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 송병수
Ⅱ. 작품분석
1. 줄거리
2. 작품이해
1) 50년대 문학으로서의 《쑈리킴》
2) 소설 속 인물
3) 소설의 구성
① 언어의 사용
② 복선
Ⅲ. 감상
* 참고문헌
Ⅱ. 작품분석
1. 줄거리
2. 작품이해
1) 50년대 문학으로서의 《쑈리킴》
2) 소설 속 인물
3) 소설의 구성
① 언어의 사용
② 복선
Ⅲ. 감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너무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즉 따링 누나가 미군부대 근처 야산 웅덩이에 포장을 치고 비밀리에 5달러만을 받고 외국병사에게 몸을 팔아야 했던 것과 쑈리와 딱부리가 부모 품도 고아원도 아닌 미군부대 주변을 서성이게 된 것은 그들이 도덕적으로 문란해서도 아니고, 그들이 본질적인 악인이여서도 아니며 어쩔 수 없는 필연적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도덕관념과 가치관이 훼손된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저산 너머 햇님’ 이라는 노래를 부르는 쑈리와, 아무런 관계도 없는 쑈리와 함께 사는 따링 누나를 통해 알 수 있다. 만약 따링 누나가 도덕관념이 없는 여자였다면 5달러를 내미는 딱부리의 청을 거절할 필요도 없고, 쑈리를 붙잡고 울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이는 곧 그들의 삶이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음을 너무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작가는 쑈리와 따링누나가 현실 패배형 인물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이 결코 비극으로 끝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칼에 찔린 찔둑이를 피해 도망가면서도 따링누나와 함께 ‘저산 너머 햇님’을 부를 날을 고대하는 쑈리를 통해 보다 나은 삶으로의 여지를 남겨 둔 것이다. 물론 찔둑이가 일어나 쑈리를 잡으러 온다면 쑈리의 삶은 더욱 비참해지겠지만, 소설의 결말이 여기서 끝남으로써 쑈리의 삶은 조금의 희망을 갖게 되는 것이다.
◀ 6.25 전쟁으로 고아가 된 아이들
쑈리와 딱부리도 이런 모습을 하 고 있지 않았을까?
《쑈리킴》을 읽으면서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소설 속 어느 누구도 본명을 쓰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쑈리, 따링 누나, 찔둑이, 딱부리, 왕초, 똘만이, 깔치, 놉보 등... 주인공 모두에게 이름이 없었던 건 아닐 텐데도 불구하고 이들이 이와 같은 별명으로 불리게 된 것은 당시의 시대상과 무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즉 이들의 삶은 특정 누군가의 삶이 아니라 당대를 살았던 이웃집 누나나 동생의 삶을 대표하고 있는 것이다.
3) 소설의 구성
① 언어의 사용
· 은어, 비어: 딱부리, 쑈리킴, 따링 누나, 사추리, 왕초, 똘만이, 깔치, 놉보, 노다 지보, 깡통, 장땡, 딱티기, 털보, 양돼지, 양깡갱이(경음악), 고동을 튼다, 새끼, 빨갱이, 찹찹, 검둥이, 뚜럭질, 양말(영어) 등
· 전쟁과 관련된 말: 총쏘기, 칼던지기, 일선지구, 전망, 수송 중대, 상이군인, 도강 증, 진짜 단도, 피란 등
· 빈곤과 관련된 말: 고목나무, 청계천 다리밑, 청량리 고아원, 우유
또한 작가는 쑈리와 따링누나가 현실 패배형 인물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이 결코 비극으로 끝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칼에 찔린 찔둑이를 피해 도망가면서도 따링누나와 함께 ‘저산 너머 햇님’을 부를 날을 고대하는 쑈리를 통해 보다 나은 삶으로의 여지를 남겨 둔 것이다. 물론 찔둑이가 일어나 쑈리를 잡으러 온다면 쑈리의 삶은 더욱 비참해지겠지만, 소설의 결말이 여기서 끝남으로써 쑈리의 삶은 조금의 희망을 갖게 되는 것이다.
◀ 6.25 전쟁으로 고아가 된 아이들
쑈리와 딱부리도 이런 모습을 하 고 있지 않았을까?
《쑈리킴》을 읽으면서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소설 속 어느 누구도 본명을 쓰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쑈리, 따링 누나, 찔둑이, 딱부리, 왕초, 똘만이, 깔치, 놉보 등... 주인공 모두에게 이름이 없었던 건 아닐 텐데도 불구하고 이들이 이와 같은 별명으로 불리게 된 것은 당시의 시대상과 무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즉 이들의 삶은 특정 누군가의 삶이 아니라 당대를 살았던 이웃집 누나나 동생의 삶을 대표하고 있는 것이다.
3) 소설의 구성
① 언어의 사용
· 은어, 비어: 딱부리, 쑈리킴, 따링 누나, 사추리, 왕초, 똘만이, 깔치, 놉보, 노다 지보, 깡통, 장땡, 딱티기, 털보, 양돼지, 양깡갱이(경음악), 고동을 튼다, 새끼, 빨갱이, 찹찹, 검둥이, 뚜럭질, 양말(영어) 등
· 전쟁과 관련된 말: 총쏘기, 칼던지기, 일선지구, 전망, 수송 중대, 상이군인, 도강 증, 진짜 단도, 피란 등
· 빈곤과 관련된 말: 고목나무, 청계천 다리밑, 청량리 고아원, 우유
추천자료
국문학 개론- 고전소설의 전반적 성격, 전기소설, 몽유소설, 의인소설
[고전소설][고대소설][영화화][게임화][시트콤화][동화화]고전소설(고대소설)의 영화화와 고...
[1930년대 소설][소설][소설론][농민소설][모더니즘소설][1930년대]1930년대 소설의 특징, 19...
[김유정 소설 소낙비][소설][도덕성][작품배경][작품분석]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줄거리, 김유...
김유정(소설가)의 생애, 김유정(소설가)의 작품세계, 김유정(소설가)의 작품특징, 김유정(소...
[나도향 소설 물레방아][나도향][물레방아][줄거리][작품분석][작품감상]나도향 소설 물레방...
[김유정 소설 만무방][해학성]김유정 소설 만무방의 작가, 김유정 소설 만무방의 의미, 김유...
[김유정 소설 봄봄][봄봄][작품해석]김유정 소설 봄봄의 줄거리, 김유정 소설 봄봄의 작가, ...
[김동인 소설 배따라기][김동인][배따라기][소설][소설 배따라기][작품감상]김동인 소설 배따...
[박완서 소설 나목][박완서 소설][나목][박완서][작품분석]박완서 소설 나목의 내용요약, 박...
[은희경 소설 마이너리그][작가][등장인물][작품감상][마이너리그]은희경 소설 마이너리그의 ...
[염상섭 소설 삼대][기독교][작품분석]염상섭 소설 삼대의 작가, 염상섭 소설 삼대의 등장인...
[이기영 소설 고향][줄거리][등장인물][작가][작품구조][작품감상]이기영 소설 고향의 줄거리...
[이문열 소설][사람의 아들][종교관][신관]이문열 소설 사람의 아들 이데올로기, 이문열 소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