의 근본이 되는 사상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빠지게 된다면 기독교는 힘을 잃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변화를 통해 기독교의 기본 목표인 구원을 모든 사람들에게 해줄 수는 없는 것인가? 예수님이 돌아가실 때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다고 한다. 그렇듯 현재의 기독교도 그 종교를 믿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살아갈 수는 없는지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이 외에도 이 글과 기독교에 관한 궁금증은 많지만 그것까지 궁금해 한다면 기독교 전체를 의심하는 것 같아서 쓰지 않겠다. 책을 읽고서 궁금증이 풀린 부분이 있기도 하고 말이다. 글 앞쪽에서 새신자반이란 책이 나의 종교적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충분한 책이라 언급한적 있다. 그 구체적으로 채워진 호기심은 바로 기본적인 기독교의 이념과 평소 채플시간에 궁금해 하던 성경들의 종류 등이다. 나는 기독교를 믿지는 않는다. 하지만 배워보고자 하는 부문이 있다면 가장 먼저 종교라 할 것이다. 종교를 빼놓고 이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좀처럼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새신자반은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야 말로 새신자반은 기독교에 대해 겉핥기식이지만 단 하루 만에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새신자반의 독후감을 써보았다. 물론 나 또한 놀기 좋아하는 대학생이기에 이렇게 앉아서 독후감을 쓰고 있는 것이 지겹다. 하지만 다른 과제들과는 다르게 이번 과제는 평소 배워보고 싶었고 궁금하지만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몰랐던 기독교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측면에서는 이번과제는 다른 과제들과는 차이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과제가 더욱 의미 있었고 나에게 흥미를 주었던 것 같다.
지금까지 새신자반의 독후감을 써보았다. 물론 나 또한 놀기 좋아하는 대학생이기에 이렇게 앉아서 독후감을 쓰고 있는 것이 지겹다. 하지만 다른 과제들과는 다르게 이번 과제는 평소 배워보고 싶었고 궁금하지만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몰랐던 기독교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측면에서는 이번과제는 다른 과제들과는 차이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과제가 더욱 의미 있었고 나에게 흥미를 주었던 것 같다.
추천자료
재혼가정의 갈등과 기독교적 고찰
기독교의 역사적 이단과 안식교
[교회개관][교회성장][목회][한국교회][교회성장론][기독교][교회]교회개관, 교회성장 및 목...
기독교,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접근
엘리의 가정을 통해 본 올바른 기독교 가정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여성관 및 여성상
유대인 세계의 성서해석(성경해석), 성서해석(성경해석)의 기본요소와 방법, 설교와 생태신학...
종교비교: 유교와 기독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여성주의와 세계- \'가부장제 재생산자’로서의 기독교 분석
[주일학교교육론] 주일학교의 시작과 부흥 및 교회 부흥, 주일학교 교육의 강화 및 교사훈련 ...
[설교말씀][설교본문말씀-욥기 22장 21-30절] 하나님과 화목하자 - 하나님과 화목하는 방법 ...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에 대한 성경적 견해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