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Ⅰ.서론(序論)
2.Silk Road.....................................:Ⅱ.본론(本論)
Ⅰ.실크로드란 무엇인가?
Ⅱ.실크로드의 실태
3.고대의 동서문화교류
Ⅰ.스키타이족의 활약
Ⅱ.알렉산더대왕의 동방원정
Ⅲ.헬레니즘의 영광
4.서역개통
Ⅰ.장건의 서역대장정
Ⅱ.서역개통의 의의
Ⅲ.서역문물의 동점
Ⅳ.서역제국과 불교의 전래
5.당대의 동서문화교류
Ⅰ.당대의 서역경영
Ⅱ.당대의 외래종교
Ⅲ.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실크로드
Ⅳ.당대의 문화
6.10~12세기의 동서문화교류
Ⅰ.10-12세기의 동아시아 정세
Ⅱ.10-12세기의 실크로드1
Ⅲ.10-12세기의 실크로드2
Ⅳ.팍스 몽골리카
7.몽골제국과 동서문화교류
Ⅰ.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1
Ⅱ.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2
Ⅲ.몽골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
8.티무르제국의 영광
Ⅰ.티무르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1
Ⅱ.티무르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2
9.명 청대의 동서문화교류
Ⅰ.해양로의 발전과 유럽의 중국진출
Ⅱ.실크로드의 변모
10.신라와 서역간의 문물교류
Ⅰ.신라와 서역간의 교역
Ⅱ.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1
Ⅲ.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2
Ⅳ.신라와 서역간의 인물교류
11.OUTRO.........................................:Ⅲ.결론(結論)
2.Silk Road.....................................:Ⅱ.본론(本論)
Ⅰ.실크로드란 무엇인가?
Ⅱ.실크로드의 실태
3.고대의 동서문화교류
Ⅰ.스키타이족의 활약
Ⅱ.알렉산더대왕의 동방원정
Ⅲ.헬레니즘의 영광
4.서역개통
Ⅰ.장건의 서역대장정
Ⅱ.서역개통의 의의
Ⅲ.서역문물의 동점
Ⅳ.서역제국과 불교의 전래
5.당대의 동서문화교류
Ⅰ.당대의 서역경영
Ⅱ.당대의 외래종교
Ⅲ.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실크로드
Ⅳ.당대의 문화
6.10~12세기의 동서문화교류
Ⅰ.10-12세기의 동아시아 정세
Ⅱ.10-12세기의 실크로드1
Ⅲ.10-12세기의 실크로드2
Ⅳ.팍스 몽골리카
7.몽골제국과 동서문화교류
Ⅰ.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1
Ⅱ.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2
Ⅲ.몽골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
8.티무르제국의 영광
Ⅰ.티무르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1
Ⅱ.티무르제국기의 동서문화교류2
9.명 청대의 동서문화교류
Ⅰ.해양로의 발전과 유럽의 중국진출
Ⅱ.실크로드의 변모
10.신라와 서역간의 문물교류
Ⅰ.신라와 서역간의 교역
Ⅱ.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1
Ⅲ.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2
Ⅳ.신라와 서역간의 인물교류
11.OUTRO.........................................:Ⅲ.결론(結論)
본문내용
이슬람 교도에게 정복되어 갔다. 예즈디기르드 3세는 호라산의 메르프로 망명하였지만, 651년 암살되었다.
왕가인 사산가(家)를 비롯한 7가문(家門)이 세습영지를 소유하였고, 황제의 대관(戴冠), 군대의 총지휘, 정세의 최고 책임 등 세습적 특권을 분담하였다. 귀족으로는 대지주귀족과 기사를 포함한 소지주귀족이 있어서 정치상·경제상의 특권을 독점하였고, 조로아스터교의 제사계급(祭司階級)도 광대한 영지와 권한을 획득하였다. 지방행정은 파르티아식 신종왕제(臣從王制)를 폐지하고, 아케메네스 왕조식 속주제(屬州制)로 바꾸었으며, 중요한 주의 장에는 왕족, 그 밖의 주의 장에는 대소귀족을 임명하였다. 황제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후계자임을 강조하고 중장기병(重裝騎兵)을 중심으로 하는 군대와 향상된 무기와 병술을 사용함으로써 행정기구·군사조직·종교정책에서 파르티아보다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갖추었다. 그러나 초기의 기본방침은 파르티아 체제의 답습이었고, 그 뒤에도 세습의 특권을 가진 귀족과 제사계급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분권 체제가 뿌리깊게 남아 있었다. 언어는 아랍어 외에 그리스어도 사용되었지만, 왕족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페르시아인은 현대의 페르시아어로 이어지는 팔라비어를 사용하였다. 화폐는 은화가 주류였고, 그밖에 금화와 동화도 주조하였는데, 황제의 초상 둘레에 새긴 황제 이름은 파르티아 때처럼 그리스 문자를 쓰지 않고 팔라비 문자를 썼다. 경제면에서는 많은 도시를 건설하여 시리아의 기술자를 이주시켰으므로 중계무역과 수공예품 생산이 발달하였다. 특히 해상무역이 발달하여 페르시아인은 인도의 동해안에 도달했을 뿐만 아니라 실론섬(지금의 스리랑카)을 근거지로 삼아 멀리 동중국해를 왕복하는 한편, 예멘을 기지로 하여 비잔틴제국의 홍해무역(紅海貿易)에 대항함으로써 세계사상 독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사산조 은화는 이란 본토는 물론 동으로는 인더스강 유역·중앙아시아·중국, 서로는 메소포타미아·지중해에 이르는 국제적 통화가 됨으로써 비잔틴 금화와 더불어 동서교역의 기본화폐를 이루었는데, 오늘날에도 그것이 사용되었던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종교로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았고, 현재의 아베스타경전이 성립되었으며, 불을 숭배하였고 아후라마즈다 예배를 강조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신학의 주요이념은 일신론적 경향을 나타냈지만, 철학상으로는 역시 빛과 어둠이 투쟁하는 이원론적 이념이 기초를 이루었다.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은 것은 동서의 정치·종교세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종교 통일에 의한 이란세계의 정치통일을 의도하였기 때문이며, 이것은 이란의 전통이 부활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시대에도 그리스도교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마니교 외에 그 지류로 생각되는 마즈다크교, 유대교,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 불교 등이 있었다. 미술에서는 파르티아 미술의 특징인 인물의 정면묘사를 계승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아케메네스조와 파르티아의 전통, 헬레니즘의 영향 등으로 독특한 이란 미술을 형성하였다. 나크슈이로스탐 등 중요지점의 절벽에 새겨진 즉위식 광경·전승(戰勝)·사냥·연회(宴會) 등을 그린 마애부조(磨崖浮彫)와 그 밖에 크테시폰의 궁전을 비롯한 건축물의 구조나 장식, 금은 세공·장신구·견직물·석조(石彫)·유리그릇·악기·화폐 등의 공예품에서 그 특색을 볼 수 있다. 그것들은 서방으로는 비잔틴제국과 그리스도교회를 통하여 유럽 각지로, 동방으로는 인도·중앙아시아·중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의 페르시아인이 대단히 많았는데 그들은 동서교역에 종사하는 외에도 각각 특기를 살려 당왕조에 벼슬하여 더욱 이란붐을 높였던 것이다.
의식주에 있어서 호모, 호복,호극이 유행하였고, 여자의 화장법도 서역풍이 가미되어 눈에는 아이셰도우, 퇴계모양이라는 머리모양, 볼에는 혈운장등이 유행 그리고 호식도 더욱 더 종류가 늘었고, 호주라고 하여 술도 서역에서 온 것이 유행했다.
가무음곡 남북조시대 이래 중국에 다수의 소그드음악가가 내왕해서 당시대에는 외국음악은 십부악이라 하여 그 중에 칠악은 서역칠조라 칭했다. 한 대 이래 서방에서 전래된 환인이 행한 백희, 곡예는 수당시대에 더욱 왕성하게 행해졌고, 페르시아에서 기원한 폴로가 서로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유럽으로 전해지고 동으로는 투르키스탄을 거쳐 중국, 티벳, 인도, 고려, 일본으로 전해졌다.
Ⅱ. 당대의 외래종교
1.조로아스터교
외래종교 가운데 실크로드를 통하여 가장 일찍 중국에 전래된 종교는 조로아스터교이다.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은 선신과 악신과의 투쟁의 과정이고 농업과 목축을 유일하고 고귀한 직업으로 보고, 공기, 물, 불 , 땅의 사원을 모독해서는 안 되는 신성한 원소로 삼고 있다. 사산조페르시아의 국교엿던 조로아스터교는 중국에 거주한 페르시아인 사이에서 신앙되어지고 중국인에게는 포교되지 않았다.
2.마니교
이란의 마니가 조로아스터교, 고대바빌론의 종교, 그리고 크리스트교를 참작하여 창시한 종교이다. 조로아스터교와는 달리 다른 종교에도 관대 하여 위그족 사이에서도 널리 퍼졌다.
3.경교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 네스토리우스는 일찍부터 예수 크리스트와 성모 마리아의 신성설에 이의를 품고 있었는데 그것이 431년 에페소의 종교회의에서 그의 설은 이단으로 규정되어 그는 유형에 쳐해졌는데 그의 가르침이 크게 펴져나가 페르시아에 까지 이르렀다.
Ⅲ. 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실크로드
1.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
당왕조의 위세가 절정에 달하여 서투르키스탄의 소그드인들의 여러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을시 서방에서는 새로운 세력이 중앙아시아로 노도와 같이 몰려들어오기 시작했다. 즉 아랍에서 일어난 이슬람 세력이다. 642년 나하완드 전투에서 사산조페르시아를 와해시키 아랍군은 실크로드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비잔틴제국과 사산조페르시아와의 전쟁덕분에 쉽게 페르시아를 정복할 수 있었다. 아랍왕조는 압둘 말리크가 칼리프가 되자 동방경략이 시작되어 부하라, 사라므칸드에서 시르다리야 일대를 지나 페르가나지역까지 점령하였다.
반대편의 당에서도 현종이 즉위하여 서투르키스탄으로의 팽창주의 정책을 펴고 있었다. 747년 당은 고구려 유민 출신 고선지장군의 지휘하에 파미르고원으로
왕가인 사산가(家)를 비롯한 7가문(家門)이 세습영지를 소유하였고, 황제의 대관(戴冠), 군대의 총지휘, 정세의 최고 책임 등 세습적 특권을 분담하였다. 귀족으로는 대지주귀족과 기사를 포함한 소지주귀족이 있어서 정치상·경제상의 특권을 독점하였고, 조로아스터교의 제사계급(祭司階級)도 광대한 영지와 권한을 획득하였다. 지방행정은 파르티아식 신종왕제(臣從王制)를 폐지하고, 아케메네스 왕조식 속주제(屬州制)로 바꾸었으며, 중요한 주의 장에는 왕족, 그 밖의 주의 장에는 대소귀족을 임명하였다. 황제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후계자임을 강조하고 중장기병(重裝騎兵)을 중심으로 하는 군대와 향상된 무기와 병술을 사용함으로써 행정기구·군사조직·종교정책에서 파르티아보다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갖추었다. 그러나 초기의 기본방침은 파르티아 체제의 답습이었고, 그 뒤에도 세습의 특권을 가진 귀족과 제사계급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분권 체제가 뿌리깊게 남아 있었다. 언어는 아랍어 외에 그리스어도 사용되었지만, 왕족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페르시아인은 현대의 페르시아어로 이어지는 팔라비어를 사용하였다. 화폐는 은화가 주류였고, 그밖에 금화와 동화도 주조하였는데, 황제의 초상 둘레에 새긴 황제 이름은 파르티아 때처럼 그리스 문자를 쓰지 않고 팔라비 문자를 썼다. 경제면에서는 많은 도시를 건설하여 시리아의 기술자를 이주시켰으므로 중계무역과 수공예품 생산이 발달하였다. 특히 해상무역이 발달하여 페르시아인은 인도의 동해안에 도달했을 뿐만 아니라 실론섬(지금의 스리랑카)을 근거지로 삼아 멀리 동중국해를 왕복하는 한편, 예멘을 기지로 하여 비잔틴제국의 홍해무역(紅海貿易)에 대항함으로써 세계사상 독자적인 역할을 하였다. 사산조 은화는 이란 본토는 물론 동으로는 인더스강 유역·중앙아시아·중국, 서로는 메소포타미아·지중해에 이르는 국제적 통화가 됨으로써 비잔틴 금화와 더불어 동서교역의 기본화폐를 이루었는데, 오늘날에도 그것이 사용되었던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종교로는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았고, 현재의 아베스타경전이 성립되었으며, 불을 숭배하였고 아후라마즈다 예배를 강조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신학의 주요이념은 일신론적 경향을 나타냈지만, 철학상으로는 역시 빛과 어둠이 투쟁하는 이원론적 이념이 기초를 이루었다.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삼은 것은 동서의 정치·종교세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종교 통일에 의한 이란세계의 정치통일을 의도하였기 때문이며, 이것은 이란의 전통이 부활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시대에도 그리스도교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마니교 외에 그 지류로 생각되는 마즈다크교, 유대교,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 불교 등이 있었다. 미술에서는 파르티아 미술의 특징인 인물의 정면묘사를 계승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아케메네스조와 파르티아의 전통, 헬레니즘의 영향 등으로 독특한 이란 미술을 형성하였다. 나크슈이로스탐 등 중요지점의 절벽에 새겨진 즉위식 광경·전승(戰勝)·사냥·연회(宴會) 등을 그린 마애부조(磨崖浮彫)와 그 밖에 크테시폰의 궁전을 비롯한 건축물의 구조나 장식, 금은 세공·장신구·견직물·석조(石彫)·유리그릇·악기·화폐 등의 공예품에서 그 특색을 볼 수 있다. 그것들은 서방으로는 비잔틴제국과 그리스도교회를 통하여 유럽 각지로, 동방으로는 인도·중앙아시아·중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의 페르시아인이 대단히 많았는데 그들은 동서교역에 종사하는 외에도 각각 특기를 살려 당왕조에 벼슬하여 더욱 이란붐을 높였던 것이다.
의식주에 있어서 호모, 호복,호극이 유행하였고, 여자의 화장법도 서역풍이 가미되어 눈에는 아이셰도우, 퇴계모양이라는 머리모양, 볼에는 혈운장등이 유행 그리고 호식도 더욱 더 종류가 늘었고, 호주라고 하여 술도 서역에서 온 것이 유행했다.
가무음곡 남북조시대 이래 중국에 다수의 소그드음악가가 내왕해서 당시대에는 외국음악은 십부악이라 하여 그 중에 칠악은 서역칠조라 칭했다. 한 대 이래 서방에서 전래된 환인이 행한 백희, 곡예는 수당시대에 더욱 왕성하게 행해졌고, 페르시아에서 기원한 폴로가 서로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유럽으로 전해지고 동으로는 투르키스탄을 거쳐 중국, 티벳, 인도, 고려, 일본으로 전해졌다.
Ⅱ. 당대의 외래종교
1.조로아스터교
외래종교 가운데 실크로드를 통하여 가장 일찍 중국에 전래된 종교는 조로아스터교이다.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은 선신과 악신과의 투쟁의 과정이고 농업과 목축을 유일하고 고귀한 직업으로 보고, 공기, 물, 불 , 땅의 사원을 모독해서는 안 되는 신성한 원소로 삼고 있다. 사산조페르시아의 국교엿던 조로아스터교는 중국에 거주한 페르시아인 사이에서 신앙되어지고 중국인에게는 포교되지 않았다.
2.마니교
이란의 마니가 조로아스터교, 고대바빌론의 종교, 그리고 크리스트교를 참작하여 창시한 종교이다. 조로아스터교와는 달리 다른 종교에도 관대 하여 위그족 사이에서도 널리 퍼졌다.
3.경교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 네스토리우스는 일찍부터 예수 크리스트와 성모 마리아의 신성설에 이의를 품고 있었는데 그것이 431년 에페소의 종교회의에서 그의 설은 이단으로 규정되어 그는 유형에 쳐해졌는데 그의 가르침이 크게 펴져나가 페르시아에 까지 이르렀다.
Ⅲ. 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실크로드
1.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
당왕조의 위세가 절정에 달하여 서투르키스탄의 소그드인들의 여러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을시 서방에서는 새로운 세력이 중앙아시아로 노도와 같이 몰려들어오기 시작했다. 즉 아랍에서 일어난 이슬람 세력이다. 642년 나하완드 전투에서 사산조페르시아를 와해시키 아랍군은 실크로드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비잔틴제국과 사산조페르시아와의 전쟁덕분에 쉽게 페르시아를 정복할 수 있었다. 아랍왕조는 압둘 말리크가 칼리프가 되자 동방경략이 시작되어 부하라, 사라므칸드에서 시르다리야 일대를 지나 페르가나지역까지 점령하였다.
반대편의 당에서도 현종이 즉위하여 서투르키스탄으로의 팽창주의 정책을 펴고 있었다. 747년 당은 고구려 유민 출신 고선지장군의 지휘하에 파미르고원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