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3. 작가의 시선 변화
4. 염상섭 초기소설의 후기화: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
1) 기존연구의 흐름과 시대구
2) 전반기 소설연구
3) 후반기 소설연구
5. 두 작품의 주제변화
1) 두 작품의 제목을 통해 본 주제의 변화
2) 주제를 통해 본 개작에 대한 평가
6. 결론
【참고문헌】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3. 작가의 시선 변화
4. 염상섭 초기소설의 후기화: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
1) 기존연구의 흐름과 시대구
2) 전반기 소설연구
3) 후반기 소설연구
5. 두 작품의 주제변화
1) 두 작품의 제목을 통해 본 주제의 변화
2) 주제를 통해 본 개작에 대한 평가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 비평론
염상섭의 「해바라기」,「신혼기」 역사 전기비평
【 목 차 】
1. 서론 1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2
3. 작가의 시선 변화 8
4. 염상섭 초기소설의 후기화: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 9
1) 기존연구의 흐름과 시대구
2) 전반기 소설연구
3) 후반기 소설연구
5. 두 작품의 주제변화 13
1) 두 작품의 제목을 통해 본 주제의 변화
2) 주제를 통해 본 개작에 대한 평가
6. 결론 15
【참고문헌】 16
--------------------------------------------------------------------1. 서론
역사주의비평이란 문학작품과 그것을 생산한 사회적, 문화적 관계를 인과율로 다루는 개념이다. 즉, 문학작품을 그것 자체만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 생산된 역사적 맥락, 작가의 상상력의 소산으로서의 작품, 그 작품의 시대적문화적 요소와의 관련성, 후세의 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의의 등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따져서 비평하는 방법이라 하겠다. 우리조는 염상섭의 「해바라기」와 「신혼기」에 대해 역사주의비평을 중심으로 토론을 하였고 이렇게 결과물을 제출하게 되었다. 「해바라기」는 1923년 7월 18일부터 동년 8월 26일까지 40회에 걸쳐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1924년 7월 31일 박문서판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된 바 있다. 이를 1949년에 「신혼기」로 개작하고, 1954년 9월 20일에 금룡도서주식회사에서 재판(再版)을 냈는바 오늘날 전집류에 수록된 「신혼기」는 대개 이 개작본이다.
그러나 이제 갓 비평론의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에서 염상섭의 모든 것을 헤집어 작품을 비평하기에는 너무나 벅찬 욕심이었다. 그래서 우리들은 초보적인 단계로 우선 작품 내에서 「해바라기」와 「신혼기」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을 통해 작가의 시선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각 작품에서 보이는 시선의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주제의 변화도 이해할 수 있었으므로 그에 대한 분석과 개작에 대한 나름의 평가를 도출해보았다.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해바라기」에서 「신혼기」로 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인물의 성격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일단 「해바라기」의 영희가 동경여자대학 문과에까지 올라간 남만한 이상을 지닌 여성으로 표현이 되고 있는 것과 달리 「신혼기」에서는 동경음악 학교를 나온 남만한 교양과 견식도 있는 여성으로 표현이 된다. 문과대학이 음악학교로 바뀌었으며 이상이 교양과 견식이라는 말로 바뀐 것이다. 이는 영희가 결혼식에서 연설을 한 행위가 「해바라기」에서는 ‘자기의 사상까지 껴서 피로를 하고...’ 라고 표현이 된것과 달리 「신혼기」에서는 ‘자기의 변명하고 싶은 말까지 끄집어내서 피로를 하기로 한 것이다’ 로 바뀐 것과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즉 「해바라기」에서의 영희가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당당함과 이지적인 면모를 가진 여성이라면 「신혼기」에서는 조금 더 현실적이고 유순해진 것이다.
순택의 성격도 「해바라기」와 「신혼기」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갓 결혼한 아내가 옛 애인이 죽은 곳으로 찾아가서 비석을 세우는 행위는 순택의 입장에서는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닐 것이며 불편한 심사도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해바라기」와 「신혼기」에서 순택은 영희에게 쩔쩔매고 영희를 사랑하는 인물로서 등장을 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해바라기」의 순택이 자신의 불편한 심기에 대해서 조금 더 직접적으로 표현을 한다면 「신혼기」에서는 영희에게 더욱 더 관대하고 아량이 넓은 사내로서 표현이 된다. 이는 「신혼기」가 「해바라기」보다는 영희와 순택, 두 사람이 결혼을 하고난 후 영희의 옛 과거를 과거로서 정리하고 새로운 출발선에 선 부부의 모습을 더 부각시키는 면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해바라기」의 9장이 「신혼기」에서는 빠져있다. 「해바라기」에서 영희는 사키창에게 편지까지 보내고 수삼의 묘 앞에서 제사까지 지내면서 눈물을 흘린다.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순택은 한숨을 쉬고 폐백을 드리지 않은 것을 떠올린다. 이런 인물들에 대해서 「해바라기」에서는 조소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신혼기」에서는 ‘그러나 그것인들 천년을 가랴, 만 년을 가랴마는 다만 수삼이에게 보낼 것은 다 보냈으니, 영희의 마음이 인제는 거뜬할 따름이다’라고 결말을 맺고 있다. 영희와 순택의 결혼생활에 앞서 과거를 정리를 함으로써 영희가 마음의 짐을 덜어낸 듯이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3장부터 8장까지를 통해 「해바라기」에서 「신혼기」로 개작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인물의 성격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에 인용한「해바라기」는 1987년에 민음사에서 출판된 『염상섭전집 1』에, 「신혼기」는 1994년 삼성당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전집 -염상섭, 이효석』에 실린 원문이다.
<3장>
3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영희와 순택의 결혼 축하로 온 전보들 중에서 예전 영희의 애인이었던 홍수삼의 동생 홍수철이 보낸 전보를 본 후의 상황을 묘사이다.
영희가 순택과의 결혼을, 자신의 사랑을 담보로 하여 순택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얻는, 즉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는 것에 있어 「해바라기」와 「신혼기」 두 판본에는 차이가 없다. 하지만 두 판본이 본격적으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는 부분이 있다.
영희는 이런 생각을 머릿속으로 이어 나가다가 깜짝 놀라며 미안하듯이 신랑을 치어다보 았다.
「신혼기」125쪽
「신혼기」에는 「해바라기」와는 달리 ‘미안하듯이’라는 영희의 순택에 대한 감정묘사를 추가했다. 이는 영희가 순택과의 결혼을 단순히 경제적인 도구로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애정을 느낄지 모른다는 여지를 남겨준다. 좀 더 분명한 차이는 3장의 중반 이후에 나타난다.
그러나 쳔만번의키쓰로 남자의몸을 뻘거케달려노핫드라도 그것은 역시 의식
염상섭의 「해바라기」,「신혼기」 역사 전기비평
【 목 차 】
1. 서론 1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2
3. 작가의 시선 변화 8
4. 염상섭 초기소설의 후기화: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 9
1) 기존연구의 흐름과 시대구
2) 전반기 소설연구
3) 후반기 소설연구
5. 두 작품의 주제변화 13
1) 두 작품의 제목을 통해 본 주제의 변화
2) 주제를 통해 본 개작에 대한 평가
6. 결론 15
【참고문헌】 16
--------------------------------------------------------------------1. 서론
역사주의비평이란 문학작품과 그것을 생산한 사회적, 문화적 관계를 인과율로 다루는 개념이다. 즉, 문학작품을 그것 자체만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 생산된 역사적 맥락, 작가의 상상력의 소산으로서의 작품, 그 작품의 시대적문화적 요소와의 관련성, 후세의 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의의 등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따져서 비평하는 방법이라 하겠다. 우리조는 염상섭의 「해바라기」와 「신혼기」에 대해 역사주의비평을 중심으로 토론을 하였고 이렇게 결과물을 제출하게 되었다. 「해바라기」는 1923년 7월 18일부터 동년 8월 26일까지 40회에 걸쳐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1924년 7월 31일 박문서판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된 바 있다. 이를 1949년에 「신혼기」로 개작하고, 1954년 9월 20일에 금룡도서주식회사에서 재판(再版)을 냈는바 오늘날 전집류에 수록된 「신혼기」는 대개 이 개작본이다.
그러나 이제 갓 비평론의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에서 염상섭의 모든 것을 헤집어 작품을 비평하기에는 너무나 벅찬 욕심이었다. 그래서 우리들은 초보적인 단계로 우선 작품 내에서 「해바라기」와 「신혼기」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을 통해 작가의 시선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염상섭 문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각 작품에서 보이는 시선의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주제의 변화도 이해할 수 있었으므로 그에 대한 분석과 개작에 대한 나름의 평가를 도출해보았다.
2.「해바라기」→「신혼기」: 인물 변화를 중심으로 본 차이점
「해바라기」에서 「신혼기」로 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인물의 성격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일단 「해바라기」의 영희가 동경여자대학 문과에까지 올라간 남만한 이상을 지닌 여성으로 표현이 되고 있는 것과 달리 「신혼기」에서는 동경음악 학교를 나온 남만한 교양과 견식도 있는 여성으로 표현이 된다. 문과대학이 음악학교로 바뀌었으며 이상이 교양과 견식이라는 말로 바뀐 것이다. 이는 영희가 결혼식에서 연설을 한 행위가 「해바라기」에서는 ‘자기의 사상까지 껴서 피로를 하고...’ 라고 표현이 된것과 달리 「신혼기」에서는 ‘자기의 변명하고 싶은 말까지 끄집어내서 피로를 하기로 한 것이다’ 로 바뀐 것과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즉 「해바라기」에서의 영희가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당당함과 이지적인 면모를 가진 여성이라면 「신혼기」에서는 조금 더 현실적이고 유순해진 것이다.
순택의 성격도 「해바라기」와 「신혼기」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갓 결혼한 아내가 옛 애인이 죽은 곳으로 찾아가서 비석을 세우는 행위는 순택의 입장에서는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닐 것이며 불편한 심사도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해바라기」와 「신혼기」에서 순택은 영희에게 쩔쩔매고 영희를 사랑하는 인물로서 등장을 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해바라기」의 순택이 자신의 불편한 심기에 대해서 조금 더 직접적으로 표현을 한다면 「신혼기」에서는 영희에게 더욱 더 관대하고 아량이 넓은 사내로서 표현이 된다. 이는 「신혼기」가 「해바라기」보다는 영희와 순택, 두 사람이 결혼을 하고난 후 영희의 옛 과거를 과거로서 정리하고 새로운 출발선에 선 부부의 모습을 더 부각시키는 면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해바라기」의 9장이 「신혼기」에서는 빠져있다. 「해바라기」에서 영희는 사키창에게 편지까지 보내고 수삼의 묘 앞에서 제사까지 지내면서 눈물을 흘린다.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순택은 한숨을 쉬고 폐백을 드리지 않은 것을 떠올린다. 이런 인물들에 대해서 「해바라기」에서는 조소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신혼기」에서는 ‘그러나 그것인들 천년을 가랴, 만 년을 가랴마는 다만 수삼이에게 보낼 것은 다 보냈으니, 영희의 마음이 인제는 거뜬할 따름이다’라고 결말을 맺고 있다. 영희와 순택의 결혼생활에 앞서 과거를 정리를 함으로써 영희가 마음의 짐을 덜어낸 듯이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3장부터 8장까지를 통해 「해바라기」에서 「신혼기」로 개작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인물의 성격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에 인용한「해바라기」는 1987년에 민음사에서 출판된 『염상섭전집 1』에, 「신혼기」는 1994년 삼성당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전집 -염상섭, 이효석』에 실린 원문이다.
<3장>
3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영희와 순택의 결혼 축하로 온 전보들 중에서 예전 영희의 애인이었던 홍수삼의 동생 홍수철이 보낸 전보를 본 후의 상황을 묘사이다.
영희가 순택과의 결혼을, 자신의 사랑을 담보로 하여 순택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얻는, 즉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는 것에 있어 「해바라기」와 「신혼기」 두 판본에는 차이가 없다. 하지만 두 판본이 본격적으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는 부분이 있다.
영희는 이런 생각을 머릿속으로 이어 나가다가 깜짝 놀라며 미안하듯이 신랑을 치어다보 았다.
「신혼기」125쪽
「신혼기」에는 「해바라기」와는 달리 ‘미안하듯이’라는 영희의 순택에 대한 감정묘사를 추가했다. 이는 영희가 순택과의 결혼을 단순히 경제적인 도구로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애정을 느낄지 모른다는 여지를 남겨준다. 좀 더 분명한 차이는 3장의 중반 이후에 나타난다.
그러나 쳔만번의키쓰로 남자의몸을 뻘거케달려노핫드라도 그것은 역시 의식
추천자료
북한문학사에서 사씨남정기와 춘향전의 가치평가의 차이점에 대해 논술하시오`
[고전문학]조웅전 - 연구사, 작품분석, 문학사적 위상
[고전문학]주생전 - 작품분석, 문학사적의의, 연구사검토
[고전문학]최척전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위상
[고전문학]최치원전 -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차범석 연구(작품세계 : 산불, 불모지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정옥과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살펴 본 한국TV드라마 작가주의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 「패강냉」(패강랭)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
[소설창작론]이태준 단편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 <해방전후>
현대문학강독3공통)이인직의 혈의루 은세계 중 1편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를 ...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을 중심으로
채만식의 약력, 채만식의 작품활동, 채만식의 소설관, 채만식의 풍자문학, 채만식의 소설 레...
1910년대의 한국문학 레포트
연암 소설 연구- 「양반전」, 「예덕선생전」, 「열녀함양박씨전」을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