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 해부 생리(태아 순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환기계 해부 생리(태아 순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순환기계 해부 생리 ★
1. 심장의 구조
2. 심장의 전도
3. 심장의 조절
4. 심박출량

★ Fetal Cardiovascular system ★
1. Fetal Circulation
2. Cardiovascular Changes After Birth

본문내용


4. 심박출량
* 심박동량(Stroke volume) - 매 박동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분출되는 혈액량
= 심실내 이완기말혈량(EDV) - 심실내 수축기말 혈량(ESV)
* 심박출량 - 1분동안 내보내지는 혈액량
= CO(심박출량) = SV(박동량) × HR(심박동수)
* 안정상태에 있는 성인의 경우 대동맥으로 분출되는 박동량은 평균 70ml 이며 정상심박동수는 60 ~100회이다. 그러므로 심박출량은 5000ml 정도이다.
* 일회 박출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전부하
- 심실수축 전 심근의 팽창정도로 심장 근육을 신전시키는 힘을 말한다.
- 전신순환 후 심장으로 되돌아온 혈량이 많을수록 전부하는 증가
- Starling 법칙 : 확장기말 심실내에 있는 혈액량이 증가하면 박출량이 증가함
- 심근섬유들이 한계를 넘어 과도하게 신전하면 박동량과 심박출량 감소되고, 심실비대(ventricular hypertrophy)를 볼 수 있다.
2) 후부하
- 심실 수축기 동안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심실이 생성해야 하는긴장(tension)의 정도로 심실 수축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
- 주요 저항 요인 : 일차적으로 말초혈관 저항
대동맥이 좁아져 있음
고혈압 or 혈관수축의 결과 압력이 증가
- Laplace 법칙 : 심실의 긴장 = 동맥압 × 심실의 반경
3) 수축력
- 심근 수축력 : 근육의 변력성(inotropic) 상태의 변화
- 심근 수축력이 증가 : 교감신경계 자극, 칼슘, epinephrine과 같은 약물 투여 시 증가
- 증가된 수축력 : 수축기 동안 심실박출, 박동량을 증진.
★ Fetal Cardiovascular system ★
1. Fetal Circulation
1) 개요
* 수정 후 3주에 태아 - 모체 교환을 시작한다.
- 태반 제대정맥(산화혈액) 간. 간정맥. 정맥관 하대정맥(대부분의 산화혈액)
태아의 하지, 복부 및 골반으로부터 비산화혈과 혼합(소량)
- 하대정맥 우심방(폐정맥을 통해 폐로부터 돌아오는 소량의 비산화혈과 혼합) 난원공 좌심방 좌심실 상행대동맥 심장, 두부, 경부, 그리고 상지의 혈관에 산화혈액 공급
- 하대정맥 우심방 우심실 폐동맥(비기능적 태아 폐에 영양분 공급)
- 대동맥 하복동맥 제대동맥 태반
* 나머지 혈액은 태아의 신체 하부를 통해 결국 하대정맥에 유입
* 모아의 혈액순환은 분리되어 있으나 완전성은 결여됨
* 간혹 태아측 세포가 손상된 융모를 통해 모체측 순환계에 혼합되거나 반대로 모체측 세포가 태아의 혈액순환에 혼합된다.
* 태아의 심박동수는 120 ~ 160회/분이고 심박출량은 약 350 ~ 400㎖/min이다.
* 태아의 혈색소는 출생 전에 합성된 1차적 태아의 혈색소로 낮은 산소분압에서 높은 산소 포화도를 유지할 수 있다.(모체 혈색소보다 20 ~ 30% 더 많은 산소를 수송)
* 태아의 혈색소 농도는 모체보다 약 50% 더 높다.
2) 부분별 circulation 상황
(1) ductus venosus
- 산화된 혈액은 정맥관을 통해 liver에서 vena cava로 shunt된 후 liver 우엽으로 가지를 내면서 portal vein과 만나기 위해 또 다른 vein으로 나뉘어 진다. right hepatic vein은 IVC와 직접 만나며 left hepatic vein도 결국 IVC와 만나 ductus venous가 된다.
- 태아의 liver는 portal vein, umbilical vein, hepatic artery(분포는 작다) 3가지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2) foramen ovale
- 다른 산소농도의 혈액이 IVC에 섞여 있지만 제대혈에서 받은 산화혈액은 membrane valve에 의해 하지, 간 및 상체로부터 온 비산화된 혈액으로부터 분리, 유지된다. 이러한 기능적 분리는 distal IVC와 right hepatic vein이 tricuspid valve를 가로질러 RV로 흐르는 동안 foramen ovale를 가로질러 LA로 흐르는 ductus venous의 혈류로도 가능해 coronary 와 cerebral circulation으로 분배된다. LV outout 30%만 RV로부터 비산화된 혈액과 결합하면서 descending aorta로 흐른다.
(3) ductus arteriosus
- SVC 혈액은 삼첨판을 가로질러 RV로 흐른다. 그 후 하지와 태반을 향해 descending aorta 내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9.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