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탄수화물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Them

■ Abstract

■ Principle

■ vegant & Equipment

■ Method

■ Result

■ Discussion

본문내용

4℃에 30분간 냉각시킨후 안트론 시액을 3.3ml넣고 잘 섞어줬다. 이때 안트론 시액은 당일날 만들어 써야한다.
즉시 이것을 95℃의 끓는물에 담근 뒤 20분간 유지시킨 뒤 수돗물로 식힌후 6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여 blank를 빼준 값으로 stansard그래프를 그려 미지시료의 glucose량을 예측해 보았다.
■ Principle
1)탄수화물
넓은 뜻으로는 당류(糖類) 당질(糖質)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일반식 Cn(H2O)m 이 마치 탄소와 물분자(H2O)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리고 산소 원자수가 일반식보다 하나 적은 것(디옥시리보오스 등),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것(디미노당 등), 황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콘드로이틴황산 등)도 탄수화물에 포함시킨다. 화학적으로는 다가(多價) 알코올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및 그 유도체의 총칭이다.
탄수화물은 그것을 구성하는 단위당(單位糖)의 수에 따라 단당류 소당류 다당류로 구분한다. 단당류에는 알데히드형과 케톤형이 있으며, 각각을 알도오스(글루코오스 등) 케토오스(프룩토오스 등)라고 한다. 알데히드기 또는 α-케토기를 가지기 때문에 환원성이 있으며, 펠링액을 사용한 환원성의 검출은 오래전부터 잘 알려져 있다. 또 입체화학적으로는 비대칭탄소를 가지기 때문에 광회전성[旋光性]이 있어 몇 개의 광학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단당류는 1분자가 가지는 탄소의 수에 따라 다시 삼탄당(트리오스)부터 칠탄당(헵토오스)까지 분류된다. 글루코오스는 육탄당(헥소오스)이다. 소당류는 몇 개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을 한 것으로, 단당류가 2개 결합한 것을 이당류라고 하며, 수크로오스[蔗糖] 말토오스[麥芽糖]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삼당류 사당류 등으로 분류된다. 소당류 중에서도 알데히드기가 결합에 사용되지 않고 유리 상태로 있는 것은 환원성을 가진다. 단당류나 소당류는 모두 물에 잘 녹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으며, 어느 것이나 단맛이 있다. 다당류는 수없이 많은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며, 분자량은 수천에서 100만을 넘는 것도 있다. 가수분해에 의해서 소당류 또는 단당류를 생성한다. 한 종류의 단당류로 구성되는 것을 단순다당류라 하고, 여러 종류의 단당류로 구성되는 것을 복합다당류라고 한다.
2)탄수화물의 분류
①단당류(Monosaccharides)
탄수화물이 더 이상 분해될 수 없는 최종산물을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단당류는 탄소 6개의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그리고 갈락토스(galactose)이다.
②이당류(Disaccharides)
이당류는 단당류 분자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자당(surcrose), 맥아당(maltose) 및 유당(lactose) 등이 속한다.
③다당류(Polysaccharides)
다당류는 단당류가 수십개, 또는 그 이상 수천개의 단당류가 합쳐진 고분자 화합물을말한다. 다당류에는 전분(starch). 덱스트린(dextrin), 글리코겐(glycogen)과 섬유소(fiber)가 포함되며, 이들 구조에 따라 물리적인 성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3) 탄수화물의 기능
①탄수화물 1g 당 4kcal를 공급하며 소화흡수율이 98%로서 섭취한 탄수화물 거의 전부가 체내에 이용된다.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필수영양소로서, 1일 최소 60-100g 정도는 반듯이 섭취해야 한다.
②탄수화물은 단백질 절약작용을 하므로 만약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하면 체구성 보수에 사용되어야 할 단백질이 에너지로 쓰이게 되므로 적당한 탄수화물섭취는 단백질의 절약작용을 한다.
③탄수화물은 분해되어 포도당으로 혈액을 통하여 온몸에 분배된다. 혈액에 함유된 포도당은 항상 0.1%의 농도로 유지되므로 혈액 100㎖에 포도당 80-120mg가 정상 수준치이다.
④탄수화물의 기능 중 감미료로는 다당류가 분해되어 자당, 맥아당, 포도당, 과당, 전화당, 등이 감미료로 사용되며 식욕을 증긴시키고 영양에도 기여한다.
4)당류의 일반반응
(1)Molisch반응(α-naphthol반응)
단당류는 진한 H2SO4에 의하여 탈수반응을 일으켜 furfural 유도체로 되며, 이것이
α-naphthol과 반응하여 자색 또는 청자색의 착색물질을 형성한다.
소당류 및 다당류는 H2SO4에 의해 glycoside 결합이 끊어짐으로써 단당류로 변한 다음에 단당류와 같은 착색물질을 만든다.
이 정색반응은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진한 H2SO4에 의하여 furfural 또는 furfural 유도체르 변할 수 있는 다른 유기화합물에서도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단, glucuronic acid는 녹색의 착색물질을 만들며, glucosamine 및 chitin은 Molish 시험에 음성이다. 이 반응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Anthrone반응
Anthrone반응도 당류의 공통된 정색반응의 하나로서, 진한 H2SO4에 의해 탈수되어 형성된 furfural 및 그 유도체가 anthrone과 반응하여 청녹색의 착색물질을 만든다. 이반응은 매우 예민(2γ-glucose/㎖)하여 당류의 비색정량에도 이용된다. 당류 이외의 유기화합물은 갈색을 나타낸다.
5)환원당의 반응
(1)Fehling반응
Fehling반응, Benedict반응 및 Barfoed반응은 당류의 환원성에 기초를 둔 시험법이다. Fehling반응에 있어서 CuSO4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Cu(OH)2로 되고 이것이 환원성을 가진 당류에 의해 환원되어 적갈색의 Cu2O로 변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Benedict반응
Fehling반응과 같이 환원당에 의해서 Cu2O의 적색침전이 생성되는 것은 같으며, 다만 Benedict시약은 Fehling용액에 비하여 알갈리성이 훨씬 약하므로 더 안정한 것이 특징이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uSO4 + Na2CO3 + 2H2O → Cu(OH)2 + Na2SO4 + CO2 + H2O
2Cu(OH)2 + RCHO → 2CuOH +H2O + RCOOH
2CUOH → Cu2O↓ + H2O
(3)Tollens반응(은경반응)
Tollens반응은 은경반응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aldehyde기의 환

키워드

탄수화물,   정의,   실험,   결과,   보고서,   보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4.2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