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
2. 로마(ROME)
1) 자연환경
2) 역사
3) 산업
4) 사회·문화
3. Gladiator
1)검투 경기 이전의 경기
2)검투사 시합의 기원
3)검투사 학교
4)검투경기
5)엄지손가락
6)검투사 기한
7)존경받는 클라우디우스황제
8)코모두스와 파우스티나
4.원형경기장
5.OUTRO
▶참고문헌◀
2. 로마(ROME)
1) 자연환경
2) 역사
3) 산업
4) 사회·문화
3. Gladiator
1)검투 경기 이전의 경기
2)검투사 시합의 기원
3)검투사 학교
4)검투경기
5)엄지손가락
6)검투사 기한
7)존경받는 클라우디우스황제
8)코모두스와 파우스티나
4.원형경기장
5.OUTRO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황제가 헌당식을 올렸다. 이때, 기념흥행으로 100일에 가까운 투기(鬪技)가 열렸다고 한다. 그러나 공사는 도미티아누스황제시대에도 계속 이어졌고 네르바황제와 트라야누스황제 때에도 개축 또는 증축공사를 하였다. 또한 여러 차례의 벼락을 맞아, 그때마다 대규모의 보수공사가 6세기 전반까지 행해졌다. 장대한 타원형 플랜이 있는 투기장은 아치와 볼트를 구사한 로마 건축기술의 결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건조물로서 약 5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로마제국 최대의 투기장이었다. 외관(外觀)은 4층으로 되어 있고, 밑에서부터 도리스식·이오니아식·코린트식·콤포지트식의 둥근기둥으로 각각의 층이 장식되어 있다. 또한 4층을 제외하고 원기둥과 원기둥 사이에는 아치가 있고, 2층과 3층에는 조상(彫像)이 놓여 있다. 내부는 긴지름 86m, 짧은지름 54m의 아레나(투기장)를 중심으로 카베아(관객석)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아레나 지하에는 맹수우리와 기구 보관실이 있다.
콜로세움에 천막을 칠 때에는 무려 100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현재 콜로세움은 민간인들에게 공개가 되지 않는다. 실제 콜로세움을 중학교 때 유럽을 돌면서 본적이 있었다. 그 때의 사진을 하나 첨부할까 한다. 왼쪽의 사진은 콜로세움 경기장 입구이다. 현재는 아무도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이렇게 철장을 닫아 놓았다. 철장 안에는 고양이 천지였다.
지중해 연안 전체를 통해 보존 상태가 가장 완벽한 원형경기장은 프랑스 님므에 있다. 콜로세움 보다 10년 늦은 90년 완공된 님므 원형경기장은 긴 쪽 너비 133m, ㅖ은 쪽 너비 101m다. 순수한 경기장의 타원 규모는 지름이 최고 68m 최저 38m다. 관중석은 돌계단으로 2층이다. 관중은 2만 4천명의 관중을 수용했다.
(님므 경기장 입구와 내부 사진.)
로마 말기에 가면서 원형경기장은 서서히 문여는 날보다 문닫는 날이 많아졌다. 기독교 시대가 온 것이다.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동로마의 검투경기를 중단시켰다. 그러나, 워낙 인기있는 경기여서 자칫 민중들의 반발을 살까 두려워 서로마에는 중지명령을 내리지 못했다. 438년에 가서야 서로마 제국에서도 가까스로 검투경기를 중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일부는 살아있었고, 최후로 검투경기를 벌인 기록은 523년이다. 검투경기가 전면 중단된 중세 원형경기장은 훌륭한 석재 공급처로 둔갑했다. 중세 때 지은 숱한 교회와 건물은 석재를 구하기보다는 기존에 있던 로마 건물을 뜯어서 짓는게 힘이 덜 들었다. 원형 경기장은 또, 주거용이나 전쟁시 요새로도 쓰임새가 컸다. 로마에선 검투경기외에 모의해전(模擬海戰)도 큰 인기였다. 바다를 통해 세계를 제패했던 로마, 해전을 스포츠 경기로도 즐겼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전함을 이용했기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 검투경기가 없는 날에는 모의 해전을 했다는데, 콜로세움에서도 해전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신빙성이 떨어지는 예기로 간주하고 있다.
5.OUTRO
이상 검투사에 대한 레포트를 마칠까한다. 중학교 때에 유럽여행을 가면서 유럽세계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영화 글레디에이터를 통해서 로마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전쟁이란 언제나 흥미로운 연구대상이였다. 특히 남자들에게는 당연하지 않을까...
이렇게 서양고대사 레포트를 검투사로 정한 것은 그 만큼 관심이 있었고, 나름대로 공부를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였다. 결과는 대 만족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너무 방대한 양이여서 줄이고 줄였다. 그러나 자료를 정리하고 써가면서 느낀 것은 끝이 없다는 것이였다. 계속해서 쓸 양은 많아지고 주체를 할 수 가 없었다. 원래 로마의 모든 여가생활을 해볼려고 했지만 조사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웠다. 무슨 경기가 그렇게 많은지. 해전도 있고, 전차경주도 있고, 검투경기도 있고 연극도 있고, 너무 많았다. 시대가 지났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은 바뀌지가 않은 것 같다. 자극적인 것에 흥미를 가지고, 귀를 기울이고, 좀더 화끈하고 끝내주는 것을 원하는 걸 보면 그렇다는 생각을 든다.
이런 생각도 해본다. 자기가 혹은 자신의 바로 옆에 같이 숨쉬고 있는 사람이 같은 사람의 쾌락을 위해서 죽어야 한다면 그건 어떤 느낌일까... 아마도 죽고 싶을 것이다. 분명 네로는 경기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로마인들에게 하나의 신적인 존재였을 것이다. 볼거리를 제공하는 그의 행동은 그런 열광적인 사람들에게는 환호를 받을 만한 일이였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정신병자 네로는 현재 어떤 평을 받고 있는가...그의 잔인함은 분명 용서받을 일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이상 아쉽지만 이번 레포트를 끝낼까 한다.
▶참고문헌◀
<서적>
존말럼 저,『너도 한번 로마의 검투사가 되어볼래?』,인디아이, 2004
제롬카르코피노 저,『고대로마의 일상생활』,우물이 있는집, 2003
편집부,『콜로세움』,코사프(주), 2001
UPSTONE,『SKETCHBOOKS OF THE ROMA 』, ASIA, 2002
존노리지 저,『종횡무진 동로마사』, 그린비, 2000
송원제 저,『글라디에이터 막시무스 ? 글라디아토르 스파르타쿠스 !』,교육비평사, 2001
임 웅 저, 『로마의 하층민』, 한울아카데미, 2004
김문환 저, 『유적으로 읽는 로마문명』, 다인미디어, 2003
Edward Gibbon 저,『로마제국쇠망사 』,대광서림, 2003
Winkler, Martin M.저,『Gladiator』,Blackwell Pub , 2004
<논문>
Fields, Sarah K.저,『Female gladiators: Gender, law, and contact sport in America』,The University of Iowa, 2000
김석만 저,『 외국유학기 : 이태리 로마대학교 건축학부(1982-1994) ( My Study of the University Roma, Italy 1982-1994 ) 』, 대한건축학회, 1997
<인터넷>
http://www.naver.com
http://www.kappatour.com
<각주>
두산동아 CD-ROM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콜로세움에 천막을 칠 때에는 무려 100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현재 콜로세움은 민간인들에게 공개가 되지 않는다. 실제 콜로세움을 중학교 때 유럽을 돌면서 본적이 있었다. 그 때의 사진을 하나 첨부할까 한다. 왼쪽의 사진은 콜로세움 경기장 입구이다. 현재는 아무도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이렇게 철장을 닫아 놓았다. 철장 안에는 고양이 천지였다.
지중해 연안 전체를 통해 보존 상태가 가장 완벽한 원형경기장은 프랑스 님므에 있다. 콜로세움 보다 10년 늦은 90년 완공된 님므 원형경기장은 긴 쪽 너비 133m, ㅖ은 쪽 너비 101m다. 순수한 경기장의 타원 규모는 지름이 최고 68m 최저 38m다. 관중석은 돌계단으로 2층이다. 관중은 2만 4천명의 관중을 수용했다.
(님므 경기장 입구와 내부 사진.)
로마 말기에 가면서 원형경기장은 서서히 문여는 날보다 문닫는 날이 많아졌다. 기독교 시대가 온 것이다.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동로마의 검투경기를 중단시켰다. 그러나, 워낙 인기있는 경기여서 자칫 민중들의 반발을 살까 두려워 서로마에는 중지명령을 내리지 못했다. 438년에 가서야 서로마 제국에서도 가까스로 검투경기를 중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일부는 살아있었고, 최후로 검투경기를 벌인 기록은 523년이다. 검투경기가 전면 중단된 중세 원형경기장은 훌륭한 석재 공급처로 둔갑했다. 중세 때 지은 숱한 교회와 건물은 석재를 구하기보다는 기존에 있던 로마 건물을 뜯어서 짓는게 힘이 덜 들었다. 원형 경기장은 또, 주거용이나 전쟁시 요새로도 쓰임새가 컸다. 로마에선 검투경기외에 모의해전(模擬海戰)도 큰 인기였다. 바다를 통해 세계를 제패했던 로마, 해전을 스포츠 경기로도 즐겼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전함을 이용했기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 검투경기가 없는 날에는 모의 해전을 했다는데, 콜로세움에서도 해전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신빙성이 떨어지는 예기로 간주하고 있다.
5.OUTRO
이상 검투사에 대한 레포트를 마칠까한다. 중학교 때에 유럽여행을 가면서 유럽세계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영화 글레디에이터를 통해서 로마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전쟁이란 언제나 흥미로운 연구대상이였다. 특히 남자들에게는 당연하지 않을까...
이렇게 서양고대사 레포트를 검투사로 정한 것은 그 만큼 관심이 있었고, 나름대로 공부를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 였다. 결과는 대 만족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너무 방대한 양이여서 줄이고 줄였다. 그러나 자료를 정리하고 써가면서 느낀 것은 끝이 없다는 것이였다. 계속해서 쓸 양은 많아지고 주체를 할 수 가 없었다. 원래 로마의 모든 여가생활을 해볼려고 했지만 조사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웠다. 무슨 경기가 그렇게 많은지. 해전도 있고, 전차경주도 있고, 검투경기도 있고 연극도 있고, 너무 많았다. 시대가 지났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은 바뀌지가 않은 것 같다. 자극적인 것에 흥미를 가지고, 귀를 기울이고, 좀더 화끈하고 끝내주는 것을 원하는 걸 보면 그렇다는 생각을 든다.
이런 생각도 해본다. 자기가 혹은 자신의 바로 옆에 같이 숨쉬고 있는 사람이 같은 사람의 쾌락을 위해서 죽어야 한다면 그건 어떤 느낌일까... 아마도 죽고 싶을 것이다. 분명 네로는 경기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로마인들에게 하나의 신적인 존재였을 것이다. 볼거리를 제공하는 그의 행동은 그런 열광적인 사람들에게는 환호를 받을 만한 일이였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정신병자 네로는 현재 어떤 평을 받고 있는가...그의 잔인함은 분명 용서받을 일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이상 아쉽지만 이번 레포트를 끝낼까 한다.
▶참고문헌◀
<서적>
존말럼 저,『너도 한번 로마의 검투사가 되어볼래?』,인디아이, 2004
제롬카르코피노 저,『고대로마의 일상생활』,우물이 있는집, 2003
편집부,『콜로세움』,코사프(주), 2001
UPSTONE,『SKETCHBOOKS OF THE ROMA 』, ASIA, 2002
존노리지 저,『종횡무진 동로마사』, 그린비, 2000
송원제 저,『글라디에이터 막시무스 ? 글라디아토르 스파르타쿠스 !』,교육비평사, 2001
임 웅 저, 『로마의 하층민』, 한울아카데미, 2004
김문환 저, 『유적으로 읽는 로마문명』, 다인미디어, 2003
Edward Gibbon 저,『로마제국쇠망사 』,대광서림, 2003
Winkler, Martin M.저,『Gladiator』,Blackwell Pub , 2004
<논문>
Fields, Sarah K.저,『Female gladiators: Gender, law, and contact sport in America』,The University of Iowa, 2000
김석만 저,『 외국유학기 : 이태리 로마대학교 건축학부(1982-1994) ( My Study of the University Roma, Italy 1982-1994 ) 』, 대한건축학회, 1997
<인터넷>
http://www.naver.com
http://www.kappatour.com
<각주>
두산동아 CD-ROM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추천자료
글레디에이터를보고
포에니 전쟁을 통해본 로마의 특징
세계 최초의 법(로마법)
마키아벨리(로마사 논고를 중심으로)
몽테스키외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서평
[경영]로마를 통해 알아본 경영조직
베르나르 베르베르 「신」에 등장하는 '신'들의 인간적 요소. -그리스 로마신화와 산해경과의...
바울서신 조별발표(로마서)
노예제를 통해 본 로마사회의 구조
[오늘날의프랑스 4A형] 로마의 골 정복과 프랑크 왕국의 건설에 대해 기술
카이사르-카이사르의 암살,카이사르의 죽음,율리우스 카이사르,로마법으로 카이사르
카이사르의 죽음은 정당한가 (연구 동기 및 목적, 카이사르의 등장배경, 로마법으로 본 카이...
[영연방의사회와문화 E형] 영국사와 관련된 인물과 사건, 사물에 대해 설명문 -Elizabeth II(...
스페인 문화와 예술 - 로마의 포에니 전쟁 에 대하여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