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다량광물질
ㄱ.칼슘과인
ㄴ.나트륨과 염소
ㄷ.마그네슘
ㄹ.칼륨
ㅁ.황
2)미량광물질
ㄱ.크롬
ㄴ.코발트
ㄷ.구리
ㄹ.요오드
ㅁ.철
ㅂ.망간
ㅅ.셀레늄
ㅇ.아연
ㄱ.칼슘과인
ㄴ.나트륨과 염소
ㄷ.마그네슘
ㄹ.칼륨
ㅁ.황
2)미량광물질
ㄱ.크롬
ㄴ.코발트
ㄷ.구리
ㄹ.요오드
ㅁ.철
ㅂ.망간
ㅅ.셀레늄
ㅇ.아연
본문내용
늄을 모돈에 급여하는 것은 번식능력 및 포유자돈, 이유자돈의 셀레늄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육성 비육돈 및 모돈에 있어서 사료내 셀레늄 수준을 0.1mg/kg에서 0.3 혹은 0.5mg/kg으로 높인 결과 혈청과 조직의 셀레늄 함량뿐만 아니라 돼지 몸 전체의 셀레늄 축적율이 증가 하였다. 다양한 셀레늄 수준에서 셀레네이트에 비해 셀레늄-강화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 셀레늄이 축적되고 저장되는 양은 일반적으로 더 많았다. 모돈의 경우 사료내 셀레늄 수준을 0.1mg/kg이상으로 높여도 혈청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이 더 높아지지않았고, 그 활성의 증가도에 있어서도 셀레늄-강화 켓모와 셀레나이트 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육성 비육돈에서 혈청 셀레늄 농도와 혈청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사료내 셀레늄의 수준이 0.1mg/kg일때에 평형에 이르렀다. 하지만 반응의 강도가 셀레나이트에 비해 효모에서 더 낮은 것으로 보아 셀레늄-강화 효모가 셀레나이트에 비해 생물학적 활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셀레늄의 결핍의 주요 생화학적 변화는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의 저하이다.
따라서 혈장 glutathione peroxidase(GSH-Px)수준은 돼지 혈액 및 조직내 셀레늄함량보다 돼지의 셀레늄 상태에 대한 믿을만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glutathione peroxidase 의 활성에 의한 동물의 셀레늄 결핍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사료내 셀레늄의 첨가량이 0.1mg/kg 미만일 때는 효과적이지만 0.1mg/kg 이상의 셀레늄이 사료에 첨가될 때는 조직내 셀레늄의 함량이 더 좋은 지표가 된다. 셀레늄 결핍증후군의 주요 특징은 갑작스런 사망이다.전체적인 증상으로는 간괴사, 나선형결장, 허파, 피하조직 및 위점막의 부종, 골격근의 영양부족, 심장근의 반점과 영양부족, 번식장애, 유생산량 감소, 면역반응의 감퇴가 있다.
독성의 증세로는 식욕감퇴, 탈모, 간의 지방 축적, 간과 신장의 퇴행성 변화, 부종, 발굽빠짐이 있으며 국부적 액포가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신경 괴사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사료에 비소화합물을 첨가하면 셀레늄 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가축의 셀레늄의 결핍여부를 체모를 채취하여 분석하여도 사료내 셀레늄 함량과 체모내 셀레늄함량의 상관계수가 r²=0.90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체모가 분과 뇨에 오염되었을때는 체모내 셀레늄 함량이 변하므로 오염이 비교적 덜되는 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ii-8) 아연
아연은 DNA혹은 RNA의 합성효소와 전사효소, 많은 소화효소들과 같은 금속성 효소들의 성분이며, 인슐린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원소는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사료적 요인들이 사료내 아연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요인에는 phytic acid, 혹은 식물의 phytates, 칼슘, 구리, 카드뮴, 코발트,EDTA,히스티딘 및 단백질 수준과 단백질 공급원이 있다.
케이신-포도당 사료를 섭취하는 자돈의 아연수준은 15mg/kg으로 낮은데, 이는 사료에 식물 phytates가 없기 때문이다. 대두단백질 위주의 반정제사료나 옥수수-대두박 위주 사료를 섭취하는 육성돈은 사료에 상당한 양의 phytate가 있어서 아연의 함량이 약 50mg/kg이된다. 웅돈의 아연은 암퇘지에 비해 높고, 암퇘지의 아연 수준은 거세돈에 비해 높다. 아연 요구량은 사료내 칼슘의 수준이 과도할 경우에 더 높아진다. 번식돈의 아연 요구량에 대해서는 잘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아의 성장, 젖합성, 자궁 회복기의 조직 복구 및 수퇘지의 정자 생산을 고려할 때 육성돈 보다는 아연이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연결핍의 전형적인 증상은 소위 parakeratosis라고 하는 피부의 각질화이다. 또한 성장률 및 성장효율이 낮아지며, 혈청의 아연 alkaline phosphatase 및 알부민 수준이 낮아진다. 임신기 및 비유기에 아연이 결핍된 사료를 먹으면 암퇘지는 산자수가 적어지고 자돈의 크기도 작아지며, 혈청 및 조직의 아연 농도도 낮아진다. 이러한 모돈으로부터 생산되는 젖의 아연 농도도 낮아진다. 아연결핍은 웅돈의 고환 발달을 지연시키고, 어린 동물의 발율을 지체시킨다.
아연의 생체이용률은 아연염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며, 원료사료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황산아연, 탄산아연, 염화아연 및 금속아연 분말형태의 아연은 거의 100%이용 가능하다. 생체 이용률은 표준물질을 기준으로 퍼센트 단위로 표시되며 흡수되거나 축적된 퍼센트를 의미하는것은 아니다. 섭취된 아연중 흡수되고 축적되는 아연은 일반적으로 50%보다 훨씬 낮다. 유기화춥물 형태의 아연은 황산아연과 거의 비슷한 생체 이용률을 보인다. 곡류와 식물 단백질의 아연은 이용률이 낮다. 하지만 미생물 파이테이즈를 첨가하면 생체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다. 아연독성은 육성돈에서 옥수수-대두박 위주 사료에 탄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2,000~4,000mg/kg 첨가했을 때 발생한다. 증세로는 의기소침, 관절염, 겨드랑이 출혈, 위염 및 사망이있다. 그러나 사료내 아연의 수준이 1,000mg/kg 일때에는 중독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육성돈의 사료내 산화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2,000~4,000mg/kg 첨가했을 때에는 아연중독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돼지가 젖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이 1,000mg/kg 함유된 사료를 섭취할 경우에는 2주 이내에 절름발이가 되고 뒤뚱거리게 되었다. 반면에 황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1,000mg/kg 함유한 사료를 섭취한 돼지에게는 아무런 중독증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높은 수준의 칼슘은 아연 중독을 완화시켜준다. 산화아연의 형태로 아연이 사료에 5,000mg/kg 함유될 경우, 2산차 동안 복당 산자수가 적어지고 이유 체중이 줄어들었으며 모돈에서 골연골염이 발생하였다. 모돈이 아연 수준이 높은 사료를 섭취할 경우 자돈 조직의 구리 수준은 낮아지게 되고 구리의 함량이 낮은 사료를 자돈이 섭취하면 쉽게 빈혈에 걸린다. 아연중독은 아연의 형태, 급여수준, 급여기간 및 다른 광물질의 수준이 영향을 받는다.
셀레늄의 결핍의 주요 생화학적 변화는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의 저하이다.
따라서 혈장 glutathione peroxidase(GSH-Px)수준은 돼지 혈액 및 조직내 셀레늄함량보다 돼지의 셀레늄 상태에 대한 믿을만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glutathione peroxidase 의 활성에 의한 동물의 셀레늄 결핍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사료내 셀레늄의 첨가량이 0.1mg/kg 미만일 때는 효과적이지만 0.1mg/kg 이상의 셀레늄이 사료에 첨가될 때는 조직내 셀레늄의 함량이 더 좋은 지표가 된다. 셀레늄 결핍증후군의 주요 특징은 갑작스런 사망이다.전체적인 증상으로는 간괴사, 나선형결장, 허파, 피하조직 및 위점막의 부종, 골격근의 영양부족, 심장근의 반점과 영양부족, 번식장애, 유생산량 감소, 면역반응의 감퇴가 있다.
독성의 증세로는 식욕감퇴, 탈모, 간의 지방 축적, 간과 신장의 퇴행성 변화, 부종, 발굽빠짐이 있으며 국부적 액포가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신경 괴사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사료에 비소화합물을 첨가하면 셀레늄 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가축의 셀레늄의 결핍여부를 체모를 채취하여 분석하여도 사료내 셀레늄 함량과 체모내 셀레늄함량의 상관계수가 r²=0.90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체모가 분과 뇨에 오염되었을때는 체모내 셀레늄 함량이 변하므로 오염이 비교적 덜되는 부분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ii-8) 아연
아연은 DNA혹은 RNA의 합성효소와 전사효소, 많은 소화효소들과 같은 금속성 효소들의 성분이며, 인슐린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원소는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사료적 요인들이 사료내 아연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요인에는 phytic acid, 혹은 식물의 phytates, 칼슘, 구리, 카드뮴, 코발트,EDTA,히스티딘 및 단백질 수준과 단백질 공급원이 있다.
케이신-포도당 사료를 섭취하는 자돈의 아연수준은 15mg/kg으로 낮은데, 이는 사료에 식물 phytates가 없기 때문이다. 대두단백질 위주의 반정제사료나 옥수수-대두박 위주 사료를 섭취하는 육성돈은 사료에 상당한 양의 phytate가 있어서 아연의 함량이 약 50mg/kg이된다. 웅돈의 아연은 암퇘지에 비해 높고, 암퇘지의 아연 수준은 거세돈에 비해 높다. 아연 요구량은 사료내 칼슘의 수준이 과도할 경우에 더 높아진다. 번식돈의 아연 요구량에 대해서는 잘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아의 성장, 젖합성, 자궁 회복기의 조직 복구 및 수퇘지의 정자 생산을 고려할 때 육성돈 보다는 아연이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연결핍의 전형적인 증상은 소위 parakeratosis라고 하는 피부의 각질화이다. 또한 성장률 및 성장효율이 낮아지며, 혈청의 아연 alkaline phosphatase 및 알부민 수준이 낮아진다. 임신기 및 비유기에 아연이 결핍된 사료를 먹으면 암퇘지는 산자수가 적어지고 자돈의 크기도 작아지며, 혈청 및 조직의 아연 농도도 낮아진다. 이러한 모돈으로부터 생산되는 젖의 아연 농도도 낮아진다. 아연결핍은 웅돈의 고환 발달을 지연시키고, 어린 동물의 발율을 지체시킨다.
아연의 생체이용률은 아연염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며, 원료사료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황산아연, 탄산아연, 염화아연 및 금속아연 분말형태의 아연은 거의 100%이용 가능하다. 생체 이용률은 표준물질을 기준으로 퍼센트 단위로 표시되며 흡수되거나 축적된 퍼센트를 의미하는것은 아니다. 섭취된 아연중 흡수되고 축적되는 아연은 일반적으로 50%보다 훨씬 낮다. 유기화춥물 형태의 아연은 황산아연과 거의 비슷한 생체 이용률을 보인다. 곡류와 식물 단백질의 아연은 이용률이 낮다. 하지만 미생물 파이테이즈를 첨가하면 생체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다. 아연독성은 육성돈에서 옥수수-대두박 위주 사료에 탄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2,000~4,000mg/kg 첨가했을 때 발생한다. 증세로는 의기소침, 관절염, 겨드랑이 출혈, 위염 및 사망이있다. 그러나 사료내 아연의 수준이 1,000mg/kg 일때에는 중독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육성돈의 사료내 산화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2,000~4,000mg/kg 첨가했을 때에는 아연중독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돼지가 젖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이 1,000mg/kg 함유된 사료를 섭취할 경우에는 2주 이내에 절름발이가 되고 뒤뚱거리게 되었다. 반면에 황산아연의 형태로 아연을 1,000mg/kg 함유한 사료를 섭취한 돼지에게는 아무런 중독증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높은 수준의 칼슘은 아연 중독을 완화시켜준다. 산화아연의 형태로 아연이 사료에 5,000mg/kg 함유될 경우, 2산차 동안 복당 산자수가 적어지고 이유 체중이 줄어들었으며 모돈에서 골연골염이 발생하였다. 모돈이 아연 수준이 높은 사료를 섭취할 경우 자돈 조직의 구리 수준은 낮아지게 되고 구리의 함량이 낮은 사료를 자돈이 섭취하면 쉽게 빈혈에 걸린다. 아연중독은 아연의 형태, 급여수준, 급여기간 및 다른 광물질의 수준이 영향을 받는다.
추천자료
행정수도 이전의 필요성과 그 효과, 그리고 그 실행과정
금융환경변화에 따른 투자행동 및 투자성과 분석 -자산수준별 소비자를 대상으로 2000년과 19...
프랑스 혁명과 그에 대한 평가
인터넷과 서양사
사회복지행정 기본과정
수사권과 검-경과의 관계
[벤처기업 창업][전자상거래 창업]벤처기업 창업과 전자상거래 창업 분석 고찰(벤처 창업의 ...
우리나라 사서직의 전반적현황과 취업동향
자료) 쌍용자동차 인사관리의 모든 것
식품 안전성
사회복지관의 문제점 개선과 방향
해부학실습 - 흰쥐[Rat해부] 해부
우리나라의 노인 자살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사회안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