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환아에 대한 사례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렴환아에 대한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문헌고찰
- 호흡기계의 정상 해부생리
- 폐렴의 병태생리

3.본론
- 환아의 간호력
- 신체사정
- 투약
- 진단검사
- 간호과정

4. 결론

본문내용

후두 뒤쪽에 있으며, 혀 기저부에서 식도까지 위치한다. 후인두에는 후두개가 있어서 음식이 하부 기도로 흡입되지 않도록 한다.
(3) 후두
- 후두는 인두와 기관 사이에 위치한다. 상 하 후두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고 미주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후두는 여러 개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는데 갑상연골이 가장 크며 흔히 이것을 아담의 사과라고 부른다. 윤상연골은 갑상연골 바로 아래 있으며 성대를 포함하고 있다. 윤상갑상연골막은 성대아래에 있으며, 갑상연골과 윤상연골에 연결되어 있다. 아래에 있으며, 갑상연골과 윤상연골에 연결되어 있다. 이 부위는 응급상황 시 기관 절개술(윤상갑상연골절개술)을 실시하는 부위다. 성대의 후벽끝에 위치한 2개의 피열연골은 갑상연골과 함께 성대를 움직인다. 후두 안쪽에는 두 쌍의 성대, 즉 가성대와 진성대가 있으며, 진성대 사이의 개구부를 성문이라 한다. 후두의 성대는 발성 기능뿐만 아니라 호흡기도 안에 축적된 분비물 및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기침반사에도 관여한다. 후두개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나뭇잎 모양의 탄력성있는 구조롤 후두 위쪽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성문을 덮어 음식물이 기관과 기도록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호흡과 기침을 하는 동안 열려 있다.
2) 하부 기도(Lower respiratory tract)
(1) 기관(Trachea)
- 기관은 식도 앞에 있으며, 후두의 윤상연골 하부에서 시작하여 제 4~5흉추에서 좌우 기관지로 갈라지는데 이 지점을 기관지 분기점이라고 한다. 기관은 6~10개의 C 모양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기관 후면의 평활근은 기관지 뒤쪽 식도의 벽이 되기도 하므로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관 튜브 삽입 시에 낮은 압력을 유지해야 기관식도 누공을 예방할 수 있다.
(2) 기관지 및 세기관지
- 기관지는 좌, 우 폐로 들어가는데 기본 구조는 기관과 비슷하다. 우측 기관지는 좌측보다 짧고 굵으며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고 기관삽관을 할 때도 이쪽으로 잘못 들어가기 쉽다.
기관지는 공기를 주기관지에 종말기관지로 전달한다. 주기관지는 다시 5개의 작은 엽기관지로 분리되어 폐엽과 연결된다. 각 엽기관지는 결체조직, 혈과, 신경, 림프조직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분절기관지와 구역기관지로 분리된다. 엽기관지의 연골은 고리모양으로 허탈을 방지한다.
점액을 분비하는 기관지의 상피세포에는 섬모가 있어서 하부 기도에서 기관쪽으로 점액을 밀어낸다. 이 점액은 삼키거나 뱉어내게 된다.
2차기관지로부터 더욱 작게 분리되어 세기괸지가 된다. 이런 말단 호흡기관지는 지름이 1mm 이하이며, 연골을 가지고 있지 않고 가스교환에 참여하지 않는다.
(3) 폐포관 및 폐포
- 폐포관은 호흡 세기관지에서 나오고 포도송이 모양과 비슷한 관이다. 폐포주머니는 폐포관을 둘러싸고 있으며, 가슴교환의 기본단위인 폐포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폐 모세혈관으로 둘러싸인 약 3억개의 폐포가 있다. 폐포는 편평세포 조직으로 된 고무풍선 모양의 얇은 막으로 가스교환에서 가장 중요하다. 호흡기의 말단 부위인 호흡 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를 세엽이라 부른다.
(4) 폐(lung)
- 폐는 흉곽 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탄력성 있는 원추형 기관이다. 폐 상단은 폐첨부로 쇄골보다 2~3cm 위에 있고, 폐의 아래 부분은 폐저라고 한다. 폐 아래에 있는 횡경막은 복강과 흉곽을 분리하며, 늑간근과 함께 중요한 호흡근역할을 한다. 폐는 수억 개의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주기관지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엽으로 나누어 진다. 우측폐는 좌측에 비해 크기가 큰데 이는 좌측에 심장이 있기 때문이다. 폐문은 폐를 지배하는 신경과 혈관, 림프 조직, 기관지가 통과하는 폐의 중간 부위다.
늑막은 폐와 흉곽을 싸고 있는 두겹의 장막으로, 늑막 내면을 덮고 있는 벽측 늑막과 폐 표면을 싸고 있는 장측 늑말이 있다. 이 두 늑막 사이에는 약간의 장액성 액체가 있어 호흡하는 동안 윤활제 역할을 한다. 폐의 혈액 공급은 폐 순환과 기관지 순환으로 이루어진다. 산화가 안 된 우심실의 혈액은 폐동맥을 거쳐 세동맥을 통하여 기관지에서 호흡 단위까지 운반된다. 폐포를 그물처럼 싸고 있는 모세혈관에서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산화된 혈액은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 좌심실을 거친 후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나간다.
3) 호흡 보조근육
- 호흡하는 동안, 횡경막의 수축과 이완으로 흉강 내 크기와 압력은 변화한다. 호흡 보조근육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늑골을 들어올리는 사각근, 흉골을 상승시키는 흉쇄유돌근, 어깨를 고정시키는 승모근과 흉근등이 포함된다.
4) 늑막내압
- 늑막내압은 안정상태에서 대기압을 0으로 놓았을 때- 3cm H2O의 음압이다. 안정 상태에서 흡기 시 늑막내압은 음압이 증가되어 폐가 팽창되며, 호기 시에는 늑막내압이 양압이 된다. 폐나 흉벽이 관통되어 늑막강으로 공기가 들어가면 폐를 팽창시키는 진공 상태가 파괴되어 침범된 쪽의 폐가 허탈된다.
5) 폐 순환
- 폐는 폐 순환과 기관지 순환으로부터 혈액공급을 받는다. 기관지 순환은 기관과 기관지 조직에 혈액을 공급한다. 폐순환은 우심실로부터 혈액을 받아들이며 우심실의 산화되지 않은 혈액은 폐동맥을 거쳐 기관지혈관에 도달한다. 폐포벽 안에서 모세혈관은 치밀한 혈관망을 형성하여 광범위하게 폐포 표면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한다. 산화된 혈액은 4개의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 좌심실에 들어온 후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나간다.
6) 폐포와 가스교환
- 폐포는 작은 공기 주머니로, 분비 기능을 가진 얇은 편평상피로 덮여 있고 그 바깥쪽에 많은 모세혈관의 망이 분포하고 있어 가스교환이 쉽게 된다. 폐포벽의 분비선에서는 폐포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계면활성제를 생산한다. 계면활성제는 용액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물질이고, 표면장력은 분자들끼리 서로 당기는 힘으로서 물이 퍼지지 않고 방울을 형성하게 하는 힘이다.
만일 폐포의 용적이 증가하면 폐포 내면의 단위면적당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삼소하고 이로 인해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폐포의 과도 팽창이 방지되며, 폐포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6.09.16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