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목적
2.장치
3.이론
4.방법
5.결과
6.고찰
7.참고문헌
2.장치
3.이론
4.방법
5.결과
6.고찰
7.참고문헌
본문내용
)+(-60975.72J/㏖)
≒ 101633.2J/㏖
(6)고찰
이 실험은 엔탈피 즉, 열 함량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H1을 측정하고 △H2와 △H3을 측정하여 엔탈피를 비교해 보았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야 할 것은 방출된 열량이라 하면 Q값이 음수이어야 하는데, 알다시피 우리가 한 실험값은 양수이다. 그 이유로는 주위로부터 온도를 측정했기 때문에 중심이 계가 아니라 주위가 되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실험값의 Q값을 음수로 표시한다. ‘-Q’ ←이렇게 표시한다.
실험결과 △H1과 △H2+△H3은 달랐다. 이론상으로는 같아야 하나 우리는 7.0J/㏖로 달랐다. 그 이유를 들자면, 어떤 물질의 무게가 정확하지 않은 것, 여러 용액의 농도가 정확하지 않은 것, 온도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밀도나 질량 값이 달라지고 방출된 열량 Q값도 달라지므로 엔탈피 값도 달라 지게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실험을 하면서 궁금한 점이 한 가지 있었다. 실험이 끝난 후 열량계 뚜껑을 열어 보면 스티로폼 안에 소량의 액체가 있었다. 처음엔 액체가 잘 섞이기 위해 열량계를 흔들다 비커에서 스티로폼 안으로 흘려진 게 아닐까도 했지만, 다음엔 조심히 흔들었는데도 스티로폼 안에 액체가 있었다. 내 생각으론 열이 발생하면서 기화 된 액체인 듯한데, 정확히 어떤 이유인지 궁금하다.
(7)참고문헌
책이름 : 표준일반화학실험
출판사 : 천문각
페이지 : p103~p109
인터넷 주소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
≒ 101633.2J/㏖
(6)고찰
이 실험은 엔탈피 즉, 열 함량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H1을 측정하고 △H2와 △H3을 측정하여 엔탈피를 비교해 보았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야 할 것은 방출된 열량이라 하면 Q값이 음수이어야 하는데, 알다시피 우리가 한 실험값은 양수이다. 그 이유로는 주위로부터 온도를 측정했기 때문에 중심이 계가 아니라 주위가 되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실험값의 Q값을 음수로 표시한다. ‘-Q’ ←이렇게 표시한다.
실험결과 △H1과 △H2+△H3은 달랐다. 이론상으로는 같아야 하나 우리는 7.0J/㏖로 달랐다. 그 이유를 들자면, 어떤 물질의 무게가 정확하지 않은 것, 여러 용액의 농도가 정확하지 않은 것, 온도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밀도나 질량 값이 달라지고 방출된 열량 Q값도 달라지므로 엔탈피 값도 달라 지게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실험을 하면서 궁금한 점이 한 가지 있었다. 실험이 끝난 후 열량계 뚜껑을 열어 보면 스티로폼 안에 소량의 액체가 있었다. 처음엔 액체가 잘 섞이기 위해 열량계를 흔들다 비커에서 스티로폼 안으로 흘려진 게 아닐까도 했지만, 다음엔 조심히 흔들었는데도 스티로폼 안에 액체가 있었다. 내 생각으론 열이 발생하면서 기화 된 액체인 듯한데, 정확히 어떤 이유인지 궁금하다.
(7)참고문헌
책이름 : 표준일반화학실험
출판사 : 천문각
페이지 : p103~p109
인터넷 주소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
추천자료
골재에 대해서(건설 재료 분야)
목재의 성질
고화처리 방법의 종류와 특성
[자연과학] partial molar volume 분몰부피 측정
열역학 제 1법칙, 제 2법칙
일반 물리학 정리
철근콘크리트역학실험-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쪼갬인장강도실험
partial molar volume 사전보고서
[화학실험 결과] 질산포타슘(KNO3)의 용해도
제4장 열역학 제 2법칙-1
[자연과학] 질산포타슘의 용해도
옥수수의 테트라졸륨
[건조물][건물][LCC][CIC][목재][건조수축][기공률]건조물(건물)과 LCC(총생애주기비용), 건...
토질역학 및 실습 -액성소성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