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의 생애와 작품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규보 문학의 배경
1. 역사적 배경
2. 문학적 배경
3. 이규보의 생애와 작품활동의 전기적 고찰

Ⅲ. 시세계

Ⅳ.결론

본문내용

보는 일상과 자연현상을 주로 주제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벼슬을 구하는 시, 벼슬을 얻고 그에 감사하는 시, 자연을 사랑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시 그리하여 자연에 귀의하여 자아를 인식하려는 시 등 다양한 면을 보여 주고 있다.
詠井中月 (영정중월)
山僧貪月色 (산승탐월색) 산에 사는 스님이 달빛이 탐나
幷汲一甁中 (병급일병중) 물과 함께 병 속에 달을 담았네
到寺方應覺 (도사방응각) 절에 다다르면 그 때 알리라
甁傾月亦空 (병경월역공) 병을 기울이면 달은 없는 것을
물을 길러갔는데 ‘아 ! 달이 좋다’ 스님이 욕심을 내어 내가 가져가야지 한고 바가지에 함께 길어 넣었는데 절에 돌아와서는 깜빡 잊고 있다가 ‘아차 ! 내가 달을 가져왔지 !’하고 바가지를 들어 보니 바가지가 기울어 달 또한 사라진 것이다. 천진난만한 동심의 세계를 그리고 있으니 별 볼일 없는 시처럼 보이나 각 구의 끝글자들을 연결해보면 色中覺空이라는 글자가 된다. 시인은 어린애같은 천진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온갖 사물을 꿰 뚫어 보는 심안을 갖고 있어야 한다. 산속에 들어간 것은 탐진(남을 미워하여 꾸짓는 것)을 위해서이지만 보통 사람은 재물 권력을 탐한다. 여기에서 스님은 달빛을 탐하는데 과연 달빛을 탐하는 것을 탐한다 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折花行(절화행)
牡丹含露眞珠顆 진주 이슬 머금은 모란꽃을
美人折得窓前過 신부가 꺾어 들고 창 앞을 지나다가
含笑問檀郞 빙긋이 웃으며 신랑에게 묻기를
花强妾貌强 "꽃이 예쁜가요, 제가 예쁜가요?"
檀郞故相戱 신랑은 짐짓 장난을 치느라
强道花枝好 "꽃이 당신보다 더 예쁘구려"
美人妬花勝 신부는 꽃이 더 예쁘다는 말에 토라져
踏破花枝道 꽃가지를 밟아 뭉개고는 말하길
花若勝於妾 "꽃이 저보다 예쁘거든
今宵花同宿 오늘밤은 꽃하고 주무세요"
젊은 두 남녀의 모습이 참으로 밉지 않은 풍경을 자아낸다. 신부는 신랑 앞에서 온갖 애교를 부렸을 것이다. 신부가 창 앞을 스쳐 지나다 보니 모란꽃이 이슬을 함초롱이 머금은 채 피어있었다. 그 모습이 참 예뻤나 보다. 하지만 오늘만큼은 자신보다 예쁘지는 않다고 생각했다. 그래 신랑에게 확인 받고 싶은 마음에 잔뜩 기대하고 물었다.
그랬더니 돌아온 대답은 꽃이 더 아름답다.는 말이 아닌가! 물론 신랑의 장난기가 발동된 것임을 알면서도 어찌나 서운하던지 신부는 그만 화를 불쑥 내버렸다. 그렇게 꽃이 예쁘고 사랑스러우면 오늘밤은 꽃과 함께 주무세요! 하는 퉁명스런 목소리가 짙게 묻어나는 작품이다. 하지만 신랑도 신부도 밉지 않다. 그저 흐뭇한 미소를 부를 따름이다. 오히려 정겹기조차 하다.
Ⅳ.결론
이상으로 이규보의 생애와 작품활동, 몇가지 항목에 걸쳐 그의 문학과 배경, 시세계 살펴보았다. 이규보는 그가 살았던 시대는 고려의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역사적 전환기였으며 매우 혼란스러운 시대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새로 진출한 신진사인으로써 더 이상 바랄 수 없을 정도의 높은 관직을 얻었고, 시문으로서 한 시대를 이끌던 문호였다. 또한 역사적 배경으로는 무신란과 무신정권의 성립, 농민, 노비의 난, 그리고 본 보고서에서는 다루지 못하였지만 몽고와의 항쟁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건과 시대상황에 따라 이규보의 삶을 시기구분을 통해 살펴보았다. 위의 이러한 이규보의 생과 시대적 상황을 연계시켜 생각해보면 그가 살았던 시대가 매우 혼란스럽고 어지러웠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뜻을 세우고,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위기를 기회로 삼을 줄 아는 능력에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자신에게 당면한 현실이 다소 불합리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다 하여 그것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현실에 맞서 바꿔 나갈 때만이 현실은 개선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규보의 생을 통해 우리는 알 수 있다.
또 이규보가 벼슬에 대한 요구가 강렬했던 만큼, 자연에 대한 애착 역시 그 농도가 짙었다. 그의 정신세계는 티없이 깨끗하고 순박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정서는 자연애, 자연귀의등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그의 시는 현실 탈피가 아니라, 현실을 보여주고 자연으로 귀의하려는 긍정적인 사고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1. 김경수, 이규보연구(단국대학원 1979)
2.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시론, 지식산업사, 1978
3. 전형대 이규보의 시론 새서문사, 1986
4. 이동철,이규보 임화 시의 연구, 형설 출판사,1994
5. 강동엽, 치웅, 김의숙, 이경수, 한국고전문학의 이해와 분석, 북스일, 2001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7.08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