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序論)
Ⅱ. 성리학의 수용(本論1)
Ⅲ. 성리학의 발달(本論2)
Ⅳ. 성리학적 사회윤리의 실천(本論3)
Ⅴ. 성리학의 심화(本論4)
Ⅵ. 맺음말(結論)
Ⅱ. 성리학의 수용(本論1)
Ⅲ. 성리학의 발달(本論2)
Ⅳ. 성리학적 사회윤리의 실천(本論3)
Ⅴ. 성리학의 심화(本論4)
Ⅵ. 맺음말(結論)
본문내용
체제를 형성해 나가는 데 기본 사상으로 자리잡는다. 성리학적 왕도정치의 이념에 따라 정치운영체제도 바뀌게 되고 왕권과 신권 관계에 대해서도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성리학도 불교나 기타 다른 신앙이나 종교 사상들을 배격함으로써, 그 사상의 배타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조선은 抑佛崇儒 정책을 통해 성리학을 적극 장려하는 대신 지금까지 일반 백성들 사이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던 불교를 배척함으로써 일반 민중들로부터 강한 저항을 받기도 했다.
재야에 묻힌 세력들은 성종 代이후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 성리학의 명분론을 자신들의 사상적 기반으로 한다. 지금까지 정계를 장학하고 있던 훈구세력들과 대립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성리학적 명분론을 더욱 강조하고 성리학적 이념에 어긋나면 그 사상을 철저히 이단으로 배격하였다.
여러 차례의 사화를 통해 힘들게 정권을 잡은 사림세력은 이후 성리학적 질서를 더욱 강조하여 중앙정계는 물론 지방 향촌사회에까지 『소학』과 『주자가례』를 적극 장려하였다. 초기에는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번거로워 그 실천이 미미하였으나 사림세력들의 꾸준한 노력 결과 16세기 이후 중앙은 물론 지방 향촌사회에까지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조선시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성리학은 16세기 말에 이르러 그 절정을 맞이한다.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을 통해 시작된 우주의 원리와 심성론에 대한 논쟁은 지금까지 주자의 성리학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측면에서 벗어나 조선의 현실에 알맞도록 연구가 심화되어 조선의 주체적인 성리학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성리학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발전하고 학자들을 통해 보다 깊이 있게 연구됨으로서 조선시대의 주도적 지배이념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참고 문헌》
고혜령 저, 『고려후기 사대부와 성리학 수용』, (주)일조각, 2001
국사편찬위원회-崔承熙,「유교정치의 진전」『한국사』22, 국사편찬위원회, 1996
국사편찬위원회-高英津,「성리학의 연구와 보급」『한국사』28, 국사편찬위원회, 1996한국역사연구회-고영진,「성리학의 발전」『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변태섭 저,『韓國史通論』, 三英社, 1996
정두희 저,「조선 전기 정치체제의 정비와 개편」『한국사』7, 한길사, 1994
신천식 저,『麗末鮮初 性理學의 受容과 學脈』, 경인문화사, 2004
유인희 저,「퇴(退),율(栗) 이전 조선성리학(性理學)의 문제발전」,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4
재야에 묻힌 세력들은 성종 代이후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 성리학의 명분론을 자신들의 사상적 기반으로 한다. 지금까지 정계를 장학하고 있던 훈구세력들과 대립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성리학적 명분론을 더욱 강조하고 성리학적 이념에 어긋나면 그 사상을 철저히 이단으로 배격하였다.
여러 차례의 사화를 통해 힘들게 정권을 잡은 사림세력은 이후 성리학적 질서를 더욱 강조하여 중앙정계는 물론 지방 향촌사회에까지 『소학』과 『주자가례』를 적극 장려하였다. 초기에는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번거로워 그 실천이 미미하였으나 사림세력들의 꾸준한 노력 결과 16세기 이후 중앙은 물론 지방 향촌사회에까지 자리잡게 되었다.
이렇게 조선시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성리학은 16세기 말에 이르러 그 절정을 맞이한다.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을 통해 시작된 우주의 원리와 심성론에 대한 논쟁은 지금까지 주자의 성리학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측면에서 벗어나 조선의 현실에 알맞도록 연구가 심화되어 조선의 주체적인 성리학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성리학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발전하고 학자들을 통해 보다 깊이 있게 연구됨으로서 조선시대의 주도적 지배이념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참고 문헌》
고혜령 저, 『고려후기 사대부와 성리학 수용』, (주)일조각, 2001
국사편찬위원회-崔承熙,「유교정치의 진전」『한국사』22, 국사편찬위원회, 1996
국사편찬위원회-高英津,「성리학의 연구와 보급」『한국사』28, 국사편찬위원회, 1996한국역사연구회-고영진,「성리학의 발전」『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변태섭 저,『韓國史通論』, 三英社, 1996
정두희 저,「조선 전기 정치체제의 정비와 개편」『한국사』7, 한길사, 1994
신천식 저,『麗末鮮初 性理學의 受容과 學脈』, 경인문화사, 2004
유인희 저,「퇴(退),율(栗) 이전 조선성리학(性理學)의 문제발전」,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4
추천자료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 [사범대]-한국전통 아동발달이론
- 죽음의 수용소에서
- <개화기의 언론 수용자운동> 논문 요약 및 나의 생각
- 개화기의 언론 수용자운동을 읽고 나서
- [과외]중학 국사 중3-국사 3 서민 문화의 발달 01
- 한, 중, 일 문화 수용의 인식에 대한 차이와 그 쟁점에 대하여
- [신학] 한국의 천주교의 수용과 발전에 관한 연구
- (고등국사) 실학의 발달
- 대중문화 수용자 역할, 미디어의 생산 방식, 프로슈머의 한계, 사례, 일시적 현상, 문화의 획...
- 한국과 일본의 자본주의 수용과정에서 진행된 전통 유교문화의 변용 양상 비교
-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
- [청소년문화] 청소년기의 대중스타 수용경험이 갖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하세요 (대중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