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갈등에 관한 부부관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부갈등에 관한 부부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가족형성기의 이해
1.결혼준비의 필요성
2.결혼 의식
3. 결혼생활에 대한 전통적 스크립트와 평등주의적 스크립트
4. 부부관계 형성의 기초
제 2장 고부갈등

1. 고부관계
2. 고부갈등의 정의
3. 고부갈등의 변화
4. 고부갈등의 원인 및 이론적 관점
5. 고부갈등의 유형
6. 갈등을 느끼는 수준/인내수준
7. 갈등에 따르는 정서적 결과
8. 고부갈등 해결
제 3장 부부관계

1. 부부관계
2. 부부갈등의 해결 방법
제 4장 보도 자료

1) 도서
2) 구전
3) 보도자료
제 5장 결론 및 제언
제 6장 참고도서

본문내용

가까이 가서 부딪히기 보다는 거리감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다가 어떠한 계기가 되어 시어머니에게 자기표현을 확실히 하였을 때 시어머니의 반응이 이전 같지가 않다거나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했다고 여겨질 때는 자신감을 갖는다. ‘한번 넘기가 힘들지 그 다음부터는 쉽다’고 말을 하기도 한다. 이 결과로 며느리는 하지 못하던 것을 해냈다는 성취감을 갖게 되며 그 후로부터는 자기목소리를 내는 삶을 산다.
“ 한번은 시어머니가 돌아다니시면서 내 흉을 너무 보시기에 시어머니와 둘만 있을 때 마주 앉아서 그러지 말라고 말을 했어요. 그랬더니 거기서는 참느라고 부들부들 떠시더라구요. 그러더니 시아버지에게 말을 하셨나봐요. 그러다가 너무 흥분을 하셔서 응급실로 실려가셨어요. 그러면 사람들이 몰려 오거든요. 아들 딸 사위 며느리 모두가. 그런데 그때 저는 너무 미워서 한번 뭔가를 보여주어야겠다고 병원에 가지를 않았어요. 전화도 안하고 시집에 몇 달 동안 가지도 않고. 그랬더니 어머니가 그때부터 응급실에 가는 일도 없고 저한테도 예전같지 않게 대하세요.”(양선)
③ 다른 문제의 발생
시어머니와의 갈등이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는 경우에 스스로 그 상황에서 분리되는 것을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집안내의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다보면 시어머니로부터 떠나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시어머니와의 관계를 전환시키려는 시도를 한다. 발생도니 문제가 더 심각할 경우에는 무관심과 체념의 상태에서 고부갈등이 완화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며느리가 자의적으로 갈등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는 시도를 한다.
④ 시집살이의 한계를 체감
면담자들은 모두가 결혼생활 경험이 모두 10년 이상의 사람들이라 시집의 생활 패턴과 대소사에 관련된 일에 대해서 나름대로 경험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 시작도 끝도 없는 집안일들을 헌신적으로 감당해 온 며느리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신에 대해서 회의를 갖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끝없는 집안일들로부터의 이탈을 시도한다. 시집살이를 하던 삶을 대체할 자신의 일을 찾아서 다른 일로 집중을 하며 집안일로부터 벗어나 자기 자신에 대한 집중을 시작하면서 시어머니와의 갈등관계로부터 전환된다.
“시어머니에게 말을 안 들으려고 굉장히 노력을 많이 하고 사람들 말 한 마디 한 마디 전-부 신경을 쓰고 거기에 하나라도 거슬리는 것을 안 하려고 완벽하려고 노력을 했지. 그게 굉장히 힘이 많이 들고 했지. 결국은 아무하고도 가깝지를 못하고 나는 항상 가정에서고 어디서고 소외되어 잇는 그런 느낌을 가졌지. 옛날식으로 하면 지금 공부를 할 수가 없어 감히. 그런데 내가 숨통을 터야 하니까 몸이 부숴지도록 일을 해도 마음이 훨씬 편해지더라구.”(충성)
⑤ 다른 일에 집중
시어머니와의 관계를 스스로 건강한 관계나 분리된 관계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일을 만들어 분리를 시도하여 개별화된 삶을 살기 위한 시도를 한다. 특히 교인들의 경우는 교회의 일을 한다거나 교회와 관련된 봉사활동을 하고 일반 공동체에 들어가 봉사와 배움의 기회를 갖는다.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거나 직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일에 더욱 정열을 쏟는다.
“공부를 하게 되면서 육체적으로는 힘들어도 마음은 훨씬 편하더라고요. 그러니까 살 것 같더라고. 어머니도 너무 마음에 안 들지만 상황이 그러니까 어쩔 수 없이 참아줄 수 밖에 없게 된거지.”(충성)
⑥ 남편과의 인격적 통합
바람직하고 건강한 결혼관계에서는 자신에게 억압되어 있던 부분을 배우자를 통해서 대리 만족하는 한편, 억압되어 잇던 부분이 점차 의식 위로 떠오르면서 이전에 분열, 억압되어 있던 자기의 부분들이 전체로 통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고 하였다. 즉, 배우자와의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잃어버렸던 자기의 반쪽을 되찾게 되어 결국 인격의 통합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을 ‘결합된 성격’라고 한다. 면담자들 가운데도 남편과의 삶 속에서 자신이 평안을 더욱 찾아가고 시어머니와 갈등에서도 남편의 지지와 격려가 힘이 되어서 안정적인 삶을 되찾아간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그런 면에서 남편에게 고마움을 느낀다고 말하고 있다.
“신혼 초에는 남편이 깝깝해 할 정도로 말을 안했는데 변했어요. 제가 안에 못 담아 드는 느낌이에요. 저는 우리 신랑을 달달 볶아야 해요. 그래도 우리 신랑은 그것을 받아주고 풀어줘요. 정말 착해요. 우리 신랑이 무슨 죄로 그런가 하는 생각에 저는 기도로 스스로 해결하려고 해요.”(절제)
(2) 자신의심리적 전환
고부간의 관계에 있어서 변화가 올 때의 특징을 보면 며느리들이 자신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경험한다. 중년기에 들어서는 경험을 하기도 하고, 시어머니에게 저항을 하다가 자신에 대한 자각이 오기도 하고, 자신의 정체성에 회의가 오면서 사춘기와 같은 심리적인 전환기를 맞이한다.
“시어머니도 얼마 안 있으면 큰집으로 가시고 인제 아- 우리 딸이 요번에 수능을 보고 대학 결정이 되면 제가 숙제거리가 있어요. 내가 인제 그때부터 시간이 많잖아요. 그 시간을 내가가 지금부터 무언가를 해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온유)
(3) 시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한 생각의 전환
며느리들은 인생의 경험이 늘어날수록 시어머니를 갈등의 대상에서 같은 인격체로 이해하기도 하고, 같은 여성으로서의 동질감과 시어머니의 세력약화와 공감을 통해 긍휼감을 갖게 된다.
① 시어머니에 대한 이해
면담자들이 결혼생활의 경험이 늘어가면서 고부간에 있어서 시어머니를 이해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감을 하게 된다. 시어머니가 나이 들어가고 자신의 자녀들이 장성해 감에 따라 시어머니의 세력이 약화되는 것을 체감하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자신의 세력이 강하여 짐을 느낀다. 또한 입장을 바꾸어서 생각하므로 인지적인 변화가 나타나는데 아들을 둔 경우에는 자신이 다시 시어머니의 위치로 갈 것을 생각하며 전황되는 위치에 따른 불안감도 있고, 한 인격체로서 시어머니의 인생을 동정하기도 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생겨남으로 며느리들은 시어머니에 대한 생각과 자세에 있어서 변화가 온다.
“전에는 미움이 많았는데 지금은 불쌍한 생각이 많이 들어요. 그래서 내가 어머니는 참 안
  • 가격5,000
  • 페이지수65페이지
  • 등록일2005.07.0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