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술전 환자 간호사정
수술 전 간호상태 확인내용
수술실 환자 간호
수술중 간호기록
문헌고찰
담낭의 구조
담낭의 기능
담석증
간호
수술과정
수술 전 간호상태 확인내용
수술실 환자 간호
수술중 간호기록
문헌고찰
담낭의 구조
담낭의 기능
담석증
간호
수술과정
본문내용
ng point를 3호 silk tie나 bovie로 coagulation하여 bleeding control 한다.
②복막절개(incision of the peritoneum)
toothed forcep 2개로 복막을 살짝 들어 올린 후 20번 mess로 약간 incision하고 medium kelly 2개로 절개된 복막의 양쪽을 잡은 후 mayo scissor로 길게 incision한다. 복막의 bleeding point는 kelly로 잡은 후 3호 silk로 kelly tie하거나 bovie로 coagulation한다.
③담낭박리(division of the gall bladder)
복강이 노출되면 wet(4*8 wet gauze) pad로 intestine를 싸준 후 gall bladder clamp로 담낭을 잡은 후 총담관(common bile duct), 간관(hepatic duct)의 병변을 관찰한다. 담낭주위 조직은 right angle로 clamp하고 metzenbaum으로 cutting한 후 4-5호 silk로 kelly tie한다. 30ccsyringe에 22G needle 을 끼워 담낭으로부터 담즙을 흡인해내어 culture tube에 담는다. 담석만 제거할 때는 7번 mess handle에 끼운 15번 mess로 담낭을 incision한 후 stone forcep으로 stone을 잡아 들어올린 후 절개부위는 3-0chromic catgut으로 담낭을 봉합한다.
④담낭 십이지장 인대박리(division of cholecystoduodenal ligament)
담낭절제가 필요한 경우는 담관과 총담관을 노출시킨 후 담낭 저부를 gall bladder clamp로 잡아 들어 올리고 담낭 십이지장 인대를 hemostat로 잡아 위로 올린 후 metzenbaum으로 cutting한다.
⑤담관 결찰(ligature of the cystic duct and artery)
담관(cystic duct)은 right angle 2개로 총담관 접합부위로부터 1/4되는 점을 clamp한 후 담낭쪽의 담관부위는 5호 silk로 tie한다. 담관 동맥은 right angle 2개로 gall bladder 근처에서 clamp 한후 4-5호 silk로 stick tie한다.
⑥ 담낭절제(resection of the gall-bladder)
7번 mess handle에 끼운 15번 mess로 절제부위를 표시한 후 metzenbaum 으로 cutting하면 담낭절제가 된다.
⑦ 담관촬영(cholangiogram)
right angle로 잡아놓았던 담관을 찾아 mosquito 2개로 opening을 벌린 후 담배관을 삽입한다. 50cc syringe에 saline을 담아 extension tube를 끼운 후 extension tube를 cystic cannula에 연결하여 irrigation한다. dye 50cc를 cystic cannula를 통해 투입하고 x-ray를 촬영한 후 막힌 곳이 없으면 cystic cannula를 제러한 후 담관을 3-4호 silk로 stick tie를 한다. 담낭이 제거된 부위에 존재하는 담낭의 주위 지지 조직은 3-0 catgut으로 suture한다.
⑧ T-tube 삽입과 총담관 봉합(closure of the common bile duct and insertion of T-tube)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경우는 총담관을 절개하여 결석을 제거한 후 T-tube를 삽입한다. T-tube는 CBD의 절개로 인한 부종이 가라앉고 답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액될 때까지 삽입해 두는 것으로 대개 수술이 끝난 후 10-14일 정도에 제거하게 된다. 3호 장침에 3호 silk를 끼워 CBD 양쪽을 tagging한 후 15번 mess로 CBD를 절개한 후 stone forcep으로 결석을 꺼낸다. 총담관 확장기를 3번부터 차레로 넣어본 후 T-tube를 총담관 안에 넣은 후 chromic catgut 또는 3-0 dexon으로 CBD를 suture한 후 T-tube에 saline을 넣어보아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dye 10cc에 saline 30cc를 희석한 후 syringe에 담아 T-tube 안으로 주입시킨후 x-ray 촬영을 한다. 막힌 곳이 없으며 복부절개 부위 밑에 15번 mess로 약간 절개를 넣어 T-tube끝과 배액관을 함께 피부 밖으로 꺼내 놓는다.
⑨ 복강세척(peritoneal irrgation)
warm saline으로 복강내를 irrigation한 후 bleeding 되는 부위가 있으면 bovie로 coagulation하거나 suture tie로 bleeding control한다.
⑩복부봉합(closure of the abdominal wound)
복막은 vicryl이나 dexon 1-0로 continuous suture하고 근막은 5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skin은 3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한다. 복부절개 부위에는 main wound dressing gauze를 덮고 T-tube와 penrose drain 부위에는 Y-dressing gauxe를 대주고 위에 pad를 덮는다.
유치봉합 : 유치 봉합은 복막,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거나 복막을 1차적으로 닫은 후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피부 봉합을 보통으 봉합방법으로 한후 그 위에다 간격을 넓게 해서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는 방법이 있다. 유치봉합은 봉합조직에 염증이 있을 때 염증조직의 긴장감을 감소시키고 사강을 제거하여 상처부위가 융합될 때까지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굵은 silk, Dafilon, Nylon, Wire 등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봉합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유치봉합에 이용하는 봉합사에 의해 깊은 흉터가 남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관 또는 I, V. line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3. 수술후 간호
정상적인 구강섭취가 이루어질 때까지 정맥을 통한 수액요법이 이루어진다. 수술후 오심, 구토, 어깨 동통, 빈맥, 저혈압 또는 딸꾹질로 인해 필요했
②복막절개(incision of the peritoneum)
toothed forcep 2개로 복막을 살짝 들어 올린 후 20번 mess로 약간 incision하고 medium kelly 2개로 절개된 복막의 양쪽을 잡은 후 mayo scissor로 길게 incision한다. 복막의 bleeding point는 kelly로 잡은 후 3호 silk로 kelly tie하거나 bovie로 coagulation한다.
③담낭박리(division of the gall bladder)
복강이 노출되면 wet(4*8 wet gauze) pad로 intestine를 싸준 후 gall bladder clamp로 담낭을 잡은 후 총담관(common bile duct), 간관(hepatic duct)의 병변을 관찰한다. 담낭주위 조직은 right angle로 clamp하고 metzenbaum으로 cutting한 후 4-5호 silk로 kelly tie한다. 30ccsyringe에 22G needle 을 끼워 담낭으로부터 담즙을 흡인해내어 culture tube에 담는다. 담석만 제거할 때는 7번 mess handle에 끼운 15번 mess로 담낭을 incision한 후 stone forcep으로 stone을 잡아 들어올린 후 절개부위는 3-0chromic catgut으로 담낭을 봉합한다.
④담낭 십이지장 인대박리(division of cholecystoduodenal ligament)
담낭절제가 필요한 경우는 담관과 총담관을 노출시킨 후 담낭 저부를 gall bladder clamp로 잡아 들어 올리고 담낭 십이지장 인대를 hemostat로 잡아 위로 올린 후 metzenbaum으로 cutting한다.
⑤담관 결찰(ligature of the cystic duct and artery)
담관(cystic duct)은 right angle 2개로 총담관 접합부위로부터 1/4되는 점을 clamp한 후 담낭쪽의 담관부위는 5호 silk로 tie한다. 담관 동맥은 right angle 2개로 gall bladder 근처에서 clamp 한후 4-5호 silk로 stick tie한다.
⑥ 담낭절제(resection of the gall-bladder)
7번 mess handle에 끼운 15번 mess로 절제부위를 표시한 후 metzenbaum 으로 cutting하면 담낭절제가 된다.
⑦ 담관촬영(cholangiogram)
right angle로 잡아놓았던 담관을 찾아 mosquito 2개로 opening을 벌린 후 담배관을 삽입한다. 50cc syringe에 saline을 담아 extension tube를 끼운 후 extension tube를 cystic cannula에 연결하여 irrigation한다. dye 50cc를 cystic cannula를 통해 투입하고 x-ray를 촬영한 후 막힌 곳이 없으면 cystic cannula를 제러한 후 담관을 3-4호 silk로 stick tie를 한다. 담낭이 제거된 부위에 존재하는 담낭의 주위 지지 조직은 3-0 catgut으로 suture한다.
⑧ T-tube 삽입과 총담관 봉합(closure of the common bile duct and insertion of T-tube)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경우는 총담관을 절개하여 결석을 제거한 후 T-tube를 삽입한다. T-tube는 CBD의 절개로 인한 부종이 가라앉고 답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액될 때까지 삽입해 두는 것으로 대개 수술이 끝난 후 10-14일 정도에 제거하게 된다. 3호 장침에 3호 silk를 끼워 CBD 양쪽을 tagging한 후 15번 mess로 CBD를 절개한 후 stone forcep으로 결석을 꺼낸다. 총담관 확장기를 3번부터 차레로 넣어본 후 T-tube를 총담관 안에 넣은 후 chromic catgut 또는 3-0 dexon으로 CBD를 suture한 후 T-tube에 saline을 넣어보아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dye 10cc에 saline 30cc를 희석한 후 syringe에 담아 T-tube 안으로 주입시킨후 x-ray 촬영을 한다. 막힌 곳이 없으며 복부절개 부위 밑에 15번 mess로 약간 절개를 넣어 T-tube끝과 배액관을 함께 피부 밖으로 꺼내 놓는다.
⑨ 복강세척(peritoneal irrgation)
warm saline으로 복강내를 irrigation한 후 bleeding 되는 부위가 있으면 bovie로 coagulation하거나 suture tie로 bleeding control한다.
⑩복부봉합(closure of the abdominal wound)
복막은 vicryl이나 dexon 1-0로 continuous suture하고 근막은 5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skin은 3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한다. 복부절개 부위에는 main wound dressing gauze를 덮고 T-tube와 penrose drain 부위에는 Y-dressing gauxe를 대주고 위에 pad를 덮는다.
유치봉합 : 유치 봉합은 복막,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거나 복막을 1차적으로 닫은 후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피부 봉합을 보통으 봉합방법으로 한후 그 위에다 간격을 넓게 해서 근막, 피하, 피부를 한번에 봉합하는 방법이 있다. 유치봉합은 봉합조직에 염증이 있을 때 염증조직의 긴장감을 감소시키고 사강을 제거하여 상처부위가 융합될 때까지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굵은 silk, Dafilon, Nylon, Wire 등의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봉합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유치봉합에 이용하는 봉합사에 의해 깊은 흉터가 남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관 또는 I, V. line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3. 수술후 간호
정상적인 구강섭취가 이루어질 때까지 정맥을 통한 수액요법이 이루어진다. 수술후 오심, 구토, 어깨 동통, 빈맥, 저혈압 또는 딸꾹질로 인해 필요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