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세대 Life-Style의 특성
1. 신세대란?
2. N세대란?
Ⅱ. Good Brand / Poor Brand
1. 상표란 무엇인가?
2. 내가 생각하는 Good Brand Naming
3. 내가 생각하는 Poor Brand Naming
4. 내가 만들어본 Brand Naming
1. 신세대란?
2. N세대란?
Ⅱ. Good Brand / Poor Brand
1. 상표란 무엇인가?
2. 내가 생각하는 Good Brand Naming
3. 내가 생각하는 Poor Brand Naming
4. 내가 만들어본 Brand Naming
본문내용
세계 어느 곳에서나 잘 알려져 있듯이 코카콜라 상표는 가치를 따질 수 없을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코카콜라 뿐만 아니라 맥도널드, 디즈니, 코닥, 소니, 질레트, 메르세데츠 벤츠, 리바이스, 마이크로소프트, 말보로 등 이른바 세계 10대 상표의 가치는 금액으로 환산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 우리 나라의 경우도 진로그룹의 부도 이후에 그룹의 다른 많은 계열 기업들은 처분했어도 진로 상표를 지킨 것은 상표의 가치를 잘 말해 주는 것입니다. 진로의 상표권은 최소 수 천억원에서 1조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합니다.
- 상표는 기업의 신용이고 이미지입니다.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이 상표에 치우치고 있는 것은 상표의 중요성을 말해 주는 것입니다. 인터넷 통신의 발달로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기업과 소비자가 순식간에 만날 수 있는 마당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얼굴인 상표의 이름붙이기 (네이밍)와 관리에 있어서도 전략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현재의 경향입니다.
2. 내가 생각하는 Good Brand Naming
▶ 모닝 글로리(morning glory)
- 모닝글로리의 역사는 81년 광화문 교보빌딩 내 ‘문구센터’라는 대형매장을 개설하면서 시작됐다. 85년 공모를 통해 ‘모닝글로리’라는 브랜드를 발굴해 제조업에 진출한 뒤 매년 50%를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재 매출액 500억원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회사는 올해한국능률협회 컨설팅이 주관하는 한국산업브랜드파워 종합문구 부문 1위에 선정됐으며 2000년 신세대 대학생 선호상품 조사(한국대학신문사)에서도 브랜드선호드 52.1%를 기록했다.
- 모닝글로리는 의미로는 ‘아침의 영광’, 광의로는 ‘동방의 영광’을 말한다.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 속에 심어나간다는 취지와 함께 세계인이 모두 친근감있게 부르기 쉽도록 회사이름과 브랜드명을 통일시켰다.
- 이렇듯 모닝글로리라는 네이밍이 친근감있게 다가오고,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도 친근감있게 다가갈수 있으며, ‘모닝 글로리’ 라는 네이밍의 느낌이 문구점이라는 곳에서 편함항을 찾을수 있게하는 느낌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 햇 반
- 햇반 이라는 순수 한글과 한자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햅쌀로 지은 맛있고 신선한 밥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한국적이지만 modern한 느낌과 정성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햇반 = 정성(엄마가 해주신 밥)
- ‘햇 반’ 이라는 네이밍이 맛있고 방금 지은 밥이라는 느낌으로 인스턴트식품이라는 것에서 탈피하며, 맛있고 정성이 들어간 밥이라는 느낌이 들어 마치 기호식품처럼 그 이름에서 느껴진다고 생각된다.
▶ 아침햇살
- 아침햇살처럼 상쾌한 쌀 음료. 햇살 이라는 말에서 중의적 표현으로 제품의 원료를 표현하여, \'햇살\'이라는 네이밍으로 신선함을 부여하고있고 아침과의 연계하고 있다.
- 식품산업군의 성격상 ‘신선’ ‘깨끗’ ‘자연’이라는 핵심 아이덴티티를 심어주기에 ‘아침’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 키워드라고 생각되며, 네이밍이주는 느낌이 아침에 일어나서 우유나 쥬스대신 먹을수 있는 대체품으로 ‘나도 한번 먹어 볼까‘라는 느낌이 든다.
▶ 비타 500
- 웰빙 붐으로 소비자의 비타민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카페인이 없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료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수용해 비타민 음료라는 이미지가 물씬 풍기는 ‘비타500’이란 브랜드가 쉽게 소비자에게 어필했음.
-
비타 500이라는 네이밍은 많은 시간과 탐색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저관여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제품에 알기 쉽고 또한 비타민이 함유되어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이 음료를 마시면 비타민을 보충할수 있다는 느낌을 주게 된 것 같다.
▶미소지움
- ‘미소지움’이란 순 우리말 미소짓다의 “미소진” 과 공간, 집, 대형경기장을 의미하는 영문형 어미 -UM 이 합쳐진 ‘신성건설 주식회사’의 새로운 브랜드 명으로 해석되며, 아파트라는 공간에서 편안함과 안락함을 주고 나를 미소짓게 만드는 느낌을 준다.
3. 내가 생각하는 Poor Brand Naming
▶ Pro-Worldcup
- ‘프로월드컵’ 이라는 이름이 꼭 프로스펙스라는 브랜드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것 같다. 월드컵이라는 큰 컨셉을 가지고 네이밍을 했을 것 으로 예상되나, 어떠한 기업 역량이나 가치를 떠나 순수 네이밍 으로 접근하였을 때에도 기업이 추구하는 타켓이난 목표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투니스
- ‘투니스’라는 네이밍은 치토스라는 과자상품에서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러개의 일을 열심히 하다란 뜻으로써, 과자 상품에 맞는 그러한 뜻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 ‘치토스’ 라는 네이밍의 가치를 살려 연결된 시리즈가 나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HEAD
- \'헤드‘라는 느낌이 최고, 우위라는 느낌이 들지 않고 ’머리‘ 즉 상스러운 욕처럼 느껴진다. 이미지도 상어의 머리같은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거부감이 느껴진다.
▶맛스타
- ‘맛스타’라는 네이밍을 처음 접한건 군대에서였다. ‘맛’ 이라는 단어와 ‘스타’라는 단어가 어디가 이상하게 웃음이 나온다. 어색하기도 하고, 군인이라는 단순함을 강조시키기 위해서 였을까? 아무튼 이 맛의 스타라는 뜻의 이 네이밍은 어색하며, 음료수라는 것에대한 맛에 대해 너무 집착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Bad Boy
- ‘배드보이’이라는 말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나쁜놈이다.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회사는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힙합스타일로 보세전문의류상품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배드보이라는 느낌이 청소년들에게는 반항적인 심리를 잘 파악하여 반영한다고 볼수 있으나, 나쁜놈이라는 네이밍이 거부감이 드는게 솔직한 생각이다.
4. 내가 만들어본 Brand Naming
▶ 신발산업에서의 ‘Spring’
- 신발의 편안함과 활동적인 생각을 하다. 사전검색중 \"산뜻하다\"를 영한사전으로 검색하여보니 “fresh, vivid, trim”이 나왔고, 그 중 가장 인상적인게 VIVA로서 생생함, 생명력 등을 연상시키는데 거기서 Vivaldi의 \"사계절\"이 생각되었고, 봄 spring이 떠올라, 신발의 산뜻함을 함축하며, Spring은 또한 뛰다,
- 우리 나라의 경우도 진로그룹의 부도 이후에 그룹의 다른 많은 계열 기업들은 처분했어도 진로 상표를 지킨 것은 상표의 가치를 잘 말해 주는 것입니다. 진로의 상표권은 최소 수 천억원에서 1조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합니다.
- 상표는 기업의 신용이고 이미지입니다.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이 상표에 치우치고 있는 것은 상표의 중요성을 말해 주는 것입니다. 인터넷 통신의 발달로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기업과 소비자가 순식간에 만날 수 있는 마당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얼굴인 상표의 이름붙이기 (네이밍)와 관리에 있어서도 전략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현재의 경향입니다.
2. 내가 생각하는 Good Brand Naming
▶ 모닝 글로리(morning glory)
- 모닝글로리의 역사는 81년 광화문 교보빌딩 내 ‘문구센터’라는 대형매장을 개설하면서 시작됐다. 85년 공모를 통해 ‘모닝글로리’라는 브랜드를 발굴해 제조업에 진출한 뒤 매년 50%를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재 매출액 500억원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회사는 올해한국능률협회 컨설팅이 주관하는 한국산업브랜드파워 종합문구 부문 1위에 선정됐으며 2000년 신세대 대학생 선호상품 조사(한국대학신문사)에서도 브랜드선호드 52.1%를 기록했다.
- 모닝글로리는 의미로는 ‘아침의 영광’, 광의로는 ‘동방의 영광’을 말한다.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 속에 심어나간다는 취지와 함께 세계인이 모두 친근감있게 부르기 쉽도록 회사이름과 브랜드명을 통일시켰다.
- 이렇듯 모닝글로리라는 네이밍이 친근감있게 다가오고,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도 친근감있게 다가갈수 있으며, ‘모닝 글로리’ 라는 네이밍의 느낌이 문구점이라는 곳에서 편함항을 찾을수 있게하는 느낌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 햇 반
- 햇반 이라는 순수 한글과 한자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햅쌀로 지은 맛있고 신선한 밥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한국적이지만 modern한 느낌과 정성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햇반 = 정성(엄마가 해주신 밥)
- ‘햇 반’ 이라는 네이밍이 맛있고 방금 지은 밥이라는 느낌으로 인스턴트식품이라는 것에서 탈피하며, 맛있고 정성이 들어간 밥이라는 느낌이 들어 마치 기호식품처럼 그 이름에서 느껴진다고 생각된다.
▶ 아침햇살
- 아침햇살처럼 상쾌한 쌀 음료. 햇살 이라는 말에서 중의적 표현으로 제품의 원료를 표현하여, \'햇살\'이라는 네이밍으로 신선함을 부여하고있고 아침과의 연계하고 있다.
- 식품산업군의 성격상 ‘신선’ ‘깨끗’ ‘자연’이라는 핵심 아이덴티티를 심어주기에 ‘아침’은 가장 적합한 이미지 키워드라고 생각되며, 네이밍이주는 느낌이 아침에 일어나서 우유나 쥬스대신 먹을수 있는 대체품으로 ‘나도 한번 먹어 볼까‘라는 느낌이 든다.
▶ 비타 500
- 웰빙 붐으로 소비자의 비타민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카페인이 없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료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수용해 비타민 음료라는 이미지가 물씬 풍기는 ‘비타500’이란 브랜드가 쉽게 소비자에게 어필했음.
-
비타 500이라는 네이밍은 많은 시간과 탐색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저관여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제품에 알기 쉽고 또한 비타민이 함유되어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이 음료를 마시면 비타민을 보충할수 있다는 느낌을 주게 된 것 같다.
▶미소지움
- ‘미소지움’이란 순 우리말 미소짓다의 “미소진” 과 공간, 집, 대형경기장을 의미하는 영문형 어미 -UM 이 합쳐진 ‘신성건설 주식회사’의 새로운 브랜드 명으로 해석되며, 아파트라는 공간에서 편안함과 안락함을 주고 나를 미소짓게 만드는 느낌을 준다.
3. 내가 생각하는 Poor Brand Naming
▶ Pro-Worldcup
- ‘프로월드컵’ 이라는 이름이 꼭 프로스펙스라는 브랜드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것 같다. 월드컵이라는 큰 컨셉을 가지고 네이밍을 했을 것 으로 예상되나, 어떠한 기업 역량이나 가치를 떠나 순수 네이밍 으로 접근하였을 때에도 기업이 추구하는 타켓이난 목표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투니스
- ‘투니스’라는 네이밍은 치토스라는 과자상품에서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여러개의 일을 열심히 하다란 뜻으로써, 과자 상품에 맞는 그러한 뜻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 ‘치토스’ 라는 네이밍의 가치를 살려 연결된 시리즈가 나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HEAD
- \'헤드‘라는 느낌이 최고, 우위라는 느낌이 들지 않고 ’머리‘ 즉 상스러운 욕처럼 느껴진다. 이미지도 상어의 머리같은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거부감이 느껴진다.
▶맛스타
- ‘맛스타’라는 네이밍을 처음 접한건 군대에서였다. ‘맛’ 이라는 단어와 ‘스타’라는 단어가 어디가 이상하게 웃음이 나온다. 어색하기도 하고, 군인이라는 단순함을 강조시키기 위해서 였을까? 아무튼 이 맛의 스타라는 뜻의 이 네이밍은 어색하며, 음료수라는 것에대한 맛에 대해 너무 집착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Bad Boy
- ‘배드보이’이라는 말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나쁜놈이다.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회사는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힙합스타일로 보세전문의류상품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배드보이라는 느낌이 청소년들에게는 반항적인 심리를 잘 파악하여 반영한다고 볼수 있으나, 나쁜놈이라는 네이밍이 거부감이 드는게 솔직한 생각이다.
4. 내가 만들어본 Brand Naming
▶ 신발산업에서의 ‘Spring’
- 신발의 편안함과 활동적인 생각을 하다. 사전검색중 \"산뜻하다\"를 영한사전으로 검색하여보니 “fresh, vivid, trim”이 나왔고, 그 중 가장 인상적인게 VIVA로서 생생함, 생명력 등을 연상시키는데 거기서 Vivaldi의 \"사계절\"이 생각되었고, 봄 spring이 떠올라, 신발의 산뜻함을 함축하며, Spring은 또한 뛰다,
추천자료
창업 계획서 - 준보석 회사
피자헛의 싸이월드 미니홈피 연동을 통한 체험마켓팅
펀(Fun) 마케팅에 주목하라
최근희트상품의 마케팅 전략(2% 부족할 때, T.G.I Friday's, EF소나타, LG텔레콤 '카이' ,대...
속옷 판매 창업계획서
외식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TTL 서비스 상품 관리 사례
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
속옷을 소비자에 맞는 주문제작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사업
[중소기업창업론]다양한 고객의 Needs를 고려한 '언더웨어' 전문점 창업계획서
사업계획서(커피전문점)
[엔터테인먼트마케팅][엔터테인먼트][엔터테인먼트마케팅 성공요소][마케팅]엔터테인먼트 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팬들을 길들이는 방법,팬충성도마케팅,충성도마케팅,팬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