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건설 및 부동산시장의 투자환경 변화전망
1. 시장 개방 및 투자환경 변화전망
2. 지역별 분화 및 특화 발전전망
Ⅱ. 중국 건설 및 부동산시장 진출전략
1. 한국기업 진출현황
2. 진출전략상의 문제점
3. 중국 건설시장 진출전략
<참고문헌>
Ⅰ. 건설 및 부동산시장의 투자환경 변화전망
1. 시장 개방 및 투자환경 변화전망
2. 지역별 분화 및 특화 발전전망
Ⅱ. 중국 건설 및 부동산시장 진출전략
1. 한국기업 진출현황
2. 진출전략상의 문제점
3. 중국 건설시장 진출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새로운 주택단지를 계속 건설하고 있으며, 종류와 형태 등에서 사람들의 구미에 맞도록 발전, 개선을 거듭하고 있다. 투자의 형태도 종전의 중저가 주택 위주에서 쉬자훼이(徐家匯), 홍챠오(虹橋), 푸동(浦東) 등지의 고급호화주택으로 선호대상이 바뀌고 있다.
중앙 정부도 국내 수요촉진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택 구입시 주택담보대출 비율이 내국인의 경우 80%, 외국인의 경우 70%까지 융자가 가능하고, 장기저리(20~30년, 연 5%)이다. 2차 매입시에도 50~60% 융자를 해주고 있다. 따라서 상하이의 주택투자는 상하이인뿐만 아니라 외지의 사람들과 외국인들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분양하는 업체들도 주위의 환경, 문화생활 공간, 서비스 등의 특색을 내세워 서로 경쟁하고 있다. 그리고 주택마다 면적 계산법이 다른 경우도 있고, 일조량이나 일조방향, 전망 등에 따라서도 각 층마다 가격의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높은 층일수록 가격이 높다.
그동안 집을 구입할 때에 각각 다르고 불분명한 면적계산법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있어 중국 건설부는 최근에 ‘주택 면적계산과 주택권 등기문제에 관한 방안’을 만들었다. 방안 중에는 쉽게 시비가 걸릴 수 있었던 계단, 홀 등의 공공시설부분에 대한 사용면적 계산문제 등도 명시하고 있다.
한편, 내부마감공사가 안된 상태에서 분양 후 입주자가 내부마감 및 실내장식 공사를 하는 중국의 주택시장 분양관행에 따라 주택내부마감 및 인테리어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 2002년 5월부터 「주택 내부마감 관리방법(住宅室內裝飾裝修管理辦法)」(중화인민공화국 건설부령 제110호)이 시행되고 있다.
Ⅱ. 중국 건설 및 부동산시장 진출전략
1. 한국기업 진출현황
외국기업의 중국 건설시장 진출 조건을 보면, 외국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분야에 한해 중국정부가 발급해 주는 ‘외국기업공사도급 자격증(外國企業承包工程資質證)’은 외국인의 전액투자 및 기부프로젝트, 국제금융기관 차관프로젝트, 중국기업이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의 J/V 프로젝트로 제한되어 있다.
중국 건설시장에서 외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분야는 금융이 수반된 BOT사업과 부동산 투자개발사업, 그리고 현지기업이 수행할 수 없는 특수기술 플랜트 공사분야이다. 향후 경제발전으로 인한 전력소비 증가가 예상되고, 안정적인 자금 확보가 가능한 정부가 판매처이므로, 전력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BOT사업분야는 진출전망이 밝다. 그러나 기술축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외에는 외국기업에 대해 시공분야 참여기회 제공은 매우 제한적이다.
중국 건설시장에 진출했던 우리기업들은 대부분 투자개발형 공사분야를 중심으로, 주로 베이징 및 상하이 등 대도시지역에 진출하였으나, 1997년 외환금융위기 이후에는 본사의 사업축소 방침으로 대부분 철수하였거나, 현지 연락사무소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투자개발형 공사가 활성화된 1997년에 최고의 수주(18.1억 달러) 실적을 기록하였으나 IMF 이후에는 수주가 거의 없는 편이다.
1992년 8월 한중수교 이후 주로 부동산개발 분야에 주력하여 1994년에 수주가 본격화되었고 1997년에는 투자개발형 공사 수주증가로 18.1억 달러를 수주하여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활발한 진출을 보였다. 그러나 외환금융위기 이후인 1998년 수주액은 전년비 95%이상 줄어든 6,493만 달러, 1999년에는 신규수주는 단 한 건도 없이 추가공사(2.1억 달러)만 있었으며, 그 후에도 소규모 공사만 수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출유망 분야인 토목 및 플랜트 공사수주는 토목 15%, 특수 플랜트 10%로 총 25%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진출지역도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와 환발해지역에 80%가 집중되어 있다.
2002년 이후 상황이 다소 호전되었다. 2002년 3월에는 대림산업이 1억 2,680만 달러 규모의 복합 화력발전소 공사의 시공, 설계 용역 및 기자재 공급을 계약함으로써 향후 플랜트 분야로의 진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2002년 4월 말 현재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총 7건에 1억 4,022만 달러 규모의 공사를 계약함으로써 이란, 싱가포르, 리비아에 이어 4위를 차지하였다.
발주형태별로 살펴보면, 1990년대 중반에는 투자개발형 공사가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2002년에는 지명입찰에 의한 계약실적의 비중이 더 커졌다. 금융조달 형태로는 일반도급형 공사계약이 대부분이었으며, 수주형태로는 원청 단독계약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국 건설시장에서 비교적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와 분야는, 삼성물산 및 삼성엔지니어링이 추진한 고급주택시장, 도시기반시설(상하이시 내부순환선 프로젝트), 대림이 난징(南京)시에서 수주한 석유화학플랜트 분야, 삼능건설의 칭다오(靑島) 주택건설, 기타 중소업체가 진출성과를 거두고 있는 환경설비 분야 등이 있다.
2. 진출전략상의 문제점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은 급속하게 성장하며 부상하고 있는 중국 건설시장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우리 업체들의 투자진출 성과는 매우 부진하고, 기 진출한 기업 중 적지 않은 기업들이 대 중국 투자 규모와 비중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성과 부진의 원인은 대체로, 중국의 상관습과 상행위에 대한 이해부족, 생산기지 이전방식의 투자이점 상실, 시장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자세 부족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경직된 투자패턴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1996~97년 사이 일부 국내 기업이 체계적인 준비없이 성급하게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진출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국내 건설사들의 계약수주 실적을 보면, 1996년에 6억 7,831만 달러, 1997년 18억 1,308만 달러에서 IMF 경제위기를 맞은 후인 2001년에는 1,330만 달러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2002년 4월, 해외건설협회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중국 진출 경험이 있거나 계획중인 국내 건설업체 27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국 건설시장 진출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시장의 불확실성(24.7%)과 사회주의체제 특유의 체제적 특성(24.4%), 하도급공사관리 등 시공상의 어려움(18.1%),
중앙 정부도 국내 수요촉진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택 구입시 주택담보대출 비율이 내국인의 경우 80%, 외국인의 경우 70%까지 융자가 가능하고, 장기저리(20~30년, 연 5%)이다. 2차 매입시에도 50~60% 융자를 해주고 있다. 따라서 상하이의 주택투자는 상하이인뿐만 아니라 외지의 사람들과 외국인들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분양하는 업체들도 주위의 환경, 문화생활 공간, 서비스 등의 특색을 내세워 서로 경쟁하고 있다. 그리고 주택마다 면적 계산법이 다른 경우도 있고, 일조량이나 일조방향, 전망 등에 따라서도 각 층마다 가격의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높은 층일수록 가격이 높다.
그동안 집을 구입할 때에 각각 다르고 불분명한 면적계산법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있어 중국 건설부는 최근에 ‘주택 면적계산과 주택권 등기문제에 관한 방안’을 만들었다. 방안 중에는 쉽게 시비가 걸릴 수 있었던 계단, 홀 등의 공공시설부분에 대한 사용면적 계산문제 등도 명시하고 있다.
한편, 내부마감공사가 안된 상태에서 분양 후 입주자가 내부마감 및 실내장식 공사를 하는 중국의 주택시장 분양관행에 따라 주택내부마감 및 인테리어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 2002년 5월부터 「주택 내부마감 관리방법(住宅室內裝飾裝修管理辦法)」(중화인민공화국 건설부령 제110호)이 시행되고 있다.
Ⅱ. 중국 건설 및 부동산시장 진출전략
1. 한국기업 진출현황
외국기업의 중국 건설시장 진출 조건을 보면, 외국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분야에 한해 중국정부가 발급해 주는 ‘외국기업공사도급 자격증(外國企業承包工程資質證)’은 외국인의 전액투자 및 기부프로젝트, 국제금융기관 차관프로젝트, 중국기업이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의 J/V 프로젝트로 제한되어 있다.
중국 건설시장에서 외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분야는 금융이 수반된 BOT사업과 부동산 투자개발사업, 그리고 현지기업이 수행할 수 없는 특수기술 플랜트 공사분야이다. 향후 경제발전으로 인한 전력소비 증가가 예상되고, 안정적인 자금 확보가 가능한 정부가 판매처이므로, 전력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BOT사업분야는 진출전망이 밝다. 그러나 기술축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외에는 외국기업에 대해 시공분야 참여기회 제공은 매우 제한적이다.
중국 건설시장에 진출했던 우리기업들은 대부분 투자개발형 공사분야를 중심으로, 주로 베이징 및 상하이 등 대도시지역에 진출하였으나, 1997년 외환금융위기 이후에는 본사의 사업축소 방침으로 대부분 철수하였거나, 현지 연락사무소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투자개발형 공사가 활성화된 1997년에 최고의 수주(18.1억 달러) 실적을 기록하였으나 IMF 이후에는 수주가 거의 없는 편이다.
1992년 8월 한중수교 이후 주로 부동산개발 분야에 주력하여 1994년에 수주가 본격화되었고 1997년에는 투자개발형 공사 수주증가로 18.1억 달러를 수주하여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활발한 진출을 보였다. 그러나 외환금융위기 이후인 1998년 수주액은 전년비 95%이상 줄어든 6,493만 달러, 1999년에는 신규수주는 단 한 건도 없이 추가공사(2.1억 달러)만 있었으며, 그 후에도 소규모 공사만 수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출유망 분야인 토목 및 플랜트 공사수주는 토목 15%, 특수 플랜트 10%로 총 25%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진출지역도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와 환발해지역에 80%가 집중되어 있다.
2002년 이후 상황이 다소 호전되었다. 2002년 3월에는 대림산업이 1억 2,680만 달러 규모의 복합 화력발전소 공사의 시공, 설계 용역 및 기자재 공급을 계약함으로써 향후 플랜트 분야로의 진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2002년 4월 말 현재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총 7건에 1억 4,022만 달러 규모의 공사를 계약함으로써 이란, 싱가포르, 리비아에 이어 4위를 차지하였다.
발주형태별로 살펴보면, 1990년대 중반에는 투자개발형 공사가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2002년에는 지명입찰에 의한 계약실적의 비중이 더 커졌다. 금융조달 형태로는 일반도급형 공사계약이 대부분이었으며, 수주형태로는 원청 단독계약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국 건설시장에서 비교적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와 분야는, 삼성물산 및 삼성엔지니어링이 추진한 고급주택시장, 도시기반시설(상하이시 내부순환선 프로젝트), 대림이 난징(南京)시에서 수주한 석유화학플랜트 분야, 삼능건설의 칭다오(靑島) 주택건설, 기타 중소업체가 진출성과를 거두고 있는 환경설비 분야 등이 있다.
2. 진출전략상의 문제점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은 급속하게 성장하며 부상하고 있는 중국 건설시장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우리 업체들의 투자진출 성과는 매우 부진하고, 기 진출한 기업 중 적지 않은 기업들이 대 중국 투자 규모와 비중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성과 부진의 원인은 대체로, 중국의 상관습과 상행위에 대한 이해부족, 생산기지 이전방식의 투자이점 상실, 시장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자세 부족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경직된 투자패턴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1996~97년 사이 일부 국내 기업이 체계적인 준비없이 성급하게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진출했으나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국내 건설사들의 계약수주 실적을 보면, 1996년에 6억 7,831만 달러, 1997년 18억 1,308만 달러에서 IMF 경제위기를 맞은 후인 2001년에는 1,330만 달러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2002년 4월, 해외건설협회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중국 진출 경험이 있거나 계획중인 국내 건설업체 27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국 건설시장 진출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시장의 불확실성(24.7%)과 사회주의체제 특유의 체제적 특성(24.4%), 하도급공사관리 등 시공상의 어려움(18.1%),
추천자료
정부의 부동산 시장 개입
주가의 변동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 시장과 전망
경제학개론(서브프라임 모기지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일본 부동산 시장에 대한 고찰
정부의 부동산 시장 개선 방안
계약형 부동산투자신탁제도(리츠, REITs) 필요성, 계약형 부동산투자신탁제도(리츠, REITs) ...
계약형 부동산투자신탁제도(리츠, REITs) 구조, 계약형 부동산투자신탁제도(리츠, REITs) 시...
자가시장, 차가시장으로 나누어본 우리나라 부동산 경기전망
불안정한 부동산 시장과 증시의 연관성
부동산의개념, 토지의소유화,토지의공개념,토지,건물의분류,부동산의특성,본직,시장,경기,문...
[감리제도][감사보고서][코스닥시장][건설공사][책임감리제도][제도개선][감리]감리제도와 감...
아파트시장과 부동산정책
소개글