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景德王時代와 忠談師
<讚耆婆郞歌>의 의미와 忠談師
<安民歌>의 의미와 忠談師
<讚耆婆郞歌>의 의미와 忠談師
<安民歌>의 의미와 忠談師
본문내용
식이 내포되어 있다. 즉 仁政으로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여 평안하지 못하다는 것인데, 맹자의 역성혁명사상
) 맹자는 민본주의에 입각한 왕도 정치사상을 내세웠는데, 이에 의하면 治者는 治者대로 피치자는 피치자대로 이상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소유할 것과 인민은 민심을 배반한 지도자를 타도해야 한다는 易姓革命을 주장했다.
과 관련시켜 볼 수 있다. 맹자의 역성혁명은 민심을 잃으면 큰일난다는 것을 왕에게 알리는 것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충담사의 <안민가>도 실책을 거듭하고 있는 왕에게 이런 역성혁명의 이론으로 일침을 가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민가>는 경덕왕의 실정에 대해 재야 서민 계층으로 대표되는 충담사의 강한 비판의식이 담겨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유미, 「충담사론」『한국문학론집』17, 한국문학회, 1995
2. 이일배, 『충담사의 향가연구 - 특히 현실주의적 성격을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1989
3. 이웅재, 『경덕왕대 향가 연구 - 월명사·충담사·신충의 작가적 성격과 그 작품의 의미』 , 중앙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1984
) 맹자는 민본주의에 입각한 왕도 정치사상을 내세웠는데, 이에 의하면 治者는 治者대로 피치자는 피치자대로 이상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소유할 것과 인민은 민심을 배반한 지도자를 타도해야 한다는 易姓革命을 주장했다.
과 관련시켜 볼 수 있다. 맹자의 역성혁명은 민심을 잃으면 큰일난다는 것을 왕에게 알리는 것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충담사의 <안민가>도 실책을 거듭하고 있는 왕에게 이런 역성혁명의 이론으로 일침을 가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민가>는 경덕왕의 실정에 대해 재야 서민 계층으로 대표되는 충담사의 강한 비판의식이 담겨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유미, 「충담사론」『한국문학론집』17, 한국문학회, 1995
2. 이일배, 『충담사의 향가연구 - 특히 현실주의적 성격을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1989
3. 이웅재, 『경덕왕대 향가 연구 - 월명사·충담사·신충의 작가적 성격과 그 작품의 의미』 , 중앙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198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