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친환경농업 육성사례와 한국의 친환경농업 조직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의 친환경농업 육성사례와 한국의 친환경농업 조직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외국의 친환경농업 육성 사례
1. 쿠바 - 국가 주도의 거국적 유기농업
1) 전국적 유기농업- 생산량 증가시키다.
2) 쿠바 유기농업의 특징
2. 일본의 경우- 식과 농의 재생 플랜
3. 유럽 - 공동 농업 정책
1) 공동농업정책의 변천
2) 공동농업정책의 내용과 친환경농산물과의 연계성

ꊲ 외국의 사례로 미루어 한국의 친환경농업 조직하기
1. 정책에 관하여

본문내용

한다. 친환경 농업이 한국 농촌문제에 대한 실질적 대안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계속 강조했듯이, ‘지역농업’이 생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 농업을 이루기 위하여, 지역대학-지역산업-자치단체의 유기적 협력관계 확립, 지역사회의 농업지원활동(Community Support Agriculture) 활성화, 지역의 유기적 물질 순환 체계의 형성과 강화,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는 유통구조의 마련 등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일본의 지산지소운동 이나 Famer's Market은 국내에도 도입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셋째, 친환경 농업은 기계나 농약, 화학 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농업인 만큼, 노동력이 현재보다 더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친환경농업이 아직 1-2%대를 벗어나지 못하는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농촌의 인력부족 문제는 심각하다. 그러므로 친환경농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기존의 일손이 농촌에서 떠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지원 뿐 아니라 떠나간 일손을 다시 모으는 노력도 필요하다. 귀농자 기술교육 철저 실시(민간기관 활용, 인증제 실시) 귀농에 따른 장기 농지 및 시설투자 자금 알선, 귀농자에 대한 군복부대체 인정, 귀농자의 정착을 위한 귀농 보조금 지급, 농산물 가공 및 유통지원 대책 사전 강구 (농협, 생협 등의 지원활동에 연계), 환경농업 직접지불제, 종자보존관련 직접지불제, 생태적환경조성 관련 직접지불제, 농업의 다원적 기능 관련 직접지불제, 귀농관련 직접지불제 등 농민이 농업을 유지하고, 살수 있는 다양한 소득보존 방안을 정책적으로 보완 농촌에 각종 의료, 보건, 교육, 문화시설 확충으로 귀농인프라 구축 등이 그러한 예이다. 구체적 제안 부분 인용. 「쿠바 유기농업 연수 보고 (요약) -그 교훈 및 정책 건의」.
넷째, 도농 교류를 활성화하는 노력이다. 이는 위의 지역 농업과 비슷한 맥락일 수 있다. 그동안 공업위주의 성장정책으로 말미암아 도농의 격차는 점차 커져 현재에 이르러서는 거의 분리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친환경농업은 기본적으로 타 생명을 존중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대감을 형성하고 서로가 서로를 위하는 공생, 불교의 연기와 같은 맥락의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농협, 소비자단체, 가톨릭농민회, 천주교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한살림, 생활협동 협동조합 등 농민과 소비자가 함께 하는 도농교류형 생산 및 유통구조의구축 및 활성화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조직을 혁신, 친환경 농업관련 생협등 민간 소비유통단체들에 대한 지원은 성과를 바탕으로 지원방법과 규모를 다양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수매관련 자금이자는 3%이하로 하며 물류, 유통시설, 직판장 등을 지원을 통한 기반조성) 8)과 동일
마지막으로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쿠바의 경우 유기농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탄탄한 기술진과 농촌의 연계가 가장 큰 이유였다고도 할 수 있다. 허나 한국의 경우 친환경적인 농업을 연구하는 기술진 양성이 매우 부진할 뿐 아니라 그런 연구가 농촌의 실제 상황과 연구되는 경우(연구진이 농촌에 시행되었을 때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서 전혀 책임지지 않고 관심도 없는)는 드물다. 현재 우리나라 그러므로 국내 성공 유기농업지대 및 유기농가 사례 분석 연구, 농림부, 농진청, 산림청, 농협, 농업기반공사, 농수산물 유통공사 등의 관행농업 위주 현행체제를 친환경 유기농업 육성 지원체제로 대폭적인 개편, 농림부 담당자에 대한 지속적인 선진 유기농국가(예, 캐나다, 미국, 독일, 스위스, 쿠바, 일본 등) 연수 실시, 농촌진흥청 친환경농업 담당자 쿠바연수로 전통적인 민간 농업기술 및 첨단농법의 접목과 현장지도기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 위와 동일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4.2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