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II.본론
1. 궁궐건축
2. 불사건축
3. 주택건축
4. 관아건축
5. 향교 및 서원건축
6. 성곽건축
III.결론
II.본론
1. 궁궐건축
2. 불사건축
3. 주택건축
4. 관아건축
5. 향교 및 서원건축
6. 성곽건축
III.결론
본문내용
명맥이 유지되어 오고 있다. 현재 남한에만 231개소의 향교가 남아 있다.
2)서원: 조선시대의 사설학원으로 유학을 공부하고 선현에 대한 祭享(제향)을 하던 곳으로서 성균관과 향교가 관학으로 설립된 데 반하여 서원은 사림에 의하여 향리에 세워진 사설교육장이다. 서원은 서재, 서당, 정사, 선현사, 향현사 등으로 널리 불려졌으며 중국 서원제도의 배경 아래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있다. 서원은 처음에는 책을 모아두는 藏書(장서)의 목적으로 설립한 것으로 보이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종 때는 선비로서 서원을 설치하여 교육하는 자를 포상하였으므로 서원이 강학소로서의 본질이 확실해졌고 선현들을 추모하기 위한 祠廟(사묘)의 제도도 도입되었다. 1543년(중종38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은 중국의 白鹿洞(백록동) 서원의 영향을 받아 경북 순흥에 白雲洞(백운동) 서원을 창설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 되었다. 그리고 이 서원에 고려 말의 유학자 安珦(안향)의 사당을 짓고 그 신위를 봉안하였다. 명종조에는 紹修書院(소수서원)이란 額書(액서)와 동시에 토지, 노비, 서적 등을 하사받음으로써 賜額書院(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서원의 설치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600여 개소에 달하였으며 조정에서 공인한 사액서원만도 130여 개소가 되었다. 초기의 서원은 인재를 양성하고 선현을 향사하며 유교적 향촌의 질서 유지와 時政(시정)을 비판하는 등 긍정적인 기능을 발휘하였으나 후기로 내려오면서 지방 양반층의 이익을 대변하여 면세, 면역 등의 폐단을 초래하게 되었다. 결국 효종 대에는 사액을 통제하고 고종대에 이르러 대원군은 서원의 특권을 없애고 설치를 금지하여 모범이 되는 서원 47 개소만을 남기고 모두 철거하였다.
6. 성곽건축 (그림12-수원성 八達門(팔달문)과 五星池門(오성지문)의 세부명칭)
우리나라는 전체면적의 약 7할이 山地(산지)로 되어 있어 일정지역에 모여 사는 사람들은 옛부터 자연적인공적 외침에 대비하며, 스스로의 거주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공적인 구조물을 축조하여 왔다. 城郭(성곽)이란 ‘군사적, 행정적인 집단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거주하면서 일정한 공동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 구조물이 연결성을 갖는 전통건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태조는 한양에 도성을 축조하기 위하여 新都宮闕造成都監(신도궁궐조성도감)을 설치한 후 1396년에 백성들을 징발하여 축성을 완료하였다. 당시의 도성은 주로 土築(토축)이었는데, 숙종, 영정조 연간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石城(석성)으로 개축하였다. 개축한 석성은 둘레가 약 17km, 높이가 40척 가량 되었으며, 4대문과 4間門(간문)을 두었다. 한편 세종, 성종 때에는 읍성의 축조가 활발하였는데, 과거 토축이었던 것을 석축으로 개축하여 방어력을 높이고 규모가 적은 것은 크기를 늘리는 등 현존하는 대부분의 읍성은 이 당시에 축조된 것이 많다.
결론
인간은 역사와 사회 그리고 문화라는 굴레속에서 호흡한다. 인간의 삶이 내용이라면 건축은 삶, 즉 그 내용을 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그릇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으며 또한 그릇에 대한 분석 없이는 내용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옛 건축물은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초로 건축적인 상황, 즉 입지, 형태, 공간이 이해되어야 한다. 우리 조상들은 사계절의 뚜렷한 변화와 고유의 지형 등을 배경으로 地勢(지세)를 존중하여 거스르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면서 조화시키는 슬기를 터득하고 건축입지에서부터 배치, 그리고 형태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 특유의 조형성을 발전시켜 독특한 건축문화를 이룩하였다.
2)서원: 조선시대의 사설학원으로 유학을 공부하고 선현에 대한 祭享(제향)을 하던 곳으로서 성균관과 향교가 관학으로 설립된 데 반하여 서원은 사림에 의하여 향리에 세워진 사설교육장이다. 서원은 서재, 서당, 정사, 선현사, 향현사 등으로 널리 불려졌으며 중국 서원제도의 배경 아래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있다. 서원은 처음에는 책을 모아두는 藏書(장서)의 목적으로 설립한 것으로 보이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종 때는 선비로서 서원을 설치하여 교육하는 자를 포상하였으므로 서원이 강학소로서의 본질이 확실해졌고 선현들을 추모하기 위한 祠廟(사묘)의 제도도 도입되었다. 1543년(중종38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은 중국의 白鹿洞(백록동) 서원의 영향을 받아 경북 순흥에 白雲洞(백운동) 서원을 창설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 되었다. 그리고 이 서원에 고려 말의 유학자 安珦(안향)의 사당을 짓고 그 신위를 봉안하였다. 명종조에는 紹修書院(소수서원)이란 額書(액서)와 동시에 토지, 노비, 서적 등을 하사받음으로써 賜額書院(사액서원)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서원의 설치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600여 개소에 달하였으며 조정에서 공인한 사액서원만도 130여 개소가 되었다. 초기의 서원은 인재를 양성하고 선현을 향사하며 유교적 향촌의 질서 유지와 時政(시정)을 비판하는 등 긍정적인 기능을 발휘하였으나 후기로 내려오면서 지방 양반층의 이익을 대변하여 면세, 면역 등의 폐단을 초래하게 되었다. 결국 효종 대에는 사액을 통제하고 고종대에 이르러 대원군은 서원의 특권을 없애고 설치를 금지하여 모범이 되는 서원 47 개소만을 남기고 모두 철거하였다.
6. 성곽건축 (그림12-수원성 八達門(팔달문)과 五星池門(오성지문)의 세부명칭)
우리나라는 전체면적의 약 7할이 山地(산지)로 되어 있어 일정지역에 모여 사는 사람들은 옛부터 자연적인공적 외침에 대비하며, 스스로의 거주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공적인 구조물을 축조하여 왔다. 城郭(성곽)이란 ‘군사적, 행정적인 집단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거주하면서 일정한 공동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 구조물이 연결성을 갖는 전통건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태조는 한양에 도성을 축조하기 위하여 新都宮闕造成都監(신도궁궐조성도감)을 설치한 후 1396년에 백성들을 징발하여 축성을 완료하였다. 당시의 도성은 주로 土築(토축)이었는데, 숙종, 영정조 연간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石城(석성)으로 개축하였다. 개축한 석성은 둘레가 약 17km, 높이가 40척 가량 되었으며, 4대문과 4間門(간문)을 두었다. 한편 세종, 성종 때에는 읍성의 축조가 활발하였는데, 과거 토축이었던 것을 석축으로 개축하여 방어력을 높이고 규모가 적은 것은 크기를 늘리는 등 현존하는 대부분의 읍성은 이 당시에 축조된 것이 많다.
결론
인간은 역사와 사회 그리고 문화라는 굴레속에서 호흡한다. 인간의 삶이 내용이라면 건축은 삶, 즉 그 내용을 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그릇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으며 또한 그릇에 대한 분석 없이는 내용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옛 건축물은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초로 건축적인 상황, 즉 입지, 형태, 공간이 이해되어야 한다. 우리 조상들은 사계절의 뚜렷한 변화와 고유의 지형 등을 배경으로 地勢(지세)를 존중하여 거스르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면서 조화시키는 슬기를 터득하고 건축입지에서부터 배치, 그리고 형태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 특유의 조형성을 발전시켜 독특한 건축문화를 이룩하였다.
추천자료
- 조선통신사 닛코(日光) 유람의 문화관광학적 고찰
- 조선전기 도시상업
- 조선의 의례 : 국가제사와 종묘
- [영국][영국문화][영국의 문화]영국(잉글랜드)의 지리, 영국(잉글랜드)의 기후, 영국(잉글랜...
- [유교][질서관][교육사상][중용사상][문화자원][도덕교육]유교의 질서관, 유교의 교육사상, ...
- 조선대 - 영국생활과문화 (강의안 + 07년 ~ 11년 퀴즈) 2011년 여름 계절학기꺼.
- [주거문화][원시][선사][신석기][청동기][삼국][고려][조선]원시시대 주거문화, 선사시대 주...
-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를 읽고과거와 현재의 한일관계를 돌아보며
- 조선대 프랑스문화 인강 족보
- 조선대 프랑스문화 예술 족보
- (조선대인강) 중국문화와 공연예술
- 우리고장 탐구(내고장 탐구)와 문화재(장도장), 문화재(강정일당 묘역), 문화재(옹징군 대청...
- 조선왕조 세종대왕시대에 발전된 과학문명과 기술
- 조선왕조 세종대왕시대에 발전된 과학문명과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